Q. 아이가 가족과의 유대감을 느끼도록 돕는 방법은?
안녕하세요. 유대감이라는 것은 단기적으로 쌓이지 않고 장기적으로 쌓아가는 감정이라는 점에서, 아이가 유대감을 쌓을 수 있도록 평소에 많은 대화를 나누면서 아이가 이야기하는 것을 긍정적으로 인식하도록 도와주시는 게 필요합니다. 즉, 외식이나 캠핑, 여행 등의 활동도 좋으나, 꾸준히 아이가 유대감을 느끼기 위해 대화를 하고 우호적인 분위기를 형성하는 게 가장 중요합니다.
Q. 초등학생이 책임감을 가지고 학습 목표를 달성하도록 돕는 방법은?
안녕하세요.책임감이라는 것은 결국 책임을 져야 하는데, 사실 스스로 결과를 책임진다는 개념이 초등에서는 힘듭니다. 그나마 중등부터 지필 시험이 있고 고입이나 대입이 있기는 하지만요. 그래서 무언가 시험이나 외적인 요인이 아니라 스스로 공부의 중요성을 깨닫고, 공부해서 도달하고 싶은 게 뭔지를 파악해야 해요. 책임감을 가지는 게 쉽지 않고 오히려 이 책임감은 아이의 학습에 스트레스나 부담으로 작용할 수 있으니, 굳이 주고 싶다면 아이가 공부 계획을 세우고 그 계획을 실천했는지 체크하기, 약속된 분량은 공부하기 정도에서 책임감을 줄 수 있을 듯 해요.
Q. 옛날에 조선시대에 동의보감을 쓴 허준 선생님은 어릴 때에는 대역 죄를지었습니다 그러다가 평생을 속죄하는 마음으로 헐벗고 굶주린 사람들을 위해 살
안녕하세요.말씀처럼, 사람은 양면성이 있고 변화할 수 있는 존재입니다. 그럼에도 그 변화와 좋은 점은 묵인하고 과거의 하나만 찝어서 비판, 더 나아가 비난하는 것은 애초에 그 사람을 종합적으로 바라보고자 하는 마음이 아니라 이미 편견과 선입견으로 그 사람을 바라보고 있는 것으로 생각됩니다. 물론 쉽지는 않습니다만, 우리가 하나의 사실만 가지고 그 사람을 단정 짓거나 하는 건 지양해야 할 필요가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