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홈답변 활동잉크

안녕하세요. 신필욱 전문가입니다.

안녕하세요. 신필욱 전문가입니다.

신필욱 전문가
프리랜서
문학
문학 이미지
Q.  안젤리카 내지는 에노키안으로 불리우는 언어의 정체는 정확히 뭔가요?
안녕하세요. 신필욱 전문가입니다.인공어는 인위적으로 어떤 목적을 가지고 만들어진 것이라 특정한 어떤 유래를 찾기는 힘들겠습니다.다만, Enochian이라는 언어 자체가 오컬트적 배경을 기반으로 고안된 것이라.. 각종 유사미디어 매체에 분위기를 뛰우는데 사용되거나 하는데 쓰이는 것이겠습니다...
문학
문학 이미지
Q.  확정적 사실이라는 단어에서 확정적의 의미
"~적"은 중국어에서는 ~的(de)로 나오는 등 의미 자체를 내포했다기보다 관형어를 만드는 조사적 한자어이겠습니다.그러므로 문제적 이렇게 되면 문제가 있는 어떤 것이 될것입니다.. 불확정적 사실..은 확정되지않은 사실.. 이렇게 되겠습니다!!!
문학
문학 이미지
Q.  노벨문학상을 수상한 한강 작가는 어떤 작품이 있는지 궁금합니다.
안녕하세요. 신필욱 전문가입니다.The VegetarianGreek Lessons등 독특한 작품을 많이 남겼고, 또한 유럽의 많은 언어로 번역이 되어 널리 International Reader들에게 읽히게 된 것이 노벨상을 수상할 수 있는 큰 Merit가 되었다 하겠습니다!!
문학
문학 이미지
Q.  사람에게 있는 눈과 하늘에서 내리는 눈은 장단 차이가 어떻게 있나요? 어떤 것이 길게 발음하고, 어떤 것이 짧게 발음하는지 궁금합니다.
안녕하세요. 신필욱 전문가입니다.Eyes: 눈은 "눈!" 이렇게 강하고 짧게..Snow : 눈은 "눈~"하고 길게 그리고 성조가 약간 운율을 타면서.. 그렇게 되겠습니다.: 한국어는 이런 성조에 대한 표기를 하지 않기 때문에 동음이의어 구별, 혹은 발음법에 대하여 활자자체로 파악하기는 쉽지가 않습니다..추가episode로 아주 옛날 80년대 만화책 같은데세...... 누나~!!!! 라고 불렀는데.. "눈와".. 눈이 와... 라고 해석하며 등장인물들끼리.. 유머스럽게 표현하던 그런 적도 있었습니다...
문학
문학 이미지
Q.  토론 논제를 정할 때 토론에서 의견을 나누는 주장을 토론의 논제로 정하면 안되는 까닭이 무엇인가요?
안녕하세요 신필욱 전문가입니다.: 질문자체가 조금 이해하기 어렵습니다만, 일단은 토론에서 의견을 나눈다는 것이, 찬반 진영을 나눈다는 것으로 이해가 되는데, 토론이라는 것이 어떤 서로의 의견을 조율하여 최상의 결론을 이끌어내는 그러한 것으로 이해한다면, 논제 자체가 이미 찬반을 오히려 나누어버리는 결과를 초래한다면.. 그것은 오히려 합치의 결론을 이끌어내지 못하기 때문에 바람직하지 못하다..는 주장을 하는 작가나 글쓴이가 어떤 맥락에서 그러하게 구술한 것이 아닌가 싶습니다..일단 질문하신 그러한 문장이 전체적으로 어떠한 Context에서 나온것인지를 알아야 정확한 답변이 가능하겠습니다..
문학
문학 이미지
Q.  정읍사 관련해서 질문있어요!!!!
네, 내용을 잘읽어보시고 또한 관련 배경 등을 조사해보시면 (백제 - 삼국시대의 고구려/신라/백제.. 그 중 "백제"입니다...의 망부석...가요..라고 하겠습니다!!)이별을 한것이 아니고, 장사하는 남편이 나가서 돌아오지 않는... 그러한 배경이라고 하겠습니다...!!!!
문학
문학 이미지
Q.  현대시를 읽을 때 내용이 난해할 때 어떤 방식으로 해석하고 의미를 파악하는 데 도움 되는 팁이 있나요??
