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홈답변 활동잉크

안녕하세요.

안녕하세요.

강대선 전문가
현대중공업
역사
역사 이미지
Q.  인문학적 상식을 늘리기 위해 평상시 즐겨볼 만한건 무엇일까요?
안녕하세요. 개인적이 사견으로 인문학이란 인간의 사상 및 문화를 대상으로 하는 학문영역을 의미하는데 지금 하고 계신 신문을 본다던지 인터넷에 기사를 본다던지 우리가 보는 많은 정보들이 이미 인문학에 속한다고도 할수 있을거 같습니다. 수많은 정보의 호수속에 내가 원하는 정보 및 배우고자 하는 정보가 있을때 조금더 집중해서 보는 것만으로도 충분하다고 생각됩니다.
역사
역사 이미지
Q.  한국 역사에서 처음으로 종이를 사용한 시기는 언제입니까?
안녕하세요. 2세기 초 채륜이 초지법을 완성한 이래 중국의 당나라에서는 종이의 생산술과 이용법을 전국에 보급하였을 뿐만 아니라 불교의 전파와 함께 한국, 일본, 동남아시아로 전파되어 동양에서는 일찍부터 종이의 혜택을 누려왔다는 내용이 있으나 불교가 전파된 시기와 종이가 사용된 시기가 유사한 것으로 판단됩니다.
역사
역사 이미지
Q.  국내의 커피도입은 어떤계기로 유입된걸까요?
안녕하세요. 한국에서 커피를 처음 맛본 사람은 고종입니다.계기는 1896년에 러시아 대사의 처남인 앙투아네트 손탁은 왕에게 커피 한 잔을 대접다고 합니다. 당시 한국인들은 외국 문화와 새로운 음료에 대해 호기심이 많았으며, 커피는 서양에서 전래되어 부자만이 살 수 있는 동양의 한약재와 비슷하여 서구화와 근대화의 상징으로 소비되었습니다. 초창기 사람들은 커피숍이나 카페를 '다방'이라고 불렀으며, 우리나라 최초의 다방은 1902년 서울 중구 정동에 손탁호텔이라는 곳으로 손탁이 지었다고 하니 참고 바랍니다.
역사
역사 이미지
Q.  헝가리의 부다페스트는 부다와 페스트가 합쳐진거라는데 어떤 역사속 스토리가 있는걸까요?
안녕하세요. 부다페스트는 우안의 부다(Buda)와 좌안의 페스트(Pest)로 이루어져 있다. 1873년 부다와 페스트는 Óbuda(구부다)지역과 같이 통합되어 오늘날 알려진 부다페스트로 탄생했습니다. 부다페스트는 총 23개의 지구로 나뉘며, 자세하게는 6개 지구가 부다, 16개 지구가 페스트 그리고 1개 지구가 이들 사이에 위치한 세펠 섬(Csepel Island)에 속한다. 부다는 대지 위에 자리하며, 왕궁의 언덕·겔레르트 언덕 등이 강기슭 근처까지 뻗어 있고, 역사적인 건축물이 많다고 하니 참고 바랍니다.
역사
역사 이미지
Q.  수박 겉핥기 라는 말이 있는데 왜 하필수박일까요?
안녕하세요. 예전에 우리 나라의 과일 중에서 가장 당도가 높은 것이 수박이었습니다.또, 수박은 과일중에서 껍질이 가장 두꺼운 과일이고요. 파란 껍질을 까도 안에 두터운 하얀 부분이 상당히 많이 있지요. 그런데 껍질은 아무리 핥아도 아무런 맛도 없습니다. 수박의 맛을 보려면 안을 쪼개야지요. 그러나 참외나 사과는 껍질이 얇으니 어느 정도 깨물면 속 맛을 볼 수도 있겠지요. 포도는 아예 껍질 채 먹을 수도 있고요.즉, 껍질과 속이 가장 다르면서도 웬만해서는 속 맛을 보기 힘든 것이죠. 어떤 일이라도 겉은 별 말이 없지만 조금난 노력해서 속을 살피면 단맛을 볼 수 있다는 삶의 진리를 이야기 하는 겁니다. 두 가지를 비유하기에는 사과나 참외, 그밖에 다른 어떤 과일보다수박이 가장 효과적이었다고 판단됩니다.
역사
역사 이미지
Q.  일본이 추리소설 장르가 유명한 이유가 뭔가요?
안녕하세요. 개인인 사견으로 복잡한 스토리를 가지고 있지만 마지막엔 복잡한실이 모두 풀어져 환상을 보는듯한 스토리가 전개되는 과정을 일본 작가분들이 잘 묘사 하기 때문이 아닐까 생각해봅니다. 하나로 되는 그런 형식의 이야기
