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양육·훈육 이미지
양육·훈육육아
양육·훈육 이미지
양육·훈육육아
굉장한호돌이84
굉장한호돌이8422.04.14

아이가 넘어져서 다쳤을때 어떻게 대처해야하나요?

안녕하세요

아이가 뛰다가넘어져서 무릎이 까지고 바닥에서 울고있으면 어떻게 대처해야하나요??

일단 의료적인 대처를 하는것과 의료적인 대책말고 아이를 어떻게 달래주고 교육해줄지도 알려주세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10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박상범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아이가 진정이 될때까지 기다려주시고

    아이가 괜찮다는 것을 안심시켜주시는 것이 좋을 것 같네요


  •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22.07.12

    안녕하세요. 이정훈 심리상담사/경제·금융/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본 대로 얘기해 주세요. 당황하지 않고 침착하게 상황 자체를 아이에게 이야기해주세요. "저런, 넘어졌구나"라고 본 대로 얘기하면, 아이는 '큰일은 아닌가 보구나'하며 훌훌 털고 일어나 놀던 곳으로 돌아갈 거예요. 그 다음 아이 기분에 공감해 주세요. 넘어졌을 때 크게 놀라거나 아파하는 아이는 울음을 멈추지 않아요. 이때 아이가 가장 원하는 것은 공감입니다.'넘어졌구나. 많이 아팠지?'라는 말로 아이에게 공감해 주세요.


  • 안녕하세요. 이수진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기본적으로 아이의 아픔에 공감 해주시는 것이 좋습니다.

    살다보면 다칠 때도 있고 마음이 아플때도 있고 무언가 마음대로 잘 되지 않아서 분할 때도 있습니다.

    그럴 때 부모의 기본적인 태도는 아이의 입장에서 아픔과 어려음을 공감 해주시는 것입니다.

    그러나 조금 주의하실 것은 아이의 감정에 부모님의 감정이 볼륨을 맞춰야 할 필요가 있습니다.

    아이는 5만큼 아픈데 부모님이 10만큼 감정을 표출하시면 아이는 불안을 느끼게 됩니다. 반대로 아이는 10만큼 아픈에 부모님은 1만큼 표출하시면 아이는 서러운 마음이 생깁니다.

    아이의 감정에 -2정도만 표현 해주시는 것이 적절합니다.


  • 안녕하세요. 이은별 심리상담사/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의료적으로는 소독을해주는것이좋으며 상태에따라병원에내원하는것이좋습니다

    스스르넘어진다면기다려주고 스스로다독이고 추스리는것을 보면좋겠습니다


  • 안녕하세요.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아이가 통증도 있겠지만 놀라서 울고 있을 가능성도 큽니다. 그렇기 때문에 놀란 아이를 먼저 달래줄 필요가 있습니다. 보통은 아이를 안아서 안심시켜 주고는 합니다.


  • 안녕하세요. 전지훈 심리상담사/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아이가 많이 다쳤다면, 황급히 아이를 안아서 응급처치를 해야 하겠지만, 아프지 않을 정도로 넘어지면, 스스로 일어날 수 있도록 해줘야 할 것 같습니다.

    그리고 다시 다치지 않도록 아이에게 안전에 관해 이야기를 들려줘도 될 것 같습니다.


  • 안녕하세요. 이옥희 심리상담사/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아이에게 가서 괜찮아 ? 아프지않아 ?하면서

    일으켜주고 옷이랑 손을 털어주고 안아주면서

    다친곳이 없는지 확인합니다

    많이 다치지 않았으니 툭툭 털고 일어나면된다

    괜찮아하고 위로해줘요


  • 안녕하세요. 성문규 심리상담사/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아이를 무조건 괜찮아 괜찮아 하면서 달래지 마시거 아이의 감정과 통증에 공감하며 많이 아팠지? 라고 공감을 해주시는 편이 더 좋급니다


  • 안녕하세요. 심은채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아이가 넘어진다는 것은 사실 일상에서 일어날 수 있는 아이가 겪을 수 있는 많은 일을 상징하며, 커가는 과정 중의 하나이며, 자라면서 수많은 실패들을 얘기할 수도 있습니다.

    아이가 다쳤을 때, 부모가 크게 반응을 하지 않으면, 아이도 아무렇지 않게 생각할 것입니다

    상처가 깊지도 않고, 충분히 털고 일어날 수 있는 건데, 부모가 크게 반응하면, 아프지 않은 아이도 부모의 반응에 놀라서 아픈 것처럼 느껴질 수도 있습니다.

    안 아픈데도 아픈 척을 할 때는 만병 통치 약으로 밴드 하나 붙여주고, 호호 한번 불어주면 아이들 기분은 금방 좋아지니 아이가 다쳤을 땐 아이의 마음에 공감해 주시길 바랍니다.


  • 안녕하세요. 천지연 육아·아동/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아이가 넘어졌을 때 1. "왜 그래! 어머! " 야단인 경우 - 아이의 자존심에 상처가 될 수 있으며 어른에게 의존하려는 성향이 강해질 수 있습니다 2. "엄마 말 안 듣더니!" 아이의 마음을 몰라주는 경우 - 아이의 자기긍정감이 하락 됩니다

    * 아이가 넘어졌을 때 현명하게 대처하는 방법

    1. 본 대로 이야기 한다 - 당황하지 않고 침착하게 상황 자체를 아이에게 이야기 해주세요

    2. 아이 기분에 공감한다 - " 넘어졌구나 많이 아팠지?" 라는 말로 아이에게 공감 해주세요

    3. 지켜보고 있다는 신호를 준다 - 또 넘어질까봐 불안한 아이 자꾸만 뒤를 돌아 부모님을 보게 됩니다. 이때 부모는 아이를 지켜보며 따스하게 웃어 주어야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