Q. 아이가 경쟁에서 지고 나서 좌절감을 극복하도록 돕는 방법이 궁금합니다.
안녕하세요.경쟁에서 지는 것은 계속 지는 게 아니라 그 경쟁에서 진 것입니다. 그렇기 때문에, 아이가 계속 진 게 아니라는 것을 알고, 이를 기회로 삼아서 이기기 위해, 다음에는 더 좋은 결과를 내기 위해 노력해야 합니다. 그리고 무엇보다도 게임이나 대회에서의 승패가 중요하다기보다는 즐기는 것이 중요한 것이므로, 이러한 결과보다는 과정에서의 즐거움, 이기고자 노력했던 것에 초점을 두어 아이가 본질을 파악할 수 있도록 도와주시기 바랍니다.
Q. 러시아는 대학생이 아이를 낳으면 지원금을 늘려주는데 한국도 그럴가능성이있나요?
안녕하세요. 우리나라의 경우, 갈수록 결혼을 하는 연령, 그리고 아이를 낳는 연령이 늦어지고 있습니다. 그래서 아이를 낳을 때의 지원금을 늘려주는 방향으로는 지원이 늘어날 수 있겠습니다만, 대학생이 아이를 낳으면 지원금을 늘려주는 방식으로는 우리나라 정서상, 그리고 현실적으로 정책의 효과를 고려할 때 실현 가능성이 그렇게 높아 보이지는 않습니다.
Q. 초등학교 학생들의 비판적 사고를 기르는 방법은?
안녕하세요. 초등학교 아이들이 비판적 사고력을 기르기 위해서는 답이 정해져 있지 않은 문제나 도덕적 딜레마 상황에서의 결정 과정을 토의하고 토론해 나가는 과정이 도움이 될 수 있습니다. 특히나 사실이 사실이 맞는지, 비판적으로 접근하고 반박하고 반례를 찾아보는 경험도 도움이 되며 이를 위해 꾸준히 독서, 토론, 글쓰기, 신문 읽기 등의 활동을 해나가는 것이 중요합니다.
Q. 초등학교에서 자연탐구학습을 효과적은 진행하는 방법은?
안녕하세요. 초등학교에서의 자연 탐구 및 기록하는 수업을 효과적으로 진행하기 위해서는 자연을 자세히 관찰하고, 탐구하는 자세가 필요합니다. 또한 이러한 자연을 단순히 눈으로 보는 게 아니라 설명해 주고, 묘사해 주어 아이들이 호기심을 가지고 바라볼 수 있도록 해 주어야 합니다. 아이가 상상할 수 있도록 다양한 개방적인 발문을 제시하는 것도 도움이 될 수 있습니다. 단순히 본다는 것에 그치지 않고 그림을 그리거나, 작품을 만들거나, 혹은 시를 쓰는 등의 연결된 활동을 같이 하는 게 중요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