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홈답변 활동잉크

안녕하세요. 신필욱 전문가입니다.

안녕하세요. 신필욱 전문가입니다.

신필욱 전문가
프리랜서
문학
문학 이미지
Q.  높임말을 쓸 때의 원칙이 따로 있을까요?
안녕하세요. 신필욱 전문가입니다.높임말의 경우 동사는 필히 그 높임의 대상에 맞추어 존칭의 형태로 모두 바꾸어주어야합니다.가장 일반적이고 쉬운 예로 밥을 먹다...는 만약 이 밥을 먹는 주체가 존칭을 하여야하는 경우 진지를 드시다...이렇게 표현해주어야한다는 것입니다...다만 일상 생활에서는 진지라는 단어는 그냥 식사 정도로 표현하고 식사를 드시고 계세요... 등으로 하여도 큰 무리는 없겠습니다...
문학
문학 이미지
Q.  한국인 보다 외국인이 한국명문대에 입학하기가 쉬운가요?
안녕하세요. 신필욱 전문가입니다.그것은 차별이 아닙니다. 왜냐하면 그러한 특수특례가 있다고해도 굉장히 소수인원만이 할당되기 때문입니다.그것을 차별이라는 방식으로 잘못 판단할 경우 법으로 명문화되어있는 장애인들에 대한 최소한의 고용의무도 차별로 인식할수 있는 오류가 생기며, 미국의 명문대학에서 시행하고 있는 인종 국가 특정 지역별 할당제에 의한 입학제도라던지 기부입학제 등이 모두 차별이 될 것입니다.이제 우리나라도 국력이 신장되고 소득이 높아진만큼 이런 작은 소수자에 대한 혜택을 차별(역차별)이라고 생각하거나 차별인 것처럼 호도하는 속좁은 의견 및, 정치 혹은 이익집단 등의 행태는 반드시 사라져야합니다...
문학
문학 이미지
Q.  한국문학의 갈래 중 자아의 개입 관련해서
안녕하세요. 신필욱 전문가입니다.질문자님의 후반부 문의부에 약간의 틀린 곳이 있습니다.."서정"은 작품 외적 세계의 개입이 없는 세계의 자아화이며.. (**개입이 있는 자아의 세계화는 교술)"서사"는 작품 외적인 자아의 개입이 있는 자아-세계의 대결입니다.. (**개입이 없는 자아-세계의 대결은 희곡)즉 두가지 개념은 글자자체는 비슷해보이지만 완전히 다른 장르로 구분됨에 주의하셔야하겠습니다...
문학
문학 이미지
Q.  성경의 여러가지 버전은 어떤 기준으로 만들어진건가요?
안녕하세요. 신필욱 전문가입니다.성경 혹은 성서 즉 Holy Bible은 종교의 경전이다보니 같은 신약 구약이라도 개신교 카톨릭 혹은 정교회 유대교 등에 따라 그 포함되는 권수가 조금씩 다릅니다. 특히 개신교는 카톨릭처럼 통일된 교구가 존재하지않기 때문에 그 변이가 좀 더 심하다고 하겠습니다.또한 우리나라 내에서 한글로 번역된 성서도 개신교와 천주교 쪽이 서로 번역이 달라 성경의 어떤 고유명사격인 용어의 발음도 미묘하게 달리 표기되는 부분이 제법 존재합니다...
문학
문학 이미지
Q.  노벨문학상을 수상한 한강 작가의 근황은 어떠한가요?
안녕하세요. 신필욱 전문가입니다.한강 작가는 이미 오래 전에 전임교수직도 그만두시고 완전 전업 작가의 생활만 하고 계시며 노벨상 수상 이후에도 언제나처럼 새로운 작품에 대한 구상과 집필에만 온전히 집중을 하고 계십니다...
문학
문학 이미지
Q.  국어에서 중요한 문장을 가리는 기준이 무엇인가요? 중요 문장 찾기를 하고 있는데 중요 문장이 왜 중요문장인지 어찌 파악할 수 있는지 궁금해요
