Q. 신문을 읽다 보면 칼럼과 사설이라고 표시되는 지면들이 있는 데 이 둘은 어떤 차이점들이 있나요?
안녕하세요. 신필욱 전문가입니다.: 글자체의 성격상으로는 칼럼과 사설이 사실 딱 나누어 구별하기는 쉽지가 않은 것이 사실입니다.However - 하지만 일단 현시점에서 적용되고 있는 상황으로 보아 구분할 경우,칼럼 : 다양한 주제에 대하여, 다양한 기고자들이 여러가지 자유로운 방식으로 연재하는 글을 말할수 있겠습니다.사설 : 어느정도 현시점에 있어 가령 뜨거운감자 Hot Potato...와 같은 논란의 대상이 될수 있는 주제에 대하여 심도있게 신문사에서 어느 정도 가장 권위있는 논설위원이 주제를 다루는 Main Hot Topic과 같은 칼럼의 한 종류라고 할수 있겠습니다.즉, 사설이란, 칼럼 중에서도 가장 큰 Topic을 심도있게 다르는 것으로 이해하시는 것이 가장 합당하겠습니다.
Q. 현대시를 읽을 때 의미가 너무 함축적이어서 이해가 어려운데 시를 해석할 때 참고할 수 있는 접근법이 궁금합니다.
안녕하세요. 신필욱 전문가입니다.: 함축적 의미가 많은 시들을 읽을때, 우선은 의미 그 자체에 촛점을 두기보다는 운율(Rhyme)에 더 촛점을 맞추고 감상하시는 것을 추천드립니다. 왜냐하면 어떤 경우에 있어 시인들은 단어와 구문의 의미 그 자체보다 Rhyming이라는 그 기법자체로써 어떤 메세지를 전달하기도 한다는 것이겠습니다.: 그리고 전체적으로 익숙해지지 않는 이유는, 한번에 감상할려는 것일수도 있기때문에 반복 Repeating이 필수이겠습니다. 즉, 한번 읽고 다시 그 의미를 항상 생활속에서 생각하고 있다가, 어떤 나의 주변에서 혹은 다른 문학 요소 속에서 마치 HyperLink와 같이 그에 대한 이헤의 연결고리 같은 것이 불쑥 나타나기도 한다는 것이겠습니다.: 또한, 시라는 것이 짧은 표현 속에서 만리와 같은 깊이의 메세지를 전달하고 함유하는 장르이다보니, 시인의 사회적 역사적 맥락과 연계한 분석이라는 요소도 반드시 간과하지 말아야하겠습니다. 한용운의 여러시들을 우리가 독립투쟁의 그 역사적, 그 당시 한국사회의 사회적 저항성과 연결하여 감상하지 않을 경우, 우리의 해석과 시적 사유는 완전히 달라질수 있다는 것이겠습니다...!!!
Q. 사두개인과 바리새파의 이해관계 충돌이 예수의 사역에 어떤 반작용을 초래했을까요?
안녕하세요. 신필욱 전문가입니다.: 먼저 용어에 대한 혼란을 피할수 있도록 정확히 분석을 해보면, 바리새인.. 뭔가 4자모두 외래어 같은 느낌이 나지만 (흔히들 러시아워/ 레미제라블 같은 외래용어를 처음들었을 때, 러시아-워, 레미-제리블 이렇게 끊어서 음운의 감각을 이해하신 경험이 있으실것입니다.) 바리새 -파/인 이렇게 분석해야하며, 바리사이..라는 일반적으로 많이 사용되는 용어도 있으므로, 더욱 헷갈릴수 있습니다.: 아뭏튼, 이 바리새-인들과 사두개-인들은 헬레니즘, 즉 로마의 문화적 영향력에 대한 태도가 정반대였다는 것이며, 이는 유대인들의 어떤 정치적 역사적 위치와 인식에 있어서 당대의 가장 강대국인 로마라는 제국의 문화에 대한 차이이므로 중요한 갈등요소가 되었다고 하겠습니다. 그리고 이러한 갈등속에서 다시 예수님에 대한 태도에 있어서는 모두 자신들의 존재성에 연계하여 경계와 탄압에의 협조적 태도를 또 보였다고 하니, 그렇다면 이것은 정치적 분파의 갈등속에 그들의 정치적 존속자체에 의존한 정치집단이 새로운 정치적 정적으로 간주되는 예수님이라는 존재에 대해서는 공동으로 정치적공격을 감행한한 것으로 해석될수 있다하겠습니다!!!
