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핫뉴스실시간 인기검색어
아핫뉴스 화산 이미지
아하

경제

자산관리

냉철한발구지238
냉철한발구지238

청년도약계좌 월납입금 얼마로 하는 게 좋을까요?

안녕하세요 지금 청년도약계좌 1년간 납입하였는데

sns에서 우연히 소득 구간에 따라 70만원을 꼭 납입할 필요가 없다는 글을 보았습니다

제가 월급여가 최저 (2,096,270원)인데, 그럼 얼마를 납입하는 게 좋은가요?

아니면 정부기여금 관련없이 70만원 납부하는 게 좋은 건가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7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최현빈 경제전문가입니다.

    • 70만원을 가득채우면 가장 좋겠지만 사람별로 현상황이 어떤지에 따라서 차이가 있습니다

    • 그렇기 때문에 70만원을 가득 채우지 못한다면 최대한 조절하여 한 달에 30~40만원이라도

      꾸준히 납부하여 매달 정부 기여금을 타먹는 것이 중요합니다.

    감사합니다.

  • 안녕하세요. 전영균 경제전문가입니다.

    사실 목돈은 많으면 많을수록 좋고 최대 한도가 70만원이면 정부기여금도 그만큼 추가로 주고 이자도 많이 받기 때문에 여력이 되신다면 최대한 많은 금액을 납부하시는게 좋긴합니다.

    그러나 급여가 그렇게 높은 편은 아니시기에 부담되신다면 납부금액을 조금 줄이시면 좋을 것 같긴 하네요.

  • 안녕하세요. 정의준 경제전문가입니다.

    2025년 청년도약계좌는 소득구간별 정부기여금이 달라 최적 납입액을 설정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월급여 2,096,270원(연 2,515만원)은 총급여 2,400만원 초과~3,600만원 이하 구간(정부기여금 4.6%,

    최대 50만원 납입 시 23,000원+3% 추가)입니다.

    월 50만원 납입 시 기여금 29,000원(연 348,000원), 5년 후 총 수령액 약 3,461만원(이자 포함)으로 수익률 8.87% 수준입니다.

    월 70만원 납입 시 기여금은 동일하나 원금이 커져 수익률은 낮아집니다.

    따라서 월 50만원 납입이 최적이며, 여유자금 있다면 70만원도 고려 가능합니다.

  • 안녕하세요. 김승훈 경제전문가입니다.

    정부기여금만 생각하면 사실 얼마를 넣든 무관합니다.

    최소 납입금액인 10만원만 넣어도 최대의 정부기여금을 받으실 수 있습니다.

    다만, 청년도약계좌는 금리가 매우 좋은 상품이기 때문에 다른 적금을 하는 것보다는

    70만원 한도 내에서 여력이 되는 만큼 넣는 것을 추천드립니다.

  • 안녕하세요. 박형진 경제전문가입니다.

    정부 기여금을 최대한 확보하기 위해서는 70만원씩 납부하는 경우 장기적인 자산 증식이 가능합니다.

    다만 현재 소득수준에서는 70만원이 부담이 될 수 있어 생활비를 고려해 적당한 납입을 권해 드립니다.

    부담이 되지 않는 선에서 하시는 편이 좋다고 판단됩니다.

    연봉 2400만원이하의 경우 9.5%의 이자가 적용되며 현재 월 급여 수준으로 보아 이를 넘어설 것으로 보입니다.

    여유되신다면 저는 70만원씩 납입하는것을 권해드립니다.

    참고 부탁드려요~

  • 안녕하세요. 인태성 경제전문가입니다.

    질문해주신 청년도약계좌 월납입금액에 대한 내용입니다.

    일단 가능하시면 최대치를 들어서 시드 머니를 확보하시는 것이 좋아보이기에

    조금 힘드시다 하더라도 눈 질끈 감고 최대로 월납해서

    목돈을 만들어 보실 것을 추천드립니다.

  • 안녕하세요. 하성헌 경제전문가입니다.

    청년도약계좌의 납입은 5년동안 유지를 하는 것이며, 이는 꾸준히 납입했을떄 소득구간의 내용에 따라 정부가 기여금을 차등하여 지급하는 것으로 이러한 소득은 개인소득을 기준으로 한다고 할 수 있으며, 만약 기혼이라고 한다면 가구소득에 대한 기준에 따라 중위소득의 퍼센트를 기준으로 정부의 기여금을 정한다고 보시면 됩니다. 다만 이러한 금액의 경우 40만원 미만을 납입할 경우 정부의 지원금이 가장 높으며, 이러한 납입금이 클수록 점차적으로 정부의 지원금이 낮아지는 특징이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