Q. 요즘 아이들은 스트레스 해소를 어떤식으로 하나요?
안녕하세요.아이의 나이에 따라 다르지만, 아이가 어리다면 좋아하는 캐릭터의 굿즈를 수집하거나, 좋아하는 만화영화를 보거나, 보드게임을 하는 것, 아이가 조금 자라면 말씀하신 노래방에 가서 노래를 부르거나, 아이돌 굿즈를 사거나, 게임을 하는 등의 방법으로 스트레스를 풀 수 있습니다.
Q. 유치원 아이들에게 사회성을 길러주기 위한 말은 어떻게 하는것이 좋은가요?
안녕하세요.아이의 사회성을 길러주기 위해서 집에서 할 수 있는 말로는 여러 가지가 있습니다.먼저 상호작용을 유도하면서, 서로 소통하는 힘을 길러 주세요. 친구와 같이 놀고 싶을 때 어떻게 말해야 할지, 친구가 속상하게 했다면 어떻게 표현할 수 있을지 등을 알려 주고 사회적인 상황(누군가가 먼저 인사할 때, 말을 걸 때) 어떻게 반응해야 하는지 알려주고 연습하도록 해 주세요.사회적으로 지켜야 하는 규칙이 있음을 안내하고 가정에서도 뛰지 않고 걸어 다니기, 말이 끝날 때까지 기다리고 말을 하기 등 지켜야 할 약속을 상기시켜 주시고, 아이가 지키면 긍정적인 칭찬과 격려를 해 주세요.아이 스스로 문제를 해결하는 방법을 기르도록, 도와주시고 가능한 보호자가 직접 문제를 해결해 주기보다는 조언과 피드백을 주어 아이가 느리더라도 해결할 수 있도록 도와주세요.이외에도 보호자가 모델링을 통해서 모범을 보여, 아이가 따라하도록 유도하는 것도 도움이 됩니다.
Q. 컴퓨터 게임에 너무 빠져 있는 아이, 어떻게 제한하는 것이 좋을까요?
안녕하세요. 아이가 컴퓨터 게임에 너무 빠져 있다면, 컴퓨터 게임을 하는 시간과 빈도, 주기 등을 조절하여 아이가 컴퓨터 게임을 해나갈 수 있도록 해 주시기 바랍니다. 게임 시간을 아이와 이야기를 나누어 정하고, 컴퓨터 게임 이외에 재미있는 활동을 하도록 유도하여 아이가 게임 외에도 다양한 재미있는 활동이 있음을 알고 하도록 유도해 주시면 도움이 됩니다.
Q. 학교에서 발표하는 것을 두려워하는 아이, 어떻게 자신감을 줄 수 있을까요?
안녕하세요. 아이가 자신감을 채울 수 있도록, 처음에는 편한 가족들, 편한 친구들 등 본인이 이야기를 하기에 편한 사람들 앞에서 먼저 발표를 해 나갈 수 있도록 도와주시기 바랍니다. 실제 발표를 하는 것처럼, 연습하도록 해 주셔서 아이가 자신감을 쌓고 이야기해 나가게끔 유도해 주세요.
Q. 태권도 동작을 잘 못하면 다른 운동을 해야할까요?
안녕하세요. 보통 그래도 계속 하다 보면 나아지기는 할 겁니다. 태권도 동작을 익히지 못해도 괜찮다고, 천천히 따라가면 된다고 해 주시는 게 좋을 듯 해요. 염려되는 건, 다른 운동이라면 줄넘기나 검도 등 선택지가 그렇게 넓지는 않을 텐데, 다른 운동이라고 해서 그렇게 쉽거나 곧잘 할 수는 없기도 해서요. 아이가 너무 힘들어 하는 게 아니라면, 격려해 주면서 스스로 조금씩 나아가도록 해 주시는 게 좋을 것 같아요. 이대로 태권도를 그만 두고 다른 운동을 잘하면 다행이지만, 다른 운동도 적응하지 못하면 오히려 아이에게 있어서 더 큰 난관이 될 것 같거든요. 아이의 운동 신경 등 다른 부분을 몰라 조심스럽습니다만, 태권도의 관장님 등 거기 선생님과도 이야기를 나눠 보시기 바랍니다.
Q. 아이가 본인 위주의 삶과 생각이 강한데, 어떻게 교정해주는게 좋을까요?
안녕하세요. 쉽게 바뀌지는 않습니다. 그게 바뀌어 가는 과정에서 사람과의, 특히 또래 친구들과의 경험이 필요합니다만, 그것만으로 바뀌기는 힘들어요. 아이에게 직접적으로 말을 해 주시는 것도 필요하고, 집에서도 노력이 필요합니다. 물론 대놓고 말한다기보다는 아이에게 부드럽게 말해서, 아이 스스로 인지하도록요.
Q. 숙제를 자주 잊어버리는 아이, 어떻게 하면 숙제를 잘할 수 있을까요?
안녕하세요. 숙제를 잊어버리지 않도록, 아이가 학교에 돌아오자마자 바로 혹은, 저녁을 먹은 뒤에 이런 식으로 명확하게 언제 할 건지를 정하도록 해 주세요. 숙제가 없는 날이라고 하더라도 숙제를 확인하는 시간을 가지면서 본인이 놓친 게 없는지 확인하는 시간을 마련하는 것이 필요합니다. 스스로 숙제를 확인하고, 점검하는 시간을 매일 가지도록 해 주세요.
Q. 존댓말 매번 교육시켜주는게 맞는건가요?
안녕하세요.둘 다라고 생각합니다.실생활에서 어른들, 그리고 가까운 가족들이 사용하는 것을 보고 배우게 되므로, 가족들이나 주위의 어른들, 주위 사람들이 모범을 보이고 바른 언어 생활을 할 필요가 있습니다.그리고 구체적으로 자녀에게 존댓말을 안내하고, 순간, 상황마다 아이가 바른 존댓말을 사용하도록 부드럽게 교정을 해 주는 것도 도움이 됩니다.즉, 둘 다 일상적으로 사용될 수 있으며, 둘 다 사용하는 것을 권장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