Q. 호칭 '할'의 의미, 어원(할머니, 할아버지)이 궁금 합니다..
안녕하세요. '할머니’는 15세기 문헌에 ‘할미’의 형태로 처음 발생했습니다. ‘할머니’는 ‘할미, 한미, 할머니, 할마니, 할멈, 할맘’ 등 여러 형태가 나타났는데, 이들은 기본 의미는 동일하면서 연상 의미나 상황 의미들이 조금씩 다르게 쓰인 것으로 보입니다. ‘할미’는 ‘하-[大]+-ㄴ(어미)+엄[母]+이(접사)’의 내부구조를 가지고 있습니다.이와 같이 두 단어의 내부에는 '아버지'와 '어머니'라는 의미가 들어 있으니 참고하시기 바랍니다.할머니’는 15세기 문헌에 ‘할미’의 형태로 처음 나타난다. ‘할머니’는 ‘할미, 한미, 할머니, 할마니, 할멈, 할맘’ 등 여러 형태가 나타났는데, 이들은 기본 의미는 동일하면서 연상 의미나 상황 의미들이 조금씩 다르게 쓰인 것으로 보인다.‘할미’는 ‘하-[大]+-ㄴ(어미)+엄[母]+이(접사)’의 내부구조를 가지고 있다. ‘할미’는 ‘할멈’과 유사한 의미를 지니고 있으나 ‘할멈’이 문증되는 시기와 비교해 보았을 때 3세기 정도 앞서서 출현한다는 특이성을 지니고 있다. 이와 관련하여 살펴보아야 할 어휘는 ‘할마님’이다. ‘할마님’은 어원적으로 ‘한마+-님(존칭)’으로 분석되고, ‘한마’는 ‘한미(祖母)+-아(호격)’로 분석되며, ‘한미’는 ‘한-(大, 高)+어미(母)’에서 ‘*한아미’와 ‘*한미’를 거쳐 ‘한미’가 되었을 것으로 추정된다. 18세기와 19세기에 나타나는 ‘한마님’과 ‘한미’는 이러한 어원 분석을 뒷받침하는 어형이다. ‘한어미’라는 어형이 실제로 나타나는 것은 17세기의 ‘婆婆 한어미 阿婆 한어미 ’이다. 그러나 이 ‘한어미’가 ‘*한아미’를 거쳐 ‘*한미’가 된 것은 제1음절의 모음이 양성모음이었기 때문이며, ‘한미’에서 ‘한미’가 된 것과 같은 유형의 변화 즉 제2음절 모음의 탈락은 ‘어느제>언제, *어느마>언마’의 변화에서 찾을 수 있다. ‘한마니’가 ‘할마니’로, 그리고 ‘한마님’이 ‘할마님’으로, 바뀐 것은 ‘언마>얼마’, ‘현마>혈마(>셜마>설마)’와 같이 ‘ㅁ’ 앞에서 ‘ㄴ’이 ‘ㄹ’로 바뀐 이화현상으로 설명할 수 있다.16세기의 ‘할마님’은 어원적으로 ‘한마+-님(존칭)’으로 분석되고, ‘한마’는 ‘한미(祖母)+-아(호격)’로 분석되며, ‘한미’는 ‘한-(大, 高)+어미(母)’에서 ‘*한아미’와 ‘*한미’를 거쳐 ‘한미’가 되었을 것으로 추정된다. 18세기와 19세기에 나타나는 ‘한마님’과 ‘한미’는 이러한 어원 분석을 뒷받침하는 어형이다. 그리고 ‘한마님’에서 어말의 ‘ㅁ’이 탈락한 결과가 20세기에 평칭의 뜻으로 사용된 ‘한마니’인데, ‘할마니’는 이 ‘한마니’에서 바뀐 것이다.참고로 말하자면, 15세기부터 18세기까지 평칭의 ‘할머니’라는 뜻으로는 ‘할미’가 사용되었는데, 이 ‘할미’는 위의 ‘한미’에서 바뀐 것으로 ‘할머니’가 평칭으로 굳어지면서 비칭으로 의미가 바뀐 것으로 보인다.
Q. 우리나라 영화등급은 어떻게 결정되나요
안녕하세요. 영화의 등급은 쉽게 결정되지 않습니다. 전반적으로 주제,선정성,폭력,공포,약물이나 모방성 등 모든것들을 고려해 등급위에서 결정하게 됩니다. 국내등급이 12세, 15세, 18세 그렇게 된것은 외국의 것을 도입한 것으로 볼 수 있습니다.참고로 미국은 18세 이상을 성인으로 보기에 아래와 같이 나뉘어 져있습니다. G 등급 : 모두 관람가PG 등급 : 어린이에겐 부모지도 요함PG-13 : 13세미만은 부모지도 요함R : 18세 미만은 부모 동반 요함NC 17 : 18세미만은 관람불가(NC 17 등급을 받으면 완전성인영화로 취급되어 극장도 제한되고 광고도 제한됩니다. 일반적으로 R 등급이면 우리나라의 18세이상관람가로 보시면 됩니다.)도움이 되셨다면 좋아요 & 추천 부탁드려요~ 행복한 하루 되세요~ ^^
Q. 르네상스 시대의 대표적인 인물과 그 특징이 궁금합니다.
안녕하세요. 아래와 같이 정리해 드립니다. 르네상스 학계의 중심축을 이루는 야콥 부르크하르트는 개인주의와 자연주의를 이 시대의 본질적 특징으로 꼽습니다. 그러나 이 두 단어 모두 애매모호해서 일정한 의미에만 적용될 수 있습니다. 사실 르네상스는 수많은 걸출한 인물들을 배출했는데 그런 의미에서 보자면 개인주의의 시대였는데요 그러나 르네상스는 개별 형식이 아니라 보편 형식의 문화를 창출하고자 노력했다고 볼수 있습니다. 자연주의를 초월성이 배제된 현세적 태도라고 이해한다면, 자연주의 역시 르네상스의 한 특징입니다.. 그러나 자연에 대한 관심으로서의 자연주의라면 그것은 르네상스의 특징이 아닙니다. 오히려 르네상스는 인간을 둘러싸고 있는 자연보다는 인간에 관심이 많았습니다.1.대표적인 화가레오나르도 다빈치(Leonard da Vinci: 1452-1519), 미켈란젤로(Michelangelo: 1475- 1564), 라파엘로(Raffaello Santi : 1483-1520),보티첼리 (1445 ?~1510.5.17)2.대표 철학자 플라톤과 아리스토 텔레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