Q. 과거에는 '거울' 기능을 대신하여 무엇을 이용하였나요?
안녕하세요. 아래와 같이 정리해 드립니다. 세계적인 측면에서 거울은 중국에서는 이미 은나라 주나라 때부터 거울이 있었는데,"경"이라는 글자를 쓰게 된 것은 주나라 말 BC 3세기부터이고, 그 이전에는 금속 그릇에 물을 담은 것을 ‘감’이라고 하였습니다. 그럼 거울의 역사는 BC 3세기 이전부터이고 거울이 없을때는 연못이나 강 호수등의 물에비친 것을 보고 거울같이 자기얼굴을 본것으로 되있습니다.우리나라 한국에서는 청동기시대에 이르러 중국의 것과는 다른 형식인 다뉴세문경(多細紋鏡)이 발달하였던 것으로 추정되어 중요한 연구대상이 되고 있다. 꼭지가 둘 이상 있어서 ‘다뉴(多)’라고 하였고, 가는 선으로 된 거치문(鋸齒紋)이 중요한 무늬로 되어 있어서 ‘다뉴세선거치문’이라 하지만 보통 ‘다뉴세문경’이라고 한다. 그 후 고려시대에 이르기까지 중국으로부터 우수한 거울이 많이 들어오고 이에 따라 그것을 모방한 거울들이 갑자기 많아졌으나, 그 중에는 한국 특유의 형식도 없지 않았다.대체로 송(宋) ·금(金)식의 원형을 모방하는 한편 한경(漢鏡)과 당경(唐鏡)의 양식을 모방하여 만들기도 하였다. 현재는 원형 ·방형 ·팔릉형(八稜形) ·육릉형 ·사릉형 ·팔화형(八花形) ·오화형 등 당식(唐式)을 따르는 것 외에 종형(鐘形) ·하트형 ·화형(花形)에 자루를 단 것 등이 특색을 이루고 있다. 무늬에 있어서도 대부분 중국의 것을 모방하였으나 선박 ·전당(殿堂) ·여진문자(女眞文字) 등을 새긴 보기 드문 것도 있다. 조선시대의 것은 유물이 적어서 분명하지 않다.
Q. 교황청은 왜 이탈리아에 있는 것인가요?
안녕하세요. 교황청에 역사를 아래와 같이 정리해 드립니다. 가톨릭교는 313년 콘스탄틴 대제의 밀라노칙령에 의하여 공인된 이래 영향력을 계속 확대하여, 1859년 교황이 이탈리아 중앙부를 중심으로 1만 8,000㎢에 달하는 지역과 300만 명 이상의 주민을 통치하기에 이르렀다.그러나 1859년 이탈리아 통일전쟁을 일으킨 빅토르 엠마누엘(Victor Emanuel)이 1870년 교황의 군대를 격파하고 로마시를 점령함으로써 교황의 세속적 권력행사는 종지부를 찍게 되었다.이후 교황청과 이탈리아 간에는 교황청의 지위를 어떻게 결정할 것인가에 관한 ‘로마문제(Questio Romana)’가 발생하였다. 이 문제는 1929년 2월 교황청과 이탈리아의 무솔리니(Mussolini, B.) 정부 사이에 라테란조약이 체결됨으로써 해결되었다. 기본협정·재정협정 및 종교협약으로 구성되어 있는 이 조약에 의하여, 가톨릭은 이탈리아 내에서 법률로 특권을 보장받는 국교로 공인되었고, 바티칸은 하나의 주권국가로 인정받게 되었다. 이로써 바티칸은 1929년 2월 11일 이탈리아로부터 독립하였다.그러나 무솔리니 정권 때 체결된 라테란조약은 현시대에 맞지 않는 불합리한 내용이 있으므로 이를 개정해야 한다는 이탈리아 내의 여론으로 인하여, 교황청과 이탈리아 정부 사이에 조약 개정을 위한 교섭이 1967년경부터 추진되어 오다가 1984년 2월 종교협약을 개정, 전문 16조의 새로운 협약이 체결되었다.신협약으로 가톨릭은 이탈리아 국교로서 지위를 잃게 되었고, 공립학교에서의 종교교육제도가 폐지되는 등 이탈리아 내에서의 가톨릭 특전이 크게 축소되었다.교황은 바티칸의 통치자일 뿐 아니라 전 세계 가톨릭교회의 수장으로 전 세계 교회에 대하여 직접적 통치권을 지닌다. 교황은 종신제이며, 현재의 교황 프란치스코(Francis)는 2013년 3월 제266대 교황으로 즉위하였다.세부 행정 등에 관한 사항은 국무성·성성(聖省)·사무국·법원 등으로 구성된 행정부(Roman Curia)에서 시행한다. 국무성의 책임자인 국무장관은 교황을 직접 보좌하는 가장 긴밀한 직책이고, 일반 국가의 수상급에 해당된다.교황청 내의 방어와 질서는 약 100명의 스위스 경호대에 의하여 유지되며, 외곽 치안은 이탈리아경찰이 담당한다. 바티칸은 정의와 사랑에 기초한 보편적 평화의 추구, 국가와 교회간의 조화 및 협력추구를 외교정책의 기본으로 하고 있다.대외적으로 자유를 가장 선명히 표방하며, 선교활동의 자유보호를 위하여 종교의 박해에 대해서는 과감히 반대하고 있다. 1994년 말까지 149개국(EC 포함)과 공식외교관계를 맺고 있으며, 특히 1994년 6월 이스라엘과 10월에는 팔레스타인해방기구(PLO)와 정식외교관계를 수립하기도 했다. 또한, 제3세계 발전기금의 설립을 호소하는 등 제3세계의 권익옹호를 위해서도 노력하고 있다.
