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홈답변 활동잉크

안녕하세요 인문, 경제 전문가 손용준 입니다.

안녕하세요 인문, 경제 전문가 손용준 입니다.

손용준 전문가
마이크앤제스
역사
역사 이미지
Q.  단종의 공식적인 사인은 무엇인가요?
안녕하세요. 손용준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단종의 공식적인 사인으로는 세조 실록에 의하면 단종은 자신을 비호 해 주던 금성 대군이 죽임을 당하자 슬픔에 못 이겨 자살을 한것으로 되어는 있습니다. 하지만 세조가 죽인 것을 많은 사람들은 다 알고 있었다고 합니다.
역사
역사 이미지
Q.  양녕대군은 왜 단종과 금성대군의 처벌을 주장했을까요?
안녕하세요. 손용준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금성 대군은 세조의 동생 입니다. 그래서 더욱 세조는 그를 죽이는 것을 쉽게 결정 못했던 것으로 보입니다. 하지만 양녕 대군은 숙부 이기에 그가 나서서 왕실의 혼란을 막고자 죽여야 한다고 주청을 한 것으로 추정 됩니다.
역사
역사 이미지
Q.  조선시대초에는 충청도를 좌도와 우도로 구분했던 이유와 이후 북도와 남도로 명칭이 바뀐 이유가 무엇인가요?
안녕하세요. 손용준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이전의 좌도와 우도의 나눔은 자연 경계를 기반으로 한 합리적인 행정구역이었습니다. 현대의 관점에서 본다면 자연 친화적이었습니다. 1896년, 행정구역 개편이 이루어지면서 충청남북도라는 이름이 사용되기 시작했습니다. 결국 현대의 관점에서 볼 때 충청 남북도의 구분 기준은 행정상의 편의 떄문 이였습니다.
역사
역사 이미지
Q.  우리나라에 세계문화유산 유네스코에 등재된곳은 몇곳이나 되나요?
안녕하세요. 손용준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우리나라에 세계문화유산 유네스코에서 지정된 유산으로 세계유산은 총 1,121곳 중 우리나라는 15곳, 무형문화유산은 총 498건 중 21건, 세계기록유산은 총 432건 중 16건이 등재되어 있습니다. 현재 유네스코 회원국에는 204개국 (정회원국 193, 준회원국 11)이 있다고 합니다. 해인사 장경판전 (1995년), 종묘 (1995년), 석굴암 · 불국사 (1995년), 창덕궁 (1997년), 수원화성 (1997년), 고창 · 화순 · 강화 고인돌 유적 (2000년), 경주역사유적지구 (2000년), 제주 화산섬과 용암동굴 (2007년), 조선왕릉 (2009년) 등이라고 합니다.
역사
역사 이미지
Q.  노벨상을 제정한 이유는 무엇인가요?
안녕하세요. 손용준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다이너마이트를 비롯해 350종의 특허를 낸 기업가이자 과학자인 노벨은 그 부고를 계기로 재산의 94%(2012년 기준 4억7천2백만 달러)를 기부해 노벨상을 제정하라는 유언을 남긴다고 합니다. 그래서 1901년부터 스웨덴의 노벨상이 수여되기 시작되었다고 합니다.
역사
역사 이미지
Q.  조선시대 들어 사병을 혁파한 이유가 무엇일까요?
안녕하세요. 손용준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조선 시대 사병 혁파는 중앙집권체제를 갖추기 위하여 정도전이 계획한 병권의 중앙 집중화는 왕자의 난으로 말미암아 실패로 돌아갔으나 이를 계기로 왕권 중심의 중앙군사체제가 이루어지게 되었습니다. 즉 왕자의 난으로 방원의 정치세력이 확립되고 그가 세자로 봉해지면서 권력의 방향이 잡히게 되자 새로운 안정을 지향하는 노력과 함께 사병혁파론이 제기되어 본격적으로 논의되었다고 합니다.
역사
역사 이미지
Q.  우리나라 영화역사에서 최다괸중동원은 언제 어떤 영화인가요?
안녕하세요. 손용준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우리 나라 최대 관객 동원 영화는 원작은 박은우의 소설 《명량》이며, 개봉 전 영화를 소설로 옮겨 각본 전철홍, 김한민, 지은이 김호경의 《명량》이 출판되기도 했답니다. 총 관객 수 1761만 6141명으로, 역대 대한민국 영화 시장 최고를 찍었다고 합니다.
역사
역사 이미지
Q.  아르헨티나에서 흔히 얘기하는 페론주의가 무엇이고 유래가 어떻게 되나요?
안녕하세요. 손용준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페론주의는 1946년 집권한 후안 도밍고 페론 대통령과 부인 에바 두아르테가 10여년간 펼친 대규모 무상복지 정책을 말한다고 합니다. 페론주의는 국내 공업 발전과 노동자들의 생활 개선을 목표로 하며, 그 영향력은 오늘날까지 이어지고 있다고 합니다.
문학
문학 이미지
Q.  우리나라 투표율 세계에서 높은 편인가요?
안녕하세요. 손용준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국회위원이나 대통령 선거의 우리 나라 선거 참여율은 가자 낮은데 OECD 사회보고서에 따르면 한국의 투표율은 46%로 OECD 회원국 중 가장 낮은 수준에 머물고 있다고 합니다 이는 OECD 평균 70%에 비해 상당히 낮은 수준이며, 브라질, 러시아, 인도, 인도네시아 등 개발도상국들보다도 낮은데 호주가 95.2%로 가장 높았다고 합니다.
문학
문학 이미지
Q.  스웨덴에선 모든 국민들의 소득 나이 주거지등 개인정보를 공개적으로 열람하고 볼 수 있는 이유가 무엇인가요?
안녕하세요. 손용준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스웨덴은 투명성과 공공의 신뢰를 중요시하는 국가로 알려져 있습니다. 이러한 원칙을 기반으로 스웨덴에서는 국민들의 소득, 나이, 주거지 등 개인정보를 공개적으로 열람할 수 있다고 합니다. 이것은 정치인들이나 공직자 들의 재산이나 기타 학력등을 절대 속일 수 없는 이유 이기도 합니다.
261262263264265
아하앤컴퍼니㈜
사업자 등록번호 : 144-81-25784사업자 정보확인대표자명 : 서한울
통신판매업신고 : 2019-서울강남-02231호개인정보보호책임 : 이희승
이메일 무단 수집 거부서비스 이용약관유료 서비스 이용약관채널톡 문의개인정보처리방침
© 2025 Aha.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