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화학 이미지
화학학문
화학 이미지
화학학문
편안한영앙129
편안한영앙12923.01.11

중금속은 어떻게 해서 우리몸에 들어오게 되는건가요?

옛날에는 중금속에 중독되어 병에 걸린사람들이 많았는데 그 중금속은 어떻게 해서 사람의 몸으로 들어오게되어 병을 만들게 되는것인가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2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이준엽 박사입니다.

    납, 수은, 비소와 같은 중금속은 흡입, 섭취, 피부 접촉 등 다양한 경로를 통해 인체에 유입될 수 있습니다.

    중금속 연기 또는 먼지 흡입은 작업장이나 오염이 심한 지역에서 발생할 수 있습니다. 섭취는 오염된 음식이나 물을 섭취하거나 특정 전통 의약품을 사용하여 발생할 수 있습니다.

    피부 접촉은 직업적 노출이나 화장품 또는 중금속이 포함된 기타 제품의 사용을 통해 발생할 수 있습니다. 중금속은 일단 몸에 들어가면 다양한 장기와 조직에 축적되어 금속의 종류와 양, 노출 경로, 노출 기간에 따라 광범위한 건강 영향을 초래합니다.

    이러한 영향에는 발달 및 행동 문제뿐만 아니라 신경계, 신장, 간 및 기타 기관에 대한 손상이 포함될 수 있습니다.


  • 중금속은 사람이 생활하면서 하는 모든 행동에서 체내에 축척될 수 있습니다.

    물, 음식, 화장품, 전자기기 등등에서 용출되어 몸에 흡수 됩니다.

    화장품이나 전자기기 혹은 장난감(어린이장난감 혹은 피규어) 등등에서 용출되는 중금속은 대비할 수 도 없고 이것에의해 축척된 것이 평생을 살면서 지나치게 몸에 유해를 가하는 것은 아니나

    주로 음식, 공기중으로 날아온 중금속성분이 체내 흡수가 많아 질 수 있기에 조심해야합니다.

    공기 중의 미세먼지에 중금속에 많이 포함되어있으며 생물의 체내에 축척된 중금속은 쉽게 배출이 되지 않기 때문에 주로 식품에서는 생선(어패류)에서 많이 검출 되기에 생선류의 음식을 드실때

    공인된 검사기관에서 검사된 제품을 잘 선택하여 드시는 것이 좋습니다.

    제 학창시절 환경과목 선생님께서는 환경전문가는 생선을 절대 먹지않는다 라는 말도 했었습니다.

    하지만 생활에 있어 이미 인간은 중금속을 피할 방법이 없기 때문에 평소 미세먼지농도를 자주 확인해 kf94이상의 마스크를 잘 착용하시는 것이 좋겠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