Q. 통계 질문인데요..무엇으로 돌려야 할까요?
안녕하세요. A그룹과 B그룹 모두 약을 2번씩 처치(treatment)하는 것으로 보입니다.종속변수 (outcome)측정을 몇 번 하느냐에 따라 분석이 달라집니다.(1) 종속변수 측정 1회일 경우즉, 2번의 처치를 마친 이후 종속변수 (약 효과)를 1번만 측정할 경우에는A그룹과 B그룹의 효과를 비교하는 t-test를 실시하면 됩니다.(2) 종속변수 측정 2회일 경우처치 할때마다 한번씩 종속변수 (약 효과)를 측정하여, 총 2번 측정할 경우(즉, A그룹과 B그룹의 1차 투입효과와 2차 투입효과까지 한꺼번에 모두 검증하고자 할 경우)반복측정 ANOVA (repeated measures ANOVA) 분석이 적합합니다.
Q. 찰리채플린은 왜 공산주의자로 몰렸나요
안녕하세요. 일단 그때의 미국내 상황에 대해 알아야 합니다. 일명 매카시즘이라고 합니다.미국 위스콘신주(州) 출신의 공화당 상원의원 J.R.매카시의 이름에서 나 온 말입니다.50년 2월 “국무성 안에는 205명의 공산주의자가 있다”는 매카시의 폭탄적인 연설에서발단한 것이져. 1949년 이래 수년에 걸쳐 매카시가 상원의 비미(非美)활동특별조사위원회를 무대로 하여 행한, 공산주의자 적발 추방의 선풍을 의미하는 것이지만, 제2차 세계대전 후의 냉전이 심각해지던 상황에서 전통적인 미국자본의 시장이던 중국의 공산화와 잇달아 발생한 한국의 6 ·25전쟁 등 공산세력의 급격한 팽창에 위협을 느낀 미국국민으로부터, 그의 주장이 광범한 지지를 받았습니다.매카시즘이 먼저 공격목표로 삼은 것은 중국정책에 영향력이 컸던 외교관, 국무성 및 중국통 정치학자 오언 래티모어, 국제법학자 제삽 등이었는데, 대통령 H.S.트루먼도 공산주의자에게 약하다는 비난을 받았습니다. 당시 국무장관 J.F.덜레스를 비롯한 많은 사람들이 매카시즘의 공포에 떨었고, 그 때문에 미국의 외교정책이 필요 이상으로 경색된 반공노선을 걷게 되었다. 유력한 정치가나 지식인들도 매카시즘에 두려움을 느끼고 그에 반론을 제기하지 못하였다. 그러나 매카시는 육군에 도전하게 됩니다.군대에도 공산주의자가 있다고 하지만 그게 큰 타격이었습니다.급격히 힘을 잃게 됩니다.채플린도 매카시 열풍을 벗어날수 없었습니다. '무슈 베르두'상영. 미국 여러 주에서 상영금지. 비미국행위 조사 위원회(C.U.A)에 의해 몇 번에 걸쳐출두 명령을 받았으나 불응. 하원의원 존 랑킨은 채플린을 미국에서 추방하고 그의 영화를금지하도록 국회에서 요구하게 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