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지구과학·천문우주 이미지
지구과학·천문우주학문
지구과학·천문우주 이미지
지구과학·천문우주학문
고귀한게논239
고귀한게논23923.09.08

비행기는 어떻게 하늘을 날 수 있는 건가요?

비행기는 어떻게 하늘을 날 수 있는 건가요?

속도 때문에 그런것이라면...새들은 어떻게 날 수 있는지 궁금합니다.

빠르지도 않은 벌레들도 날고 궁금하네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11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이형민 과학전문가입니다.

    비행기는 날개의 구조가 위아래 다르도록 설계되어 뜨도록 되어있습니다. 이때 추진력은 필수입니다


  • 안녕하세요. 홍성택 과학전문가입니다.

    비행기의 날개는 공기의 흐름을 이용하여 양쪽으로 분산시키는 형태로 설계되어 있습니다. 날개의 상부와 하부에는 곡선 형태의 프로필이 있어서 공기가 위와 아래로 흐를 때 압력 차이가 발생합니다. 이 압력 차이로 인해 비행기에 양력이 발생하게 되고, 이 양력이 비행기를 위로 밀어 올립니다.


  • 안녕하세요. 류경범 과학전문가입니다.

    비행기를 떠받히는 공기의 힘인 양력이 발생하기 때문입니다.

    비행기의 날개 모양을 보면 날개의 위쪽과 아래쪽에 흐르는 공기의 속도가 다르게 만들어져 있습니다. 이 때문에 날개의 위와 아래의 압력이 달라지게 됩니다. 즉 날개의 아래쪽에는 높은 압력이 발생하고 위쪽에는 낮은 압력이 발생하죠.

    이 때문에 양력이 발생하고 비행기가 뜰 수 있는 것입니다.


  • 안녕하세요. 김경태 과학전문가입니다.

    비행기가 하늘을 날 수 있는 이유는 바로 공기역학의 원리 때문입니다. 비행기는 날개와 엔진을 이용하여 공기를 움직여서 상승하고 비행합니다.

    비행기는 날개를 이용하여 공기의 흐름을 제어합니다. 날개 위쪽과 아래쪽의 공기 압력 차이를 이용하여 비행기를 끌어올리고 날개를 기울여서 방향을 제어합니다. 이때 날개의 상승력은 비행기의 무게보다 크기 때문에 비행기는 공중에서 떠오를 수 있게 됩니다.

    또한 비행기는 엔진을 이용하여 공기를 밀어내어 전진합니다. 비행기의 엔진에서 나오는 추력은 공기를 빠르게 밀어내어 비행기를 전진시키는 역할을 합니다. 이때 비행기는 공기의 저항과 역학적인 힘을 이용하여 비행합니다.


  • 안녕하세요. 김동준 과학전문가입니다.

    비행기가 나는 원리는 날개에 작용하는 양력은 이 가속하는 공기 입자들이 날개에 작용하여 발생합니다. 이 양력은 날개의 방향과 수직으로 작용하며, 날개가 위로 올라가는 양력이 발생하게 됩니다. 이렇게 발생한 양력으로 인해, 비행체는 공중에서 떠오르는 것입니다.



  • 안녕하세요. 이조은 과학전문가입니다.


    비행기가 나는 원리는 운동방향과 직각으로 생기는 양력과 앞으로 나아가는 힘 추력, 추력의 반대 방향으로 작용하는 항력이 있습니다.

    쉽게 요약하면 공기의 압력 차이를 이용해 하늘을 날게 되는 것입니다.


  • 안녕하세요. 김태헌 과학전문가입니다.

    비행기의 원리는 기본적으로 양력, 추력, 자세 제어, 플랩 등의 요소를 조합하여 비행을 유지하고 조절하는 것입니다. 이는 공기와의 상호 작용을 기반으로 하며, 복잡한 과학적 원리가 작용하는 편입니다.



  • 비행기와 새, 그리고 벌레들의 비행은 다양한 원리와 움직임에 의해 가능합니다. 다음은 각각의 비행 원리에 대한 간략한 설명입니다:

    1. 비행기의 비행 원리: 비행기는 버너를 사용해 엔진을 가동하여 역학적 원리를 활용하여 날 수 있습니다. 비행기의 날개는 공기 압력 차이를 생성하고, 날개 아래쪽의 압력이 날개 위쪽의 압력보다 낮아짐으로써 양력이 발생합니다. 이렇게 발생한 양력은 비행기를 공중으로 떠오르게 하며, 항공기는 엔진을 통해 전진하면서 고도를 유지하거나 상승합니다.

    2. 새의 비행 원리: 새의 비행은 대기압의 차이와 날개의 동작에 의해 가능합니다. 새는 날개를 움직여 공기의 압력 차이를 생성하고, 날개 아래쪽의 압력이 높아짐으로써 양력을 발생시킵니다. 새는 이 양력을 이용하여 날 수 있습니다. 새의 비행은 공기 역학과 근육을 조절하여 가능하며, 다양한 비행 동작을 통해 날 수 있습니다.

