Q. 노란봉투법이 통과되면 주식시장에는 악재로 여겨지나요?
안녕하세요. 정의준 경제전문가입니다.노란봉투법은 사용자 범위 확대, 노동쟁의 범위 확장, 손해배상 책임 제한 등을 통해 노조의 파업권을 강화합니다. 이는 기업의 경영부담과 불확실성을 키워, 특 조선 제조업 등 하청 구조가 복잡한 산업에서 투자 위축과 비용증가가 이어질 수 잇습니다 25년 7월 31일 경총은 산업혼란을 우려하며 반대했고, 주한 유럽상공회의소는 한국철수 가능성을 언급했습니다. 미국관세협상, 법인세 인상과 함께 노랑봉투법은 코스피 5000의 희망을 꺽고 코스를 4% 이상 하락시키는 악재로 인식됐습니다. 아래 자료 참고바랍니다.노랑봉투법이란? 2025년 최신 상황과 영향https://changeingme.tistory.com/entry/%EB%85%B8%EB%9E%91%EB%B4%89%ED%88%AC%EB%B2%95%EC%9D%B4%EB%9E%80-2025%EB%85%84-%EC%B5%9C%EC%8B%A0-%EC%83%81%ED%99%A9%EA%B3%BC-%EC%98%81%ED%96%A5
Q. 한국은 관세협상을 얼마나 불리하게 한 건가요?
안녕하세요. 정의준 경제전문가입니다.한국은 미국과 관세협상에서 상호관세를 25%에서 15%로 낮췄으나, 3500억 달러(약 480조원) 규모의 대미 투자와 미국산 자동차, 농산물 등 시장 개방을 약속했습니다. 숫자적으로 일본의 15% 관세, 5500달러의 투자와 EU와 비교하면 관세율은 비슷하지만, 투자규모와 시장 개발 조건이 우리나라에 부담스러운 측명이 있습니다. 특히 장기적으로 자동차 철강 등 주력 수출품의 경쟁력 약화 우려와 과도한 투자약속으로 불리하다는 평가가 있습니다. 그러나 단기적으로 3500억 달러의 투자에 대하여 특정하여 하여 합의하였지만, 일본의 경우 미국이 원하는 곳에 5500억 달러를 투자하는 조건입니다. 내용적으로 볼 때 이부분은 우리가 일본보다 협상을 잘 했다는 평을 듣습니다.
Q. 대체 lg생활건강 여자대표는 왜이러는걸까요?ㅁ
안녕하세요. 정의준 경제전문가입니다.LG생활건강의 이정애 대표는 24년 자사주 매입으로 주가 부양의지를 보였으나,주가는 178만원에서 30만원대로 폭락하며 투자자 불만이 쌓였습니다.24년 화장품 사업 매출은 1.2%성장, 영업이익 5.7% 감소하며 실적부진이 이어졌습니다.연봉 18억원 논란과 기부활동은 주주들 사이에서 주주무시로 비판받고 잇습니다. 그러나 실적 부직은 중국 시장회복 지연, 구조조정 비용등 외부 요인도 크게 작용했다고 봐야 합니다. 여장 대표라는 점의 무능과 무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