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홈답변 활동잉크

안녕하세요 인문, 경제 전문가 손용준 입니다.

안녕하세요 인문, 경제 전문가 손용준 입니다.

손용준 전문가
마이크앤제스
역사
역사 이미지
Q.  제주도에는 언제부터 사람이 살게 되었나요?
안녕하세요. 손용준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제주도에 사람이 살기 시작한 것은 약 4만 년 전인 중기 구석기 시대부터ㄹ고 합니다. 애월읍 빌레못 동굴에 살았던 구석기 인들은 주로 동굴이나 바위그늘에 살면서 사냥과 채집을 하였습니다. 제주도 말과 연못의 못이 합쳐져 ‘빌레못’이라는 이름이 붙여졌습니다. 동굴의 총길이는 11,749m로 세계에서 가장 길고, 미로가 매우 많으며. 화산활동에 의해 7∼8만년 전에 만들어진 것으로 추정된다고 합니다.
역사
역사 이미지
Q.  조선에서 기술인들을 가장 대우했던 임금은 누구인가요?
안녕하세요. 손용준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조선전기의 과학기술은 한국사상(韓國史上) 그 유례를 찾아볼 수 없는 황금기였다고 합니다. 태종(太宗)대의 과학 문화 정책을 이어받은 세종(世宗)대에는 이례적(異例的)으로 이론과 실천이 조화되어 학자·정치가·기술자들이 협력하여 과학기술의 통일성을 이룰 수 있었고, 민중의 생활 향상을 위하여 과학기술이 기여하였던 시대였다고 합니다.
역사
역사 이미지
Q.  조선시대 백정은 왜 차별과 무시를 받아야만 했나요?
안녕하세요. 손용준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조선 초기 1423년에 세종이 고려시대의 천민 집단인 재인(才人)과 화척(禾尺)을 백정으로 개칭하면서 백정이 그 천민 집단을 일컫게 되었기 때문이라는 것에는 이의가 없다고 합니다. 세종은 조선 초기 군역이나 정역으로 차역할 사람들의 편제를 따로 만들 필요가 없게 되어 백정 집단이 존재하지 않게 되자 그 호칭을 재인과 화척에게 붙여주면서 그들에 대한 사회적 차별을 해소하려고 하였던 것입니다. 그렇지만 이러한 개칭이나 동화 정책에도 불구하고 그들은 여전히 예전과 같이 고리버들 제품의 제조와 판매, 도축, 가죽 제품제조와 판매, 그리고 오락 제공 같은 특정한 일에 종사하였고, 여러 형태의 사회적 천대와 차별을 받으며 살면서 ‘버림받은 집단[outcast]’ 또는 피차별 집단으로 인식되었다고 합니다.
역사
역사 이미지
Q.  문신을 세계에서 최초로 한 것은 언제이며 누구인지에 대해 궁금합니다.
안녕하세요. 손용준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문신의 역사는 5천년 전 이상으로 거슬러 올라가며 누가 처음 이라고 말하기는 어려우며 그 종류 역시 문신을 새기는 지역이나 사람의 수만큼이나 다양합니다. 문신은 색깔이 있는 물질을 피부 표면에 삽입함으로써 생기는 것입니다. 아마도 최초의 문신은 일부러 한 것이 아니라 우연에 의해 탄생했을 것으로 추측됩니다. 5천년 가량 된 냉동 상태의 남자 사체 한 구가오스트리아와 이탈리아 국경 근처의 한 산에서 발견되었습니다.전 세계 신문의 헤드라인을 장식한 이 ‘냉동인간 외찌(ötzi the ice man)’의 몸에 문신이 새겨져 있었는데 이것이 인류 최초의 문신으로 추정 됩니다. 한국에서는 일반적으로 타투를 한 사람이 사회적 규범을 위반하는 반사회적 개인으로 범죄자, 갱스터, 청소년 비행자로 간주됩니다. 한국 법률은 전문 의사가 타투 가게를 열 수 있도록 허용하고 있으며 타투하는 것 자체로는 불법이 아닙니다. 다만, 군 복무를 하지 않은 사람은 타투를 할 수 없습니다.
역사
역사 이미지
Q.  고려시대 대표적인 불교문화재는 무엇이 있나요?
