Q. 자본주의와 사회주의에 대해 질문드립니다.
안녕하세요. 권기헌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자본주의는 시장이 돌아가는 것을 정부에서 통제하는 것을 최소한으로, 사회주의는 철저히 정부(집단)에 의해서 컨트롤하는 것이라 할 수 있는데요.개인이, 개인의 능력으로 개인 본인을 위해서 경제를 이끌어나가는 것이 자본주의라면, 집단을 위해, 개인의 능력을 쓰는 것이 사회주의라 할 수 있습니다.자본주의에서는 부자도 있고, 가난한자도 있는 것이 당연하지만 사회주의에서는 절대 있을 수 없는 것이죠. 물론, 실재는 다르지만요...
Q. 세계 역사나 국내역사는 믿어도 되는걸까요?
안녕하세요. 권기헌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역사적 자료를 토대로 만들어진 역사를 믿지 못하는 것은 합리적이지는 않은 것 같습니다. 물론, 옛날 부터 전해져오는 야사들은 자료를 작성한 작성자의 생각이나 주변의 풍문들을 기반으로 했기 때문에 의심을 해볼 수 있는 역사가 되겠지만, 예를들어 조선왕조실록, 이순신 장군의 난중일기 등은 객관적인 날짜, 계절감, 상황이야기 등이 상세하게 나와있기 때문에 이런 자료들로 구성된 역사를 의심하는 것은 합리적인 의심은 아니라고 생각이 드네요.
Q. 한반도에도 석기시대 고인돌이 존재하나요?
안녕하세요. 권기헌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청동기 시대를 대표하는 유물이나 유적 중 가장 대표적인 것이 고인돌이라는 당시의 무덤형태이죠.물론 고인돌이 꼭 무덤이었냐는 것은 아닙니다만, 이 유물, 유적을 통해서 청동기 시대에도 계급이 존재했고, 지배층의 권위를 상징하기 위해 만들었다는 것은 익히 알려진 사실입니다.한반도에도 청동기 시대가 꽃을 피웠고, 수많은 유적지가 한반도 내에 있습니다. 그리고 고인돌은 세계적으로 한반도에 많은 양이 존재한다는 것이죠. 고인돌은 탁자형태의 북방식, 바둑판 형태의 남방식이 한반도에서 발견되고 있으며, 강화도, 고창에 많은 고인돌이 만들어져 있고, 고창은 유네스코가 지정한 세계문화유산으로 등재되어 있습니다.
Q. 우리나라 전통은 좌식문화이고 서양 전통은 입식인데 다른 이유가 뭘까요?
안녕하세요. 권기헌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서양과 한국은 난방을 하는 방식이 다르기 때문에 차이가 있는 것이죠.서양은 벽난로를 보시면 알겠지만 굴뚝을 이용해서 불을 떼우고 여기서 발생한 열을 이용해 내부의 공기, 온도를 높이는 방식입니다. 그렇기 때문에 바닥이 차갑고, 이 때문에 실내에서도 신발을 신으면서 침대 생활을 하고, 의자에 앉아서 생활하는 것이죠.하지만 우리나라는 아궁이라는 온돌을 이용해서 난방을 하기 때문에 공기가 따듯해지는 것이 아닌 바닥면 자체가 뜨거워지는 방식이기 때문에 바닥에 몸이 닿아야 뜨거워지는 방식이어서 좌식 형태가 된 것이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