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핫뉴스실시간 인기검색어
아핫뉴스 화산 이미지
아하

학문

문학

ㅁㄱㅇ
ㅁㄱㅇ

국어사전에 없는 옛말은 어디서 찾아야 되나요?

괴좃나무와 같이 국어사전에 없는 옛말이나

혹은 불교적 사자성어랄까...?

그런 언어들은 어디서 정보를 얻어서 학습할 수 있나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4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손용준 전문가입니다.

    우리 고어만을 다룬 [ 고어 사전] 이라고 있습니다. 교학사에서 2015년 출판 된 책인데 현재에도 교보 문고 등에서 판매하고 있다고 합니다. 중세 국어 공부에 많은 도움이 된다고 합니다.

    1명 평가
  • 안녕하세요. 김민수입니다.

    국어사전에 없는 옛말이나 불교적 사자성어 처럼 흔히 사전에 등재되지 않은 표현은 다음과 같은 경로로 찾아보는 것을 추천 드립니다.

    1. 우리말샘 등 확장 사전 활용

    ① 국립 국어원 '우리말 샘': 표준 국어 대사전에 없는 말이나 방언, 옛말 등이 국민 참여로 등록되는 오픈형 사전입니다. 사용자들이 직접 올린 정보와 자료도 포함되어 있어, 희귀어, 방언 등도 찾을 수 있습니다.

    2. 학술자료 및 고문헌 검색

    ①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구기자(괴좃나무)같은 옛말의 경우, 대백과사전이나 관련 학술논문, 고서(조선왕조실록, 산림경제 등)에 출전이 남아있는 경우가 많습니다.

    ② 해당 식물이나 단어의 옛명칭, 지역별 방언 등은 실록위키, 옛 문헌 해설서, 또는 관련 연구 논문을 검색하면 출전이나 해설을 찾을 수 있습니다.

    3. 불교 사자성어 참고서적, 문헌

    ① 불교 사자성어 전문 서적: 「불교 사자성어」(윤창화, 민족사)와 같은 관련 서적에서 사자성어의 출전, 해설, 메시지 등이 자세히 수록되어 있습니다.

    ② 한자성어 앱, 학습 사이트: 사자성어나 한자성어 관련 앱에서도 교양, 불교, 고전 성어들을 학습할 수 있습니다.

    4. 기타 참고문헌

    ① 고전 문학 관련 사이트나 나무위키 등에서 상세한 해설 및 기원 정보를 제공하는 경우도 많습니다. 또한, 전통방언 연구서, 민속학 자료, 특정 부야 전문 용어집 등을 참고하는 것도 하나의 방법이 되겠습니다.

    도움이 되었길 바랍니다. 감사합니다.

    1명 평가
  • 안녕하세요. 권태형 전문가입니다.

    중세국어사전을 구입하여 살피시는 편이 좋습니다. 일반 사전엔 그런 디테일한 한자어는 안 나타나있는 경우가 많기 때문입니다.

    1명 평가
  • 안녕하세요. 신필욱 전문가입니다.

    수험시기 등 때 고문 고전 파트를 공부할 때 가장 어려운 점이 이러한 고어의 해석 혹은 뜻을 찾아보는 것입니다.

    • 이 경우에 일일이 큰 사전 등을 활용하는 것은 시간도 너무 오래걸릴 뿐더러 아무리 큰 사전이라도 수록이 되지않는 어휘도 많을 수 밖에 없습니다.

    • 그러므로 이러한 경우는 관련된 전문서적을 참고하도록 항상 비치하고 참조하거나 예로 드신 불교적 사자성어 등의 특정한 주제의 서적을 탐독하실 수 밖에 없을 것입니다...

    • 또한 수험목적의 경우 잘 정리된 수험서의 내용을 참조하시는 것이 시간절약 등을 위해 가장 바람직하겠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