안녕하세요. 신필욱 전문가입니다.중요한 문장이란 어떻게보면 참 모호한 정의일수 있는데 크게 두가지로 나눌수 있겠습니다..첫째는 전체적 내용에 대한 주제를 담고있는 문장을 칭할수 있겠습니다.둘째는 읽는이에게 어떤 강렬한 메세지를 줄수 있는 내용을 함축한 문장을 지칭할 수 있겠습니다.또한, 글이라는 것이 AI가 그냥 알고리즘으로 뚝딱 만들어내는 것이 아닌 쓰는 이의 혼과 정신 그리고 사상이 담기는 하나의 사유공간이라고 할수 있기 때문에 어떻게보면 모든 문장 하나하나가 중요하다고도 하겠습니다...
문학
문학 이미지
Q.  유해 도서 검열 기준은 어떻게 볼 수 있나요?
안녕하세요. 신필욱 전문가입니다.어떠한 이유에서라도 창작미디어에 대한 검열이 있어서는 안되겠습니다. 특히 민주주의 사회에서는 정부기관이 미디어 등을 검열하는 것은 정말 있어서는 안될일이며 부득이하게 등급을 매기는 일이 필요하다면 미국의 경우처럼 민간심의기구에서 등급을 책정하여 부정적인 영향을 받을 우려가 있는 연령대에 대한 접근을 막는 것이 바람직하겠습니다...
문학
문학 이미지
Q.  글쓰기를 할 때 꼭 짚어 / 꼭 집어와 콕 짚어 / 콕 집어의 옳바른 작성법을 알고 싶습니다.
안녕하세요. 신필욱 전문가입니다.부사부인 꼭/콕: 꼭..이란 것은 영어로 하자면 surely로 확실하고 야무지개한다는 뜻이 되고, 콕...은 뭔가를 찔러넣는 것을 야무지개 동작을 표현하는 뜻이 됩니다..동사부인 짚다/집다: 짚다..는 벽 등에 손을 짚는 동작을 나타내며, 집다..는 손가락 혹은 도구로 어떤 물건을 집는 동작을 말합니다... 이러한 뜻의 원리적 차이를 잘 적용하여 적정한 상황에 맞게 단어를 쓰시면 되겠습니다....
문학
문학 이미지
Q.  사자성어 중에 있는지 궁금한게 있습니다.
안녕하세요. 신필욱 전문가입니다.해당 설명에 딱 맞아떨어지는 사자성어를 찾기는 쉽지않으나 가장 적합한 것은 우리가 널리 일상생활 등에서 많이 회자하는 역지사지..이겠습니다... 또한 참고로 영어에서는 in my shoes라는 구를 사용하여 이러한 상황을 표현하기도합니다....
문학
문학 이미지
Q.  국어사전에 없는 옛말은 어디서 찾아야 되나요?
안녕하세요. 신필욱 전문가입니다.수험시기 등 때 고문 고전 파트를 공부할 때 가장 어려운 점이 이러한 고어의 해석 혹은 뜻을 찾아보는 것입니다.이 경우에 일일이 큰 사전 등을 활용하는 것은 시간도 너무 오래걸릴 뿐더러 아무리 큰 사전이라도 수록이 되지않는 어휘도 많을 수 밖에 없습니다.그러므로 이러한 경우는 관련된 전문서적을 참고하도록 항상 비치하고 참조하거나 예로 드신 불교적 사자성어 등의 특정한 주제의 서적을 탐독하실 수 밖에 없을 것입니다...또한 수험목적의 경우 잘 정리된 수험서의 내용을 참조하시는 것이 시간절약 등을 위해 가장 바람직하겠습니다...
3132333435
아하앤컴퍼니㈜
사업자 등록번호 : 144-81-25784사업자 정보확인대표자명 : 서한울
통신판매업신고 : 2019-서울강남-02231호개인정보보호책임 : 이희승
이메일 무단 수집 거부서비스 이용약관유료 서비스 이용약관채널톡 문의개인정보처리방침
© 2025 Aha.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