Q. 보통 시를 쓸 때 우리가 쓰지 않는 단어들을 작가가 만들어서 쓸 때도 허용하는 이유는 무엇인가요?
안녕하세요. 신필욱 전문가입니다.시(The Poem) 혹은 기타의 문학작품은 단순한 정보 전달이 아니기 때문에, 당연히 문학적 가치와 상상력 및 창의성을 증가시키기 위하여 그러한 변형이 허용되는 것이겠습니다.오히려 어떤 형태의 글에 있어서도, 어떤 정해지고 형식화된 언어만 써야한다는 것은 큰 편견이라 하겠습니다.: 예를 들어, Lev Tolstoy의 명작 War and Peace를 읽어보면 러시아문학이므로 표준의 러시아어로 쓰여져야 마땅하다고 생각하겠지만, 1장의 첫페이지부터 굉장히 많은 양의 프랑스어가 들어가 있으며, (특히 대화체에서) 따로 그에 대한 해석은 작품속에 들어가 있지 않습니다. 또한 프랑스어만큼은 아니지만 곳곳에 이탈리아어 독일어 등등의 외국어가 해석없이 등장하고 있습니다.즉, 한국의 소설은 한국어, 특히 정형화된 정확한 한국어로만 구성되어야한다..라는 것은 너무나 무리한 제약의 개념이라고 하겠습니다.그러므로 시는 더욱더 자유스런 감성과 창의적 상상력을 자극하기 위하여 더욱이 많은 독창적 언어가 허용되는 것이겠습니다!!!!
Q. 책 이름 찾아요.. 소년이 엄마에게 고기를 가져다주는 씬
안녕하세요. 신필욱 전문가입니다.우선 해당하는 내용만 가지고는 찾기가 굉장히 힘들겠습니다.하지만 어떻게든, 범위를 좁혀서 찾을수 있는 확률을 높히기 위해서는 다음과 같은 힌트를 사용하여 추리를 해볼수 있겠습니다.: 대피소가 나옴 ==> 현대의 전쟁일 확률이 높겠습니다. 즉, 1/2차 세계대전에 관한 책분야일 확률이 높겠습니다.: 서양문학 ==> 전쟁을 배경으로 하고 서양문학이라면 역시 안네프랭크의 일기처럼 유럽작가일 확률이 높다고 하겠습니다. 즉, 세계대전의 고통을 직접겪어본 곳에서 나온 작품일 확률이 높다는 것이겠습니다.위와 같은 내용을 기반으로 하여 책구매 사이트 (교보문고/알라딘/YES24 등)을 중심으로 검색해보시는 것을 추천드립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