Q. 자산을 관리할 때 정기예금 종류는 이율과 상관없이 오히려 손해에 가깝나요?
안녕하세요. 김승훈 경제전문가입니다.꼭 그렇지는 않습니다. 금리가 중요하기는 합니다.다만, 사람들이 그렇게 이야기하는 이유는 일반적인 예금금리가 낮고,점점 낮아지는 추세인 반면, 물가상승률은 계속 올라가고 있기 때문에,그렇다면 예금을 하는 행위는 오히려 마이너스라고 생각하는 것입니다.다만, 위험자산에 투자하고 싶지 않다거나, 하락할 가능성이 있는 투자처가 싫다면예금을 선택해야 하기는 합니다. 그럴 때, 금리가 가장 좋은 예금을 찾아 가입하면 된다고 생각합니다.
Q. 특정 코인 악재 뉴스가 터졌는데 가격이 그대로거나 오히려 오르는 이유는 뭔가요?
안녕하세요. 김승훈 경제전문가입니다.다양한 요인들이 있겠지만, 이미 반영되어 있던 악재일 수도 있습니다.보통 가격을 결정하는 요인들은 이미 선반영되고, 기사 또는 대중에게 알려지는 것은그보다 훨씬 뒤라고 생각하시면 됩니다. 이에 그 후 해소가 되었다면 무방할 수 있습니다.또, 악재이기는 해도 장기적으로 큰 문제가 없을 수 있습니다.실제로 상장폐지될 코인들이 급등하는 흐름을 보이는 경우가 많은데요.희소성문제, 재상장 가능성 등에 배팅하는 경우 때문에 상승하는 경우들이 있습니다.이렇듯 다양한 요인으로 악재 뉴스가 있음에도 상승할 수 있습니다.
Q. 가심비에서 다시 가성비 시대로 넘어가는 듯 하네요..
안녕하세요. 김승훈 경제전문가입니다.꽤 오랜기간 유지되지 않을까 싶습니다.사실 가심비로 넘어갔다고 해도 가성비는 늘 성장했던 것 같습니다.경기가 그만큼 늘 어려웠던 것도 있고, 사람들이 특정 영역에서는 가심비의 소비를 하지만꽤 많은 영역에서는 가성비를 따지기도 합니다.이는 사람마다 가치관이 다른 영역이기도 한데요.예로, 누군가는 생활용품은 가성비로, 누군가는 식비를 가성비로 하는 등 다 다르기 때문에다이소, 이마트와 같은 종합적인 가성비를 누릴 수 있는 곳들이 잘 성장하는 것 같습니다.
Q. 원격 근무가 확산된다고 한다면 지방 거주자의 취업 기회는 얼마나 넓어지게 될런지요?
안녕하세요. 김승훈 경제전문가입니다.원격근무가 활성화 되면 지방에 거주하는 분들의 취업 기회가 커진다고 생각합니다.반대로 기업 입장에서도 부동산과 출근 시 발생하는 비용을 최소화 하고,각기 다른 지역에서 인재 수혈이 가능하니 보다 넓은 인재풀을 확보한다는 장점도 있습니다.현재 지방 거주자들은 취업을 위해 서울권으로 상경을 하거나, 지방에서 일부 타협을 하는 경우들이 있습니다.이러한 단점들이 개선되고, 부동산 측면에서도 청년층이 살기 좋은 환경이 될 가능성이 커질 수 있습니다.말씀하신 협업 문제는 요즘은 워낙 화상미팅이나 워크툴, 메타버스 등 활용가능한 tool이 많아 상대적으로 좋아졌고, 월 1~2회 정도 본사를 방문하는 것으로 대체 가능할 것으로 보입니다.
Q. 개별 주식 극단적으로 오래 장투하는 사람들은 어떻게 가능한 건가요?
안녕하세요. 김승훈 경제전문가입니다.해당 기업에 대해 믿고 있는 것일 수도 있고,한편 큰 수익을 기대하고 버티는 것일 수도 있을 것 같습니다.그런 분들의 심리에는 이미 유명한 기업이나 상승 중인 기업에 올라타는 것보다알려지지 않은 소형주에 투자해 이들이 대형주가 되는 것을 기대하는 것이 더 큰 수익이라 생각하는 것입니다.실제로 성공만 한다면 굉장히 큰 수익을 얻을 수 있는 것은 맞습니다.지금의 애플, 아마존, 구글 같은 기업도 작을 때가 있었으니까요.미래가치가 높은 기업을 발굴해 큰 수익을 내려는 가치관을 가진 것 같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