문학작품, 특히 상징 등이 많은 시나 이런 것들은 한번에 다 이해할려고 하기보다는, 계속 반복해서 반복해서 즐기면서 음미하고, 다시 또 감상하며 새로운 해석을 시도해보고 이런 것이 필요하겠습니다.: 이것을 일종의 생각의 링크라고 하는데, 작품을 읽고 일단 이해가 가는 부분에 대해서 집중적으로 감상한 뒤, 잘이해가 안가는 부분은 그 Wording자체만 일단 익숙하게 기억을 합니다.. 그리고 일상생활을 또 하거나, 다른 작품 등을 읽다가 문득 그것과 관련된 내용이 나오면 다시 생각해보고 그 부분을 다시 읽어봅니다.... 그러면 또 이전에 처음 읽었을 때와는 다른 무언가가 보일것입니다!! 이런 것이 반복되어 진정한 문학 그 자체를 즐기고, 또 나름대로의 자기만의 비평(Critics)으로 발전해나갈수 있는 길이 되겠습니다!!
문학
문학 이미지
Q.  우리나라 큰 도서관 같은 경우 사서 선생님은 몇분이나 계시나요?
안녕하세요. 신필욱 전문가입니다.: 도서관 자체는 대학이든, 시중의 제법 지역에서 큰 도서관이라도 관리가 대부분 전산에 의해서 운영이 되고 있는 관계로 수명 수준에서 약간 +되는 정도라고 보시면 될것입니다.**특색있는 가볼만한 지역의 도서관으로는, 서울쪽에는 별도서관 (강남 - 지하 및 지상1층에 겸하여 설계되있는데, 정말 끝내주게 구성이 되어있습니다.).. 또 부산에서는 망미동에 있는 F1963도서관... 근처에 테라로사라는 멋진 카페도 있고, YES24중고 서점도 있는데, 이 모든 매장들이 정말 멋들어지게 잘 구성이 되어 배치되어있습니다...
문학
문학 이미지
Q.  요즘엔 감정 문해력이 저하되고 있다던데 정말 소통 능력이 떨어지고 있는건가요?
안녕하세요 신필욱 전문가입니다.네 맞습니다. 요즘은 너무 동영상 위주, (흔히들 YouTube로 대표되는 화려한 영상으로 모든 것을 접하고 있습니다.)또한 이제 그에 더하여 Short Form.. 즉 아주 짧은 동영상을 계속적으로 연속으로 손가락만 위로하면서 보는 것..등에 익숙해지다보니.. 언어.. 즉 문장과 문단... 이런것으로 자신의 생각 혹은 작가의 생각을 감상하고 생각하고 하는 것에 대한 우리의 훈련이 부족해진다는 것입니다.: 이는 전체적인 언어감각에 대한 Context..즉 사회적/ 감정적/ 논리적.. 모든 문해력이 감소할수 밖에 없고, 또한 이런 동영상 위주의 감상은 보통 혼자서 하도록 이루어지므로.. 감정의 교류..라는 면에서 문해력이 자연히 더 떨어질수 밖에 없다는 것입니다!!!
문학
문학 이미지
Q.  토론의 논제는 꼭 평서문으로 작성되어야 하나요?
안녕하세요. 신필욱 전문가입니다.보통 토론이라고 하면 어떤 전제 혹은 정의에 대하여 찬성 혹은 반대로 양진영을 나우기 때문에 평서문..이 좀 더 자연스러운 논제가 될수 있겠습니다. 그러나 예를 들어 Brainstorming 같이 난상토론, 즉 여러가지 의견을 굉장히 자유스럽게 공유하여 어떤 Best Solution에 대한 아이디어를 얻는 이런 토론도 있기때문에 '반드시' 평서문이어야한다..라는 것은 무리가 있겠습니다!!!
7172737475
아하앤컴퍼니㈜
사업자 등록번호 : 144-81-25784사업자 정보확인대표자명 : 서한울
통신판매업신고 : 2019-서울강남-02231호개인정보보호책임 : 이희승
이메일 무단 수집 거부서비스 이용약관유료 서비스 이용약관채널톡 문의개인정보처리방침
© 2025 Aha.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