Q. 성경은 어떻게 전 세계로 번역되어 퍼져나갈 수 있었나요??
안녕하세요. 신필욱 전문가입니다.: 어떻게 보면 당연히 번역을 많이 한 사람들의 노력이 큰 것이 원인이겠지만, 좀 더 Fundamental한 원인을 찾으려면, 독자가 가장 많은 책이기 때문이라는 것이겠습니다. (그것의 원인을 다시 분석하면, 원인이라기보다는 이유라고 할수 있겠는데, 종교책이기 때문이겠습니다.): 즉, 인류에게 있어 삶의 어떤 지탱목이 되었던 종교라는 개념은, 꼭 기독교/천주교/불교를 떠나서 이러한 공식적 Major종교에 접할수 있는 기회가 적더라도, 샤머니즘적인 형태의 것까지 포함하여 항상 인류가 살아갈수 있게하는 주요수단이 되었습니다. 필연적으로 어떤 물리적 강함이 부족한 인간들은, (**사자나 호랑이와 인간을 비교해봅시다..!!) 필연적으로 어떤 사고와 아이디어에 의해 철저히 위험한 환경에서 그것을 극복하고 때론, 고통받으며 자연과의 황야적전투..(마치 나폴레옹과의 전투에서 미하일 쿠투조프 총사령관이.. 전투가 아닌 전쟁에서 이기기위하여 계속적으로는 전투를 패하면서 시간을 보냈던.. )를 수행하였던 것입니다. : 그러한 인간에게 필수적으로 자신들의 처지와 운명에 대하여 의존할 수단이 필요했으며 이것이 종교인데, 성서 The Bible은 그러한 종교의 경전 중에서도 가장 현대사회(**서방이 어느정도 지배력을 발휘하고 있는 2차세계대전후의 신질서 속에서..)에서 지배적인 부류의 경전이므로 독자가 가장 많을수 밖에 없으며, 이로인하여 번역도 가장 많이 되었다고 하겠습니다...
Q. 제주 방언중에 바당의 의미가 두 가지 인가요?
안녕하세요. 신필욱 전문가입니다.: 일단 방언, 즉 사투리Dialect리는 것은 정말 중요한 우리 언어의 유산이자, 그 언어를 연구하는데 있어 아주 귀중한 자료가 되는 Data라고 할수 있겠는데, 표준어라는 것을 서울에서 쓰는 말이라고 완전히 고정해버려 이 귀중한 방언에 대한 우리의 학문적 관심이 줄어들게 된것은 정말 안타깝다고 하겠습니다.우선 지역적 방언들간의 특징을 살펴보자면,경상도 방언: 말투/억양이 상당히 서울의 말과는 다른면이 있으며 특히 어미가 많이 다르고 축약형이 많다고 하겠습니다.강원도 방언: 역시 말투/억양이 다르며 어휘도 역시 조금은 다른 부분이 많겠습니다. 그리고 직접들어보면 그 특유의 어감이 상당히 친근감을 느끼게 해준다는 특징이 있다 하겠습니다.바다에 의해서 지역적 차별의 정도가 가장 큰것이 주원인이라고 하겠는데, 제주도 방언의 경우 그 어휘조차도 상당히 달라, 일반적으로 익숙하지 않은 화자는 듣고 이해하는 것조차 상당히 어렵다고 하겠습니다. 이 바당이라는 단어의 경우 제주도방언으로 완전히 발음이 구별되는 타 지역의 바다..에 의미를 두겠는데.. 이렇게 독특한 어휘를 사용하는 제주도 방언이야말로 우리말의 초기형태와 구성에 대한 단초를 제공할수 있는 중요한 언어적 유산이자 학문적 자료 그 자체라고 하겠습니다.아뭏튼, 그 유명한 반지전쟁(소위 Lord of the Rings**)의 작가 JRR Tolkien도 옥스포드 대학에서 저명한 방언연구의 1인자였다는 것을 감안하면 (그는 이런 전문능력을 십분발휘하여 역사와 인류유산에 남을 반지전쟁 시리즈에서 충분히 스토리와 배경의 톡특함과 다양성을 높이는데 활용하였습니다..**) 우리가 표준어라는 개념에 갇혀서 얼마나 우리의 귀중한 유산과 관련하여 아직 본격적으로 더 연구 보존할수 있는 여지를 간과하고 있는가를 한번쯤은 숙고해보아야한다고 하겠습니다....
