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홈
답변 활동
잉크
로그인/회원가입
안녕하세요 인문, 경제 전문가 손용준 입니다.
안녕하세요 인문, 경제 전문가 손용준 입니다.
손용준 전문가
마이크앤제스
전문가 홈
답변 활동
잉크
전체
학문
주식·가상화폐
2024년 4월 5일 작성 됨
Q.
우리나라의 돈 만원은 북한에선 얼마의 가치를 지닐까요?
안녕하세요. 손용준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남한 화폐 대 북한 화폐의 교환비율은 1:4.7 정도로 하는 것이 바람직합니다. 하지만 쌀 가격으로 따져보면 다른 결과가 나오기도 한다고 합니다. 우리 나라돈 1만원 이면 북한돈 4만 7천워 정도에 해당 한다고 합니다.
예금·적금
2024년 4월 5일 작성 됨
Q.
왜 신용카드 결제일에 27, 28일이 없을까요?
안녕하세요. 손용준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보통 사람들의 급여일이 5,10일 25일 정도에 많이 몰려 있기 때문 입니다. 30일을 급여일로 하는 회사들은 거의 없습니다. 그래서 신용 카드 결재일도 대부부 25일 정도가 제일 많습니다.
예금·적금
2024년 4월 5일 작성 됨
Q.
뉴스에서 금감원의 총선개입이라는 말을 들었습니다. 금감원이 어떤 일을 하는 기관인가요?
안녕하세요. 손용준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금융감독원 (FSS), 즉 금감원은 금융 산업을 감독하고 감독하는 한국의 규제 및 감독 기관입니다. 주요 목적은 금융 시스템의 안정성, 건전성 및 건전성을 보장하고 소비자의 권익을 보호하는 것이라고 합니다.
문학
2024년 4월 5일 작성 됨
Q.
구본형 작가님 책들중에 추천을 많이 받은 책은 무엇인가요?
안녕하세요. 손용준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구본형 작가의 대표작으로는 '은 전문가가 뽑은 '90년대의 책 100선'에 선정되었다고 합니다. 그리고 는 동아일보가 뽑은 '2001년 전반기 읽어야 할 책 10선'에 선정되었고, 동시에 중앙일보 선정 '2001년 좋은 책 100선'에 올랐다고 합니다.
철학
2024년 4월 5일 작성 됨
Q.
법적으로 여당이 2개일 수 있는건가요?
안녕하세요. 손용준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통상적으로 대통령을 배출한 정당을 여당이라고 합니다. 그러니 여당은 1개일 수 밖에 없습니다. 아마도 보수 정당을 말하는 것 같은데 보수 정당은 2개 아니라 3개도 있을 수 있습니다.
역사
2024년 4월 5일 작성 됨
Q.
우리나라는 왜 대중목욕탕이 활성화 되었는지 과거 특별한 계기가 있었는지 궁금합니다.
안녕하세요. 손용준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우리나라에서 대중목욕탕의 본격적인 발전은 일제강점기 때 일본인들이 한국으로 많이 이주해오면서부터라고 할 수 있는데 일본인들은 그들의 기후조건 및 지형적 조건으로 자주 목욕을 하는 습관을 가지고 있었다고 합니다. 한국에 이주한 일본인들은 목욕의 불편을 느껴 공중욕탕을 설치하고자 하였으나 한국인들의 거센 반발로 쉽게 착수하지는 못하였는데 왜냐하면 당시 한국적인 사고방식으로는 여러 사람이 모인 곳에서 옷을 벗고 목욕을 하는 것은 천민들이나 하는 짓으로 여겼기 때문 입니다. 이러한 가운데 우리나라에 대중목욕탕이 처음 설립된 것은 1920년대 초반인 1921년경에 평양에서였다고 합니다.
역사
2024년 4월 5일 작성 됨
Q.
문득 궁금해 지는데 에디슨이 전구 말고도 발명하여 지금까지 영양을 미치는 것에는 무엇이 있나요?
안녕하세요. 손용준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에디슨의 발명품에는 여러가지가 있습니다. 제일 먼저 전화기가 있고 적외선 투시기, 마이크로폰과 음악산업의 발전을 이끈 에디슨의 디스크레코더도 있고 전기발전소도 설계를 했다고 합니다.
역사
2024년 4월 5일 작성 됨
Q.
장족의 발전이라는 표현의 장족은?
안녕하세요. 손용준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속도가 매우 빠르게 발전하거나 진보했다는 뜻입니다. 장족 (長足) 의 원래의 뜻은 '긴다리'나 '빠른 걸음'이지만, 주로 '장족의' '장족으로' 꼴로 쓰여 발전이나 진보의 속도가 매우 빠르다는 의미로 쓰입니다. 따라서 '장족의 발전'이란 '속도가 매우 빠르게 발전하거나 진보했다'는 의미 입니다.
역사
2024년 4월 5일 작성 됨
Q.
과거 양반들은 아무 집에서나 잘 수 있었다던게 사실인가요?
안녕하세요. 손용준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조선 시대의 양바 집들을 보면 크 집들은 대부분 행랑채나 사랑채라고 해서 손님들에게 하룻밤 묵고 가게 해주는 방들이 있었습니다. 하지만 아무 에게나 내주는 방은 아니고 안면이 어느 정도 있는 사람에게 주는 방이라고 합니다.
음악
2024년 4월 5일 작성 됨
Q.
문득 궁금해 지는데 우리나라에 노애방은 언제 처음 도입되었나요?
안녕하세요. 손용준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우리나라 최초의 노래방은 1991년 4월 부산 동아대 앞 로얄전자오락실이다.우리나라의 첫 노래방은 일본 가라오케의 영향을 받아 만들어졌다고 합니다. 첫 노래방의 노래반주기는 지금과 형태가 비슷했지만, 동전을 넣고 1곡씩만 부를 수 있었다고 합니다. 오늘날 오락실에서 흔히 볼 수 있는 ‘동전노래방’이 노래방의 원조격인 셈 입니다.
261
262
263
264
265
카카오톡
전화 상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