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홈
답변 활동
잉크
로그인/회원가입
안녕하세요 인문, 경제 전문가 손용준 입니다.
안녕하세요 인문, 경제 전문가 손용준 입니다.
손용준 전문가
마이크앤제스
전문가 홈
답변 활동
잉크
전체
학문
역사
2024년 4월 5일 작성 됨
Q.
고려시대 송악은 지금은 어디인가요?
안녕하세요. 손용준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송악은 하남성河南省 공의시鞏義市였고, 개경은 하남성 등봉시(登封市)였다고 합니다. 송악과 개경은 인접한 곳으로 대륙 하남성 공의시와 등봉시에는 오늘날에도 고려의 궁궐과 사당 그리고 사찰들이 남아있다고 합니다. 하남성 등봉시에는 그곳이 고려의 도읍지였음을 검증하는 특징적 유적이 있다고 합니다.
역사
2024년 4월 5일 작성 됨
Q.
최초의 국회의원선거는 언제했는지?
안녕하세요. 손용준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대한민국 역사상 최초의 민주선거는 1948년 5월 10일 오전 7시부터 오후 7시까지 실시되었다고 합니다. 선거는 전체적으로 삼엄한 분위기 속에서 진행됐다. 남한만의 선거를 보이콧한 좌익들의 폭력투쟁과 미군정의 강경 대응이 전국 곳곳에서 벌어졌는데 그럼에도 불구하고 95.5%의 높은 투표율로 정부 수립에 대한 국민적 염원을 보여주었다고 합니다. 이번 선거에서는 모두 198명의 제헌국회의원이 당선됐는데, 제주도에서 4·3 사건으로 선거가 무산되어 2명의 의원을 선출하지 못했기 때문이었다고 합니다. 선출하지 못한 제주지역 의원 2명은 1년 뒤 선출해 비로소 200명 정원의 제헌국회가 온전히 구성되었다고 합니다.
역사
2024년 4월 5일 작성 됨
Q.
조선왕들이 대부분 장수 못하고 단명을 했는데 이유가 궁금합니다.
안녕하세요. 손용준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조선 왕들의 단명 원인을 분석한 결과 당시 의학의 한계, 비위생적인 생활습관, 과도한 영양 섭취에 따른 혈액성 염증질환, 과색 (過色)이 평균 수명이 50세를 넘지 못한 원인이라는 연구결과가 나왔다고 합니다.
역사
2024년 4월 5일 작성 됨
Q.
제주도가 처음 발견되고 사람이 살기 시작한건 언제부터였나요?
안녕하세요. 손용준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제주도에 사람이 살기 시작한 것은 약 4만 년 전인 중기 구석기 시대부터라고 합니다.애월읍 빌레못 동굴에 살았던 구석기인들은 제주도에 흔한 돌인 현무암을 떼어내어 찍개나 긁개, 돌칼, 톱날과 같은 도구를 만들었고, 갈색곰 ‧ 사슴 ‧ 노루 등을 사냥하면서 생활했었을 것 입니다.
역사
2024년 4월 5일 작성 됨
Q.
조선시대 군역의 의무에 대해 알려주세요.
안녕하세요. 손용준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조선시대에는 16세에서 60세까지 군인신분조선시대에는 16~60세의 남성은 대부분 병역의 의무를 지어야 했습니다.이를 가리켜"양인개병제"라고 하는데, 양인은 양반,상인,농민을 가리키는 말로 예비 관료인 유생들 관가와 양반가에 소속된 관,사노비를 제외하면 모두 군대에 가야만 했던 것 입니다.
역사
2024년 4월 5일 작성 됨
Q.
우리나라 과거시험은 몇 년에 한 번 본 건가요?
안녕하세요. 손용준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관직에 오르는 대표적인 방법이 과거시험이었습니다. 이 시험은 일정한 주기로 실시되었으며, 3년마다 한 번씩 치루는 것으로 기록되어 있는데 이외에도 특별 시험으로 증광시와 별시와 같은 시험들은 부정기 시험 입니다.
역사
2024년 4월 5일 작성 됨
Q.
조선시대 과거시험을 보려면 무조선 한양으로 가야했나요?
안녕하세요. 손용준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조선 시대 과거 시험장은 모두 한양에 있엇습니다. 그래서 과거 전라도나 경상도에 살던 유샹들이 시험을 보기 위해서는 지방에 사는 유생들은 항상 한양으로 천리길을 와야만 했다고 합니다.
역사
2024년 4월 5일 작성 됨
Q.
강우규 의사에 대해 알려주세요.
안녕하세요. 손용준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1855년 평안남도 덕천군 무릉면 제남리에서 가난한 농가의 4남매 가운데 막내로 태어난 강우규 의사는, 부모를 여의고 누님 집에서 성장하였지만 어려서부터 총기가 남달라 주위 사람들의 촉망을 받았다고 한다. 청소년기에 한학과 한방 의술을 익혀, 젊은 시절 생활의 방편으로 삼았다. 그의 가장 유명한 업적은 일본의 총독에 폭탄을 65세의 나이에 실천한 독립 투사 였습니다.
역사
2024년 4월 5일 작성 됨
Q.
삼국시대에 고구려는 한국말을 사용했나요. 중국어를 사용했나요?
안녕하세요. 손용준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삼국시대 고구려도 한국말을 사용 했습니다. 물론 지금 보다더 훨씬 많은 단어에 중국어 단어가 들어 있을 것 입니다. 그렇다고 말 자체가 중국어로 된 것 은 아닙니다.당시 고구려와 백제, 신라와는 의사 소통에는 문제가 없었기에 한국어로 볼 수 있습니다.
역사
2024년 4월 5일 작성 됨
Q.
하멜이 일본 나가사키로 탈출한 과정에 대해 알려주세요.
안녕하세요. 손용준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네델란드 동인도 회사 소속 선박 선원이었던 헨드릭 하멜(Hendrick Hamel)이 1653년 상선 스페르베르 호를 타고 일보 나가사키로 가던 중 난파되어 제주도에 표류한 후 조선에서 13년 동안 억류되어 있다가 우여곡절 끝에 일본으로 탈출해서 1668년 네덜란드로 귀국하기까지의 여정을 기록하였고 귀국한 하멜은 동인도 회사에 13년간 받지 못한 임금을 청구했고 이에 대한 증거로 써서 낸 게 바로 이 입니다. 당시 조선과는 아무런 교역이 없었지만 일본과 네델란드는 서로 왕래하고 무역 관계사 존재 했기에 하멜은 일본 나가사키를 통해 네델란드로 귀국을 하게 됩니다.
261
262
263
264
265
카카오톡
전화 상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