Q. 재검하니 미세혈뇨가 22개 나왔어요 ct만해도 된다며 방광 내시경을 안해주시던데 꼭 내시경 해야하나요
안녕하세요. 오현수 의사입니다.우선 검사결과를 기다려보시죠. 특별히 큰 문제 아니고, 일시적 스트레스 양상으로 인한, 또는 방광염으로 인한 미세혈뇨일 가능성이 높아보입니다. 타병원으로 간다 한들, 지금 시행하고 있는 검사 포함하여 시행했던 검사 모두 재평가 시행해야 할 가능성 있고, 기존 병원에서 검사결과 다 확인 이후, 병원을 옮기더라도 옮기는게 합당해보입니다. 저도 지금 현재 주치의 선생님의 의견과 같습니다. 단순히 미세혈뇨가 있다고 하여, 무조건적인 내시경을 고려해야 하는것은 아닙니다. 그리고 이미 CT 촬영했고 여기서 문제 없다면 더욱이 그러겠지요. 답변이 도움되었기 바랍니다. ㄱ마사합니다.
Q. 부정맥약 부작용 여부를 어떻게 확인하나요?
안녕하세요. 오현수 의사입니다.코다론의 주요 부작용: 서맥, QT-연장이 있을 경우에는 Torsades de pointe 가 가능할 수 있으며, 간질성 폐렴 양상, 간기능 상승등의 주요 부작용이 있답니다. -> 해당 약제는 리듬 컨트롤 목적으로 쓸수 있고, 심방세동의 심박수가 너무 빨라, 조절이 되지 않는 급성기 상황에서 응급하게 사용하는 약제이기도 합니다. 자렐토(rivaroxaban, DoAC) 으로 심방세동의 항응고 목적으로 사용하게 된답니다. 항응고목적인만큼, 소화기계 출혈 부작용등이 있을 수 있겠죠. 담당 주치의선생님께서 청진기로 보셨던것은 리듬이 어느정도 규칙적으로 유지되고 있다는 점에서 약제의 작용이 잘 되고 있다는 점을 말씀드린것 같으며, 현재 특별한 증상 없다면 부작용 없음으로 판단하지 않았을까 싶습니다. 어차피 주기적인 혈액검사는 진행하고 있었을테니, 간기능 이상이라던가 이런것은 전산적으로 모니터링 할 수 있었을테구요. 너무 큰 걱정하지마시고, 주기적 추적검사 통해 건강 잘 유지하시기 바랍니다. 감사합니다.
Q. 임신막달 매독양성 도와주세요 전문가님 ㅠㅠ
안녕하세요. 오현수 의사입니다.과거 매독 감염력이 있다면 TPLA 양성은 과거 매독 감염력이 있다고 보는것이 합당하며, RPR 2.0 이라면 활동성 감염보단 약한 양성으로, 잔류 양성 소견으로 보이는게 맞습니다. 현실적으로는 활동성 감염일 가능성은 제가 보기엔 낮다고 보긴 하나, 배제할수는 없습니다. RPR이 지속적으로 수치가 높아질 경우, 활동성 감염 배제할수는 없습니다. 신생아 검사를 시행하면 될것으로 보이긴 하나, 관련 검사 시행 유무는 해당 병원에 문의를 해보셔야 할것 같으며, 평가가 어려운 경우라면, 상급병원에서의 진료가 요할 수 있겠지요. RPR 수치가 엄마보다 수치가 높다면, 이는 감염을 의심해야 하는게 맞아요. 부족한 답변이지만 도움이 되었길 바랍니다. 감사합니다.
Q. 당 측정을 거의 실시간으로 하시는 분들이 계시던데 어떻게 하면 그렇게 할 수 있나요?
안녕하세요. 오현수 의사입니다.연속혈당측정기로 연속적으로 혈당의 변화를 감시할 수 있는 장치가 있어요. 당뇨가 있고, 이를 관리한다는 관점에서, 연속혈당측정기 사용을 통해 본인의 공복 혈당과, 혈당 스파이크를 확인하는 과정은 현재 상태 평가에 매우 좋은 정보 툴이 된답니다. 답변이 도움되었기 바랍니다. **매번 바늘로 찌르는 것이 아닌 피부 아랫쪽 피하조직에 센서를 삽입하고, 연속적으로 혈당을 분석하게 되지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