역사
역사 이미지
Q.  신라의 임신서기석의 내용은 무엇인가요?
안녕하세요. 임신서기석의 간략한 내용은 임신년 6월 16일에 두 사람이 함께 맹세해 기록한다. 하늘 앞에 맹세한다. 지금부터 3년 이후에 충도를 집지하고 허물이 없기를 맹세한다. 만일, 이 서약을 어기면 하늘에 큰 죄를 지는 것이라고 맹세한다. 만일, 나라가 편안하지 않고 크게 세상이 어지러워지면 모름지기 충도를 행할 것을 맹세한다. 또한, 따로 앞서 신미년 7월 22일에 크게 맹세하였다. 즉, 시·상서·예기·전(左傳 혹은 春秋傳의 어느 하나일 것으로 짐작됨.)을 차례로 습득하기를 맹세하되 3년으로써 하였다
역사
역사 이미지
Q.  곧 새로운 사극 강감찬 장군 일대기가 한다던데 강감찬 장군은 어떤 업적을 남기 셨나요??
안녕하세요. 외모가 추남이였다는 내용은 사실에 근거하여 판단할수 있는 자료는 없는듯 합니다. 강감찬 장군의 업적은 아래 참고 부탁드립니다. 강감찬 장군은,고려시대의 명장. 거란이 10만 대군을 이끌고 쳐들어왔을 때 서북면행영도통사로 상원수(上元帥)가 되어 흥화진(興化鎭)에서 적을 무찔렀으며 달아나는 적을 귀주에서 크게 격파하였습니다. 자세한 설명은,본관 금주(衿州:서울 관악구 봉천동), 초명 은천(殷川). 983년(성종 2) 문과에 장원으로 급제하여 예부시랑이 되었다. 1010년(현종 1) 거란의 성종이 40만 대군으로 침입하자, 조신(朝臣)들은 항복할 것을 주장하였으나, 이를 반대하고 하공진(河拱辰)으로 하여금 적을 설득하여 물러가게 하였다. 그 뒤 한림학사·승지·중추원사(中樞院使)·이부상서·서경유수·내사시랑평장사를 역임하였다.1018년 거란의 소배압(蕭排押)이 10만 대군으로 침입해 오자 이듬해 서북면행영도통사로 상원수(上元帥)가 되어 군사 20만 8000명을 이끌고 흥화진(興化鎭)에서 적을 무찔렀다. 그 위에 쫓겨가는 적을 귀주에서 크게 격파하고 개선할 때 영파역(迎波驛)에서 왕의 영접을 받았으며, 검교태위(檢校太尉) 문하시랑동내사문하평장사(門下侍郞同內史門下平章事) 천수현개국남(天水縣開國男) 식읍 3백호에 봉해지고 추충협모안국공신(推忠協謀安國功臣)의 호를 받았다.그 이듬해 벼슬을 사양하고 물러났다가 1030년 왕에게 청하여 성을 쌓고 문하시중이 되었으며, 이듬해 특진검교태사시중 천수군개국후(天水郡開國侯)에 봉해졌다. 현종 묘정(廟庭)에 배향, 수태사 겸 중서령에 추증되었다. 저서에 《낙도교거집(樂道郊居集)》 《구선집(求善集)》 등이 있다.
역사
역사 이미지
Q.  시쳇말이라는 표현은 어떨 때 사용하나요?
안녕하세요. 네이버 사전에 아래와 같이 예문과 함께 잘정리되 자료가 있어 정리하여 알려드립니다. 시쳇말 [時體-][명사]{주로 ‘시쳇말로’ 꼴로 쓰여} 그 시대에 유행하는 말.(예문)그들이 왜 그렇게 서둘러 결혼했는지 아십니까? 시쳇말로 속도위반을 조금이라도 가리려고 그랬던 겁니다.
역사
역사 이미지
Q.  백제와 신라는 나제동맹을 맺은 이유는 무엇인가요?
안녕하세요. 나제 동맹을 맺은 이유는 신라와 백제가 고구려를 견제하기 위해서였습니다. 당시 고구려의 힘이 강성하여 신라와 백제가 고구려를 당해내기 어려웠습니다. 그래서 힘이 약한 신라와 백제가 힘을 합친 것입니다. 나제동맹의 결과로 백제는 한강 하류의 6군(郡)을 회복했고, 신라는 한강 상류의 10군을 차지했습니다.
436437438439440
아하앤컴퍼니㈜
사업자 등록번호 : 144-81-25784사업자 정보확인대표자명 : 서한울
통신판매업신고 : 2019-서울강남-02231호개인정보보호책임 : 이희승
이메일 무단 수집 거부서비스 이용약관유료 서비스 이용약관채널톡 문의개인정보처리방침
© 2025 Aha.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