    3. 벌레의 비행 원리: 벌레의 비행은 공기와의 상호 작용에 의해 이루어집니다. 벌레는 날개를 빠르게 흔들어 공기를 밀어낸 후 더 많은 공기를 빨아들이는 방식으로 비행합니다. 이것은 벌레의 날개 동작과 날개 구조에 의해 가능하며, 벌레의 날개는 공기를 밀어내고 더 높은 압력을 생성하는 역할을 합니다.

    비행기, 새, 벌레의 비행은 모두 공기 역학과 압력 차이를 활용하는 원리에 기반하고 있으며, 각각의 생물체나 기체는 자신의 목적과 환경에 맞게 비행 원리를 활용하여 비행합니다.


  • 안녕하세요. 김재훈 과학전문가입니다.

    비행기는 날개 위쪽과 아래쪽의 공기 압력 차이로 인해 양력을 발생시켜 하늘을 날 수 있습니다. 베르누이의 정리에 따르면, 공기의 속도가 빨라지면 압력이 낮아지고, 공기의 속도가 느려지면 압력이 높아집니다. 비행기 날개는 위쪽이 아래쪽보다 곡률이 크며, 공기가 날개를 통과할 때 위쪽은 아래쪽보다 빠르게 흐르게 됩니다. 따라서 날개 위쪽의 공기 압력은 아래쪽의 공기 압력보다 낮아져 양력이 발생하게 됩니다. 새들은 비행기와 마찬가지로 양력을 발생시켜 하늘을 날 수 있습니다. 새의 날개는 비행기 날개와 비슷하게 위쪽이 아래쪽보다 곡률이 크며, 날개짓을 통해 공기를 가르면서 양력을 발생시킵니다. 또한, 새의 몸은 가볍고 날개는 튼튼하기 때문에 양력을 발생시키기에 유리합니다. 벌레들은 새보다 작은 몸집과 가벼운 몸무게를 가지고 있기 때문에 양력을 발생시키기 위해 날개짓을 하지 않아도 됩니다. 벌레의 날개는 평평하거나 약간 곡률이 있는 모양이며, 날개짓을 통해 공기의 흐름을 방해하여 양력을 발생시킵니다. 또한, 벌레의 몸에는 공기가 들어갈 수 있는 공간이 많아 부력을 얻을 수 있습니다. 따라서 비행기는 속도와 날개 모양, 날개짓을 통해 양력을 발생시켜 하늘을 날 수 있습니다. 새와 벌레는 양력과 부력을 통해 하늘을 날 수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박준희 과학전문가입니다.


    비행기는 무거운 고체입니다. 이에 새처럼 바로 뜨는게 아니라 앞으로 나아가는 추진력을 통해서 그리고 날개의 바람저항력의 최소화를 통해 뜰 수 있는거죠.


    감사합니다



  •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23.09.08

    안녕하세요. 박정철 과학전문가입니다.

    비행기가 하늘을 날 수 있는 것은 여러 물리학적 원리들이 복합적으로 작용하기 때문입니다. 그 중 가장 핵심적인 원리는 '베르누이의 원리'와 '리프트(Lift)'라는 힘입니다. 베르누이의 원리에 따르면, 유체(여기서는 공기)의 속도가 빨라질수록 그 압력은 낮아진다는 것입니다. 비행기의 날개(날개 형상을 가진 에어포일)는 위쪽 면이 아래쪽 면보다 길게 설계되어 있습니다. 따라서, 비행기가 전진하면서 공기를 적절한 속도로 통과시키면, 위쪽 면을 지나는 공기의 속도가 아래쪽 면을 지나는 공기보다 빨라집니다. 이로 인해 위쪽 면에서의 압력은 아래쪽 면에서의 압력보다 낮아지게 됩니다. 리프트란 위로 작용하는 힘으로, 이것이 비행기를 하늘에 뜨게 하는 주요 요소입니다. 리프트는 베르누이의 원리와 함께 작동합니다. 상대적으로 낮은 압력을 가진 상단 부분과 상대적으로 높은 압력을 가진 하단 부분 사이에 발생하는 차이로 인해 생성됩니다. 그 외에도 비행기를 우주로 밀어내려고 하는 중력과 반대 방향인 추진력(thrust), 전방으로 나아가려고 하는 드래그(drag) 등 다양한 힘이 서로 균형을 이루며 작용합니다. 따라서, 엔진에서 제공하는 추진력(thrust)으로 인해 비행기가 전방으로 나아갈 때, 베르누이의 원리와 리프트 등 여러 요소들이 결합하여 비행 가능성을 제공하게 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