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등학생의 훈육은 어떻게 하는 것이 좋은가요?
아이들이 말을 안들을때는 엄마나 아빠가 동시에 훈육을 해야 하는지 아니면 한명은 아이편을 들어야 그래도 아이가 숨을 쉴수 있는 것을 만들어줘야 하는지요. 아이편을 들면은 또 자기 편을든 사람만 좋아하는것도 있어서요
안녕하세요. 천지연 어린이집 원장입니다.
아이가 말을 듣지 않을 때 보통 부모님들은 한 쪽은 엄하게. 한 쪽은 부드럽게 해야 한다 라고 생각을 하시지만
실은 그렇지 않습니다.
아이의 훈육의 있어서는 부모님 모두의 가치관이 일치해야 하고, 또한 단호하고 일관성이 있어야 한다 랍니다.
즉, 아이가 잘못한 부분이 있다면 그 시간. 그 상황에 있으신 부모님이 아이의 행동에 있어서 단호하고 일관성 있는
태도로 아이의 잘잘못을 알려주고 아이의 잘못한 부분을 바로 잡아준 후, 아이가 혼이 나서 속상했을 마음을 잘 달래어 주는 것 까지 그 시간, 그 상황에 있었던 부모가 다 케어를 해주셔야 합니다.
즉, 부모 한 사람만 엄하게 훈육을 하면 아이는 그 부모 한 사람만 무서워 하고 두려워하고 말을 듣지 않는 부분이
생기기 때문에 앞서 언급했던 아이의 잘못의 있어서는 부모 모두가 단호하고 일관성 있게 아이의 잘못된 행동을
알려주고 바로 잡아주는 부분이 필요로 하겠습니다.
초등학교 아이을 어떻게 해야 하는지가 궁금한 것 같습니다.
혼란을 방지하고 일관된 메시지로 신뢰를 형성하는 것이 좋겠습니다.
훈육을 할 때는 한 사람이 항상 나쁜 역할을 맡으면 아이와의 관계가 악화될 수가 있습니다. 균형 있게 역할을 나누는 것이 좋습니다. 아이를 훈육할 때는 소리를 지르기보다는 친근한 어투로 말해야 합니다.
가장 우선적으로 해야 할 것은 아이의 마음을 읽어주는 것입니다.
그런 다음 관찰한 사실을 말해주고 양육자의 감정을 전달합니다.
마지막으로 '앞으로는 ○○행동은 하지 않았으면 좋겠어'라고 부탁을 하면 좋을 것 같습니다.
안녕하세요. 김선민 초등학교 교사입니다.
초등학생 훈육 시 부모가 한 목소리를 내는 것이 원칙입니다. 한쪽은 꾸짖고 다른 쪽이 편을 들면 규칙의 일관성이 깨져 아이가 혼란을 느끼고 규칙을 회피하려는 행동이 생길수 있습니다. 대신, 훈육 후에는 따로 아이의 감정을 공감하고 안정시켜 주어 부모가 함께 규칙은 지키되 사랑은 변함없다는 메시지를 주는 것이 좋습니다.
안녕하세요.
초등학생을 훈육할 때에는 감정 조절과 올바른 행동 기준을 함께 알려주는 것이 중요합니다.
부모가 동시에 훈육할 때에는 한목소리로 일관된 메시지를 주는 게 효과적입니다. 여기서 서로 훈육이 다르면, 아이가 혼란을 느끼거나 저항을 하게 될 수도 있기 때문이에요.
하지만, 아이를 몰아세우기보다는 감정을 조율하는 역할도 필요합니다. 다만, 그 조율자도 아이의 행동을 무조건 옹호하는 것이 아니라 감정을 공감해 주면서 훈육의 방향을 지지해야 합니다. "네 편이지만, 잘못된 건 바로 잡아야 해."라는 메시지를 전달되어야 합니다. 부모가 서로 다른 입장을 보이게 되면, 아이는 훈육을 피하려고 한쪽만 따르려고 할 수 있거든요. 그래서 사전에 보호자끼리 원칙을 정하고, 훈육 방식에 대해 합의하는 것이 가장 중요합니다.
안녕하세요. 임경희 보육교사입니다.
아이의 훈육을 위해서는 부모가 함께 하는 것보다 한 명만 담당하는 것이 좋습니다. 그리고 한 명이 훈육할 때에는 절대 아이편을 들거나 간섭해서는 안됩니다. 훈육이 끝난 후에 아이와 단호하게 이야기 하고 아이 마음을 보듬어주는 방법은 좋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