Q. 시인의 언어를 잘 사용하는 사람들이 가지는 특징이 있을까요?
안녕하세요. 신필욱 전문가입니다.분명히 그냥 이루어진 것이 아니고 많은 훈련과 연습을 통해서 이루어진 것이겠습니다.: 일단은 시인의 언어, 문학가의 언어를 익히기 위하여 많은 독서와, 어휘/ 전반적 인문과학에 대한 연구를 평소에 게을리하지 않아야할 것이며,이러한 문학적 감각을 유지하기 위하여 끊임없이 새로운 것에 대한 탐구와 고찰을 지속해야할 것입니다.그리고 또한 이러한 지식을 기반으로 한 대화자체의 연습을 위하여 여러가지 주제와 환경/ 그룹을 통하여 말하는 연습을 지속해야하겠습니다!!!
Q. 낭만이라는 말이 참 멋있는 것 같은데 정확히 낭만이라는 말은 무엇을 뜻하는걸까요?
안녕하세요. 신필욱 전문가입니다.: 물론 한자어 같은 느낌이 들겠지만, 결국 Romance라는 서구의 단어/개념을 아시아에서 처음 도입하기 위하여 한자로 번역된 용어입니다.그렇다면 Romance란 무엇인가라는 정의에 대하여 알수가 있는데, 소설이라는 것도 결국 Romance라는 단어로 표현/정의가 됩니다. 이는 인간의 희노애락 그 자체가 모두 함축된것이 Romance라는 그런 이야기이겠습니다.**결국 고통과 고난, 그리고 그것이 다시 갈등과 그의 해소를 통한 클라이맥스를 거쳐 기쁨, 혹은 슬픔으로 이어지는 모든 그 인간이 존재하는 어떤 이유 Raison d'etre 자체가 Romance가 아닐까 합니다!!!!
Q. 비문학 독해력을 늘릴 수 있는 방법을 알려주세요
안녕하세요. 신필욱 전문가입니다.이는 익숙해지지가 않아서 발생하는 문제입니다.: 문학도 약간 쉽지않게 쓴 문장으로 구성되거나 그 내용이 친숙하지 않을 경우 독해가 그렇게 쉽게 되지 않을수 있습니다.그런데 비문학의 경우 딱딱하고 소재자체가 잘 모르는 내용이 있을 경우 그런 현상이 더 쉽게 일어난다는 것입니다.예를 들어, 토마스쿤의 과학형명의 구조...라는 책이 참 명저인데.. 그것을 처음읽으면 정말 읽어나가는 것이 힘듭니다..이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Keyword 분석법, 그리고 Repeating Reading Method 두가지를 사용해보실 것을 권장드립니다.첫째방법은 읽으면서 이해가 안가는 부분의 Keyword들을 노트에 나열하고 해당 Keyword들에 대하여 좀더 지식/배경/부가 내용 등을 공부하는 것입니다.둘째방법은 한번 두번이 아니고 꼭 처음부터 정주행이 아니더라도 계속적으로 반복해서 읽는 방법입니다.첫째와 둘째를 조합하여 시행하면, 계속적으로 친숙도 상승/ Background Knowledge 상승 두가지가 증가하면서 자연스레 해당 어려운 작품의 독해력과 읽어나가며 이해/공감하는 능력이 증가할 것입니다!!!
Q. 오늘, 사랑에 대한 책 읽으면 위로가 될까요?
안녕하세요. 신필욱 전문가입니다.물론 사랑에 대한 글/소설/시 등을 읽으면 도움이 당연히 되겠습니다.: 다만, 좀 더 인간의 고뇌와 고찰 등의 오랜 석학들의 전통적인 사고를 탐험하면 더 좋다고 생각됩니다.그래서 고전명작을 다음과 같이 한번 추천을 드리자면,Great Expectations 찰스디킨스Far from the Madding Crowd 토마스 하디폭풍의 언덕 - 에밀리 브론테한여름 밤의 꿈 - 세익스피어**그리고 또한 위대한 대자연/대우주에 관한 책도 한번 읽어보시면 많은 도움이 되실것입니다.!!!!Cosmos - Carl Saga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