Q. 초등학생의 훈육은 어떻게 하는 것이 좋은가요?
안녕하세요. 초등학생을 훈육할 때에는 감정 조절과 올바른 행동 기준을 함께 알려주는 것이 중요합니다.부모가 동시에 훈육할 때에는 한목소리로 일관된 메시지를 주는 게 효과적입니다. 여기서 서로 훈육이 다르면, 아이가 혼란을 느끼거나 저항을 하게 될 수도 있기 때문이에요.하지만, 아이를 몰아세우기보다는 감정을 조율하는 역할도 필요합니다. 다만, 그 조율자도 아이의 행동을 무조건 옹호하는 것이 아니라 감정을 공감해 주면서 훈육의 방향을 지지해야 합니다. "네 편이지만, 잘못된 건 바로 잡아야 해."라는 메시지를 전달되어야 합니다. 부모가 서로 다른 입장을 보이게 되면, 아이는 훈육을 피하려고 한쪽만 따르려고 할 수 있거든요. 그래서 사전에 보호자끼리 원칙을 정하고, 훈육 방식에 대해 합의하는 것이 가장 중요합니다.
Q. 50일 신생아 수유량이 줄어들고 있어요😭
안녕하세요. 질문 잘 읽어보았습니다.지금 수유량이 줄어든 것은 단유 후 분유 적응기의 영향일 수 있습니다.모유보다 분유가 소화가 천천히 되기 때문에, 같은 양을 먹지 않아도 포만감을 더 오래 느낄 수 있습니다.그리고 아기 체중이 꾸준히 잘 늘고 있다면 큰 문제는 없어 보입니다.억지로 수유량을 늘리면 오히려 역류, 불쾌감을 유발할 수 있습니다.수유 간격과 아기의 기저귀 상태를 함께 관찰하면서 판단해 주시기 바라며,수유 거부가 심하거나 체중 증가가 멈춘다면 소아과 상담을 받아보시는 것이 좋겠습니다.
Q. 갑자기 시작된 아이의 불안 어떻게 해야할까요?
안녕하세요. 말씀해 주신 상황을 종합해 보면, 아이가 갑작스레 분리불안과 불안을 강하게 경험하고 있는 것으로 보입니다. 7살이라면 원래 어느 정도 독립성이 있지만, 환경 변화나 내적인 불안으로 인해 갑자기 나타나는 경우도 있습니다. 아이가 혼자 있는 기분이라고 말하거나, 자기 전에 무서운 꿈을 꾸는 것은 심리적인 불안을 표현하는 일종의 행동으로 보여요.지금처럼 혼내는 것보다는 아이가 안전함을 느낄 수 있도록 안정적인 반응을 보여주는 것이 도움이 될 수 있겠습니다. 짧게 안아주면서 엄마가 옆에 있다고 안심시켜 주는 것이 좋겠습니다. 동시에 혼자서도 안전하게 시간을 보내는 경험을 조금씩 늘리는 연습을 하게 해주시는 것이 도움이 됩니다.문화센터나 친구와 노는 활동을 다시 천천히 시도하거나, 집 안에서 혼자서 노는 시간을 만들어 주세요. 만약 울음이나 불안이 일상생활에 많이 영향을 주고 있다면, 아동 전문 심리상담이나 놀이 치료를 받아보시는 것도 도움이 될 수 있으므로 고려해 보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