Q. <장끼전>에 나오는 구절이 지니는의미
안녕하세요. 신필욱 전문가입니다.: 장끼전은 전형적인 작자미상의, 그리고 연대미상의 우화소설로서... 여러가지 동물이 등장한다거나 이러한 스토리에 있어 판소리계소설 형식으로의 존재 등을 감안할때 현대어로 되기 이전의 여러버젼이 존재할수도 있겠다고 하겠습니다.아뭏튼 특정할수는 없으나 그러한 활동적인 스토리와 배경으로 많은, 의미자체가 중요하지는 않다고 할수 있는 의성어 등이 사용되었겠습니다. 질문하신 구문도 만약 어떠한 판본이나 구전에 유사형태가 존재한다면 의성어의 한 종류일 가능성이 가장 크다고 하겠습니다.: 비슷한 예를, 서양문학에서 찾아본다면 Lewis Carrol - 이상한 나라의 앨리스 속편인 Through the Looking glass의 초반부에 나오는 넌센스 시의 대가적 작품인 재버워키를 들수 있겠습니다. 특히 이 시의 첫번째 Stanza는 완전히 기존의 언어(영어)로는 해석불가한 것처럼 보이는데, 희한하게도 후반부의 다른 챕터에서 나오는 (**앨리스가 이 시의 내용에 대해 등장인물들에게 물어보게 됩니다..) 작품내 작품의 해설에서, 그럴듯하게 해석이 되는데.. 많은 부분이 의성어.. 혹은 의성어의 일부를 합성하고 차용해서 만들었다는 것이겠습니다...
Q. 그리스 신화가 오늘날 서양 문화(문학, 영화, 언어 등)에 미친 영향의 예시는 무엇이 있을까요
안녕하세요. 신필욱 전문가입니다.우선 순서대로 파악해보자면,문학 : 한여름밤의 꿈 등 영어자체를 정립했다고 하는 세익스피어 문학의 모든 기반과 그 배경스토리는 그리스신화에서 굉장히 많이 차용이 되었다는 것입니다.영화 : 우리에게도 현재 F1 The Movie로 인기몰이를 하고 있는 Brad Pitt이 주연한 Troy와 같이 수많은 명작들이 이 그리스신화를 배경으로 박진감있는 대작으로 끊임없이 재생산되고 Remake 등이 이루어지고 있습니다.언어 : 그리스 신화의 기본이 되는 헬라어, 즉 그리스어는 나는 알파요 오메가...다라는 성경에서의 명언, 그리고 수많은 수학공식속에서 (DELTA라던지 파이..라던지) 사용되고 있다는 것입니다.즉, 그리스 신화는 모든 문학의 원류가 되자, 또한 꼭 직접적으로 차용되지 않더라도 그 스토리 구조의 인과관계성에 있어 그 원류적 Motive를 제공하며, 이는 영화라는 매체로 뻗어나가며 그 신화를 기록한 그리스어도 우리의 생활 깊숙히 곳곳에 자리잡고 있다 하겠습니다..
Q. 암묵지가 대단한 사람은 어떤 사람일까요?
안녕하세요. 신필욱 전문가입니다.우선, 약간 우리에게 익숙하지 않고, 이해하기도 쉽지않은 조어보다는 암묵적 지식이라고 표현하는 것이 더 합당하다고 하겠습니다. 영어로 표현하자면 The Crystal-clear knowledge 의 반대개념이라고도 표현할수 있겟습니다. 그러니까 명시적으로 이것은 어떠어떠한 것이다라고 표현하기 힘든 지식이라는 것이고, 이것이야말로 사실은 각 개인의 주체들이 타인들에 대해서 진정으로 경쟁력을 가지고 이 사회에서 살아남을 수 있는 진정한 지식이라고도 해석이 가능하겠습니다.예를 들어, 흔히들 학교공부 성적좋은것과 사회에서의 성공은 비례하지 않는다고 하는 ...그러한 사람들은, 요즘의 Trend로 이야기하자면, Streaming방송으로 대박을 떠트려 떼돈을 버는 그런 사람들은, 과거의 전통적인 지식과정으로는 도저히 설명이 안된다는 것입니다.. 즉, 우리가 도저히 이해하거나 명시적으로 설명할수 없는, 어떤 시류의 소비적Media에 대한 탁월한 감각인 암묵적 지식이 풍부한 사람이라는 것입니다.또한, 누구나 주식을 하면 성공할 것 같은 꿈을 한번쯤은 꾸며 시드머니를 모아 투자를 해보지만, 번번히 내가 사면 떨어지고, 그래서 팔면 오르는 도저히 탈피할수 없는 늪에 허우적거리며 포기하는 사람들이 태반입니다.. 그렇다면 주식에서 성공해서 전업투자자로 성공하는 사람들은, 어떻게 성공하였느냐, 즉 트레이딩에 대한 탁월한 어떻게 설명하기 힘든 암묵적 지식이 풍부한 사람이라는 것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