Q. 아이가 친구의 기분을 배려하는 법이 부족한데 어떻게 가르칠까요?
안녕하세요. 아이가 사용하는 언어, 그리고 행동을 면밀히 살펴보고 구체적으로 예를 들어서 말해 주세요. 이러한 말은, 혹은 이러한 행동은, 다른 사람이 보기에 이렇게 받아들여질 수 있다, 그러니 다르게 바꿔보자고요. 예를 들어서 심한 말을 하는 아이라면 그 말을 부드럽게 바꾸도록, 혹은 눈치가 없이 다른 친구가 힘듦을 토로할 때 난 아니라고 말한다면 역지사지의 공감하는 말하기를요. 이처럼, 아이가 친구의 기분을 배려하도록 유도해 주시고, 이를 집에서도 연습하도록 해 보시기 바랍니다.
Q. 학습에 대한 의욕이 없는 아이, 어떻게 동기부여를 할 수 있을까요?
안녕하세요. 아이가 좋아하는 것, 잘하는 것, 혹은 닿고 싶은 것이나 하고 싶은 것을 생각하게 하면서 그것을 학습과 연결시켜 주세요. 생활 속에서의 다양한 사례, 혹은 아이가 좋아하는 캐릭터나 소재 등을 활용하여 이를 아이가 배우는 학습 주제와 연결하여 학습에 대한 의욕을 키우는 것도 도움이 될 수 있습니다. 다양한 방식의 동기 부여를 활용해 보시기 바랍니다.
Q. 발표를 잘 못하는 아이, 어떻게 발표 능력을 기를 수 있을까요?
안녕하세요. 아이가 발표를 잘하지 못한다면, 자신감을 기르는 연습을 집에서 하는 게 좋아요. 집에서 부모님이나 다른 가족 구성원 등 편안한 사람들 앞에서 소개하는 연습, 내가 잘하는 것을 계속 하고, 내가 잘하는 것을 찾으면서 자신감을 키워가는 과정을 가정 내에서 계속 하도록 유도해 주시기 바랍니다. 실제 상황처럼 발표를 하게 하고, 아이에게 긍정적인 조언과 피드백을 건네 주는 것도 큰 도움이 될 수 있습니다.
Q. 친구와의 관계에서 소외감을 느끼는 아이, 어떻게 도와줄까요?
안녕하세요. 아이가 친구 관계에서 소외감을 느끼고 있다면, 아이가 먼저 다른 친구들에게 다가가서 같이 놀자고 말하는 연습을 해보도록 해 보세요. 먼저 교실에서 나와 성향이 비슷한 친구, 혹은 친해지고 싶은 친구가 있는지 살펴보고 먼저 놀자고 말해보는 게 좋겠습니다. 그러기 위해서는 스스로 자신감을 가져야 하고, 그러한 연습을 가정 내에서 하면 좋아요. 새학기가 되면 새로운 친구들을 만나니까 그때 도전해 보면 좋을 것 같습니다.
Q. 아이가 새로운 과목이나 학습 내용을 어려워 할 것 같습니다.
안녕하세요.초등학교 입학하자마자 그렇게 학습적으로 어려운 내용을 배우지는 않습니다. 특히 1학년은 한글 해득, 간단한 글 읽기, 낱말 쓰기, 수 세기, 수 읽고 쓰기, 덧셈과 뺄셈 등의 간단한 내용을 다룹니다. 불안하다면 1학년 때 배우는 내용에 대해서 가볍게 아이와 함께 보는 시간을 가지면서, 정리하면 도움이 될 것 같습니다.
Q. 아이가 초등학교에 입학 후 새로운 교사와의 관계 형성이 걱정됩니다.
안녕하세요.초등학교 1학년 선생님이라면, 아이를 이해하기 위해 노력할 것이고, 또 1학년의 특성을 고려하여 긍정적인 래포 형성 및 관계를 맺기 위해 다양한 상호작용, 놀이 활동, 수업 기법을 활용하실 거예요. 그래서 너무 걱정하실 필요는 없다고 생각되고, 구체적으로 아이가 학교에 가기 시작하면서 아이와 이야기를 나누어서 아이에게 피드백, 그리고 조언을 주는 것이 도움이 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