Q. 자기 전에 불안감이 심한 아이 어떻게 안정감을 줄 수 있을까요?
안녕하세요. 자고 일어나도 계속 가족들이 있고, 변하는 게 없다고 안심을 해 주세요. 어두운 환경에 불안이 있는 거라면, 조명을 조금 켜둔다든지 등의 방법으로 안정감을 줄 수도 있습니다. 아이 옆에서 책을 읽어주거나, 토닥여주는 등 아이가 잠들 수 있도록 편안한 분위기를 조성해 주시고, 또 보호자가 안정감을 주는 방법도 고려해 보시기 바랍니다.
Q. 감정 조절이 힘든 아이, 어떻게 가르쳐야 할까요?
안녕하세요.아이가 당장 감정을 조절하기 위해서 심호흡하기, 눈을 감고 10초 등 짧은 시간을 세기, 물을 마시며 진정하기 등의 방법을 사용하도록 해 주세요. 이러한 임시방편을 사용하되, 평소에 명상, 감정을 다스리는 방법 등을 이야기를 나누면서 감정 조절을 할 수 있도록 도와주시기 바랍니다.
Q. 동생이 많다보니 본인 물건을 건드리면 민감한 아이 어떻게 위로해 줘야하나요?
안녕하세요.일단은 큰 아이가 아끼는 물건, 만지면 안되는 물건은 동생의 손이 닿지 않는 높은 손이나, 아니면 모르는 곳에 보관해 두는 게 좋을 것 같습니다. 아직 동생이 어리고, 이러한 물건의 중요도르 모를 수 있다고 말씀을 해 주시면서도 속상함을 공감해 주고, 실질적으로 해결 방안을 고민하면서 그래도 큰 아이의 불만이 조금 해소되는 방향으로 도움을 주시는 게 좋겠습니다. (앞에서 말한 것처럼 모르는 것에 보관하기 등)
Q. 소란스러운 아이, 어떻게 주의력을 집중시킬 수 있을까요?
안녕하세요.아이가 소란스럽고 집중력이 부족하다면 일단은 가만히 앉아서 무언가를 하는 연습부터 시작해 주세요. 꼭 공부가 아니라도 좋으니, 어떠한 활동이라도 앉아서 집중하는 연습을 하도록 해 주세요. 짧은 시간부터 시작하면서, 아이가 집중해나갈 수 있도록 도와 주시면 아이의 집중력이 늘어나는 데에 도움이 될 겁니다. 점차 익숙해지면 시간을 늘리고, 또 공부에 집중을 하는 등 조금 난이도를 높여서 하게 해 주세요.
Q. 숙제나 프로젝트에 대한 부담과 스트레스가 큰 아이 어떻게 해야 할까요?
안녕하세요. 아이가 숙제나 프로젝트에 대한 부담과 스트레스가 너무 크다면, 너무 잘하지 않아도 괜찮다고 아이를 독려해 주고 또 응원해 주세요. 이러한 숙제나 프로젝트는 배우는 과정이므로, 어렵다면 선생님에게 질문하거나, 혹은 일단 해보고 어려운 부분을 적어 놓으면서 다음에 더 발전시키면 된다고 해주시기 바랍니다. 직접적으로 도와주지는 마시되, 조언이나 피드백을 건네면서 간접적으로 도움을 주시면 좋겠어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