안녕하세요. 손용준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고려 시대에는 다양한 불교 문화재가 있습니다. 대표적인 것이 불교의 힘을 빌어 몽고의 공격을 막고자 했던 팔만 대장경입니다. 또한 흥이지문과 경천사지 10층 석탐 등이 있습니다.
역사
역사 이미지
Q.  호랑이는 굶주려도 풀은 먹지않고
안녕하세요. 손용준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양반은 얼어 죽어도 겻불은 안 쬔다’라는 말이 있습니다. 아무리 궁하거나 다급해도 체면 깎는 짓은 하지 않는다는 뜻입니다. ‘양반은 물에 빠져도 개헤엄은 안 친다’는 속담과 한뜻입니다. 즉, 양반이라는 신분이 얼마나 체면을 중요시 여기는지를 보여 주는 동시에 예를 중요시 여기는 유교 사회의 단면을 보여 주는 것 입니다.
역사
역사 이미지
Q.  조선시대 상속제도는 어땠는지 알려주세요~
안녕하세요. 손용준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고려시대에는 재산상속이나 제사상속에 있어 모두 아들과 딸 사이에 균등하게 상속되는 성격이 강했습니다. 자녀 간의 상속분에 차이가 없는 균분상속의 형태를 지속했습니다. 이러한 전통이 조선 초기 까지 지속 되다가 17세기 이후에는 남아 선호 사상이 지배적으로 나타나면서 장남 상속이 우세해 지고 남녀 간의 차별화된 상속이 생기게 됩니다.
역사
역사 이미지
Q.  산업혁명은 미국에서도 일어났나요?
안녕하세요. 손용준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영국에 이어 미국은 1776년 독립과 동시에 산업 혁명에 진입했습니다. 1774년 7월 4일 독립을 선언한 미국은 독립 전쟁을 거쳐 1781년 10월 요크타운 전투에서 영국군이 항복할 때까지 전개되었습니다. 이후 본격적인 평화가 시작되면서 미국은 산업화를 추진하게 되었다고 합니다.
역사
역사 이미지
Q.  세계에서 가장 오래된 소설은 무엇인가요?
안녕하세요. 손용준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루키우스 아풀레이우스의 《Metamorphoses》는 세계에서 가장 오래된 라틴 어 소설입니다. 약 2000년전의 작품으로 추정 되며 원제목을 따르면 '변형담'으로 부르지만, 오비디우스의 《변신 이야기》와 구분하기 위해서 '황금 당나귀 (Asinus aureus)'라고 부른다고 합니다.
역사
역사 이미지
Q.  고려시대나 조선시대에 사람들이 시간을 어떻게 알았나요?
안녕하세요. 손용준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조선시대 때는 일반 가정에서 몇 가지 간단한 기구들을 이용하여, 시간을 측정하였습니다.그 중 하나가 앙부일구(해시계)입니다. 날씨가 좋고 남북만 정확히 안다면, 땅바닥에 동서남북을 표시하고 막대기를 꽂아 놓고 그림자로 판별하면 되기 때문에 해시계를 쓰는 것은 어렵지 않았는데 하지만 해가 없는 밤이나 날씨가 궂은 날에는 쓸 수 없었기에 이를 극복하기 위해서는 향시계(또는 연소시계)를 사용하기도 했습니다. 향시계는 향이 타들어가는 정도에 따라서 시각을 판별하였는데요. 물질에 따라 타는 속도는 다르지만 같은 물질의 타는 속도는 일정하다는 원리에서 고안 된 연소시계는 6세기 이후 신라에서 시작한 것으로 남병철의 [의기집설] 기록되어 있다고 합니다.
231232233234235
아하앤컴퍼니㈜
사업자 등록번호 : 144-81-25784사업자 정보확인대표자명 : 서한울
통신판매업신고 : 2019-서울강남-02231호개인정보보호책임 : 이희승
이메일 무단 수집 거부서비스 이용약관유료 서비스 이용약관채널톡 문의개인정보처리방침
© 2025 Aha.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