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핫뉴스실시간 인기검색어
아핫뉴스 화산 이미지
아하

경제

자산관리

컴포즈커피900원세일짱
컴포즈커피900원세일짱

연소득이 어느정도 되야 상위 10% 정도 되는 사람인가요??

연소득이 어느 정도 되어야 상위 10%에 속하는건가요?? 국내 기준으로 연소득 1억 원 이상이면 상위 10%에 들어가나요? 요새 진짜 1억이라고 하면 많이 번다고 하지도 않더라고요 ㅠㅠ물론 지역이나 나이, 가구 구성에 따라 차이는 있겠지만.. 대체로 어느정도 수준이면 10%일까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13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박형진 경제전문가입니다.

    연소득이 10%의 기준은 월 건강보험료 납부액이 27만 4천원가량되면 상위 10%기준으로 봅니다.

    이는 세전 연봉이 9,270만원~9,600만원 수준으로 통계되어 있습니다.

    참고 부탁드려요~

  • 안녕하세요. 최현빈 경제전문가입니다.

    • 대략적으로 연봉 8~9천만원을 받고 있다면 상위 10%에 속하게 됩니다

    • 이번 민생회복지원금 정책에 의하면 상위 10%에 해당하는 가구에는 추가 10만원이 지급되지

      않을 전망이라고 하였습니다.

    • 이 때 이 기준을 연봉 8~9천만원 소득자로 분류를 하였습니다.

    감사합니다.

  • 안녕하세요. 배현홍 경제전문가입니다.

    국체적으로 국내 통계청자료를 살펴보시면 알수있습니다. 이에 24년기준 통계청 자료 기준으로 본다면 연평균소득이 상위10%가 세전기준 가구기준으로 하였을때 2억 1050만원이었습니다.

    이는 가구기준이며 개인기준으로 할경우 상위 10%의 근로소득자는 1억5000~6000만원대로 추산하고 있으며 현재 2025년 언로보도에 따른다면 1억7784만원이 개인소득기준 상위10%로 알려져있습니다. 우선 이는 세전기준이며 결론적으로 1억6천만원이상의 연봉이 나와야 상위10%정도라고 말할 수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경제전문가입니다.

    상위 10% 가구 연 소득은 약 1억원 이상으로 추정됩니다. 1인 가구는 6~7천만원 대, 가구수가 많을수록 기준도 높아지게 됩니다. 지역, 연령, 가구 유형에 따라 편차가 크니 참고지표로만 판단하는 것이 좋습니다.

  • 안녕하세요. 이명근 경제전문가입니다.

    궁금해서 찾아보니 작년 직장인 기준 소득 상위 10프로는 연봉 9300만원 이상 이라고 합니다

    그러니 연소득 1억 이상이면 상위 10프로 안에 들어가는게 맞긴 할거 같습니다!

  • 안녕하세요. 박창변 경제전문가입니다.

    연소득의 기준은 여러가지가 있습니다.

    사업자를 제외한 순수 근로소득 기준 상위10%는 8700만원 정도 된다고 보시면 될것 같습니다.

  • 우리나라에서 연소득 상위 10%에 속하려면 연간 약 1억 4,000만~1억 5,000만 원 이상의 소득이 있어야 합니다.

    연간 1억 원 소득은 상위 10%에 해당하지 않습니다.

  • 안녕하세요. 조유성 전문가입니다.

    ✅️ 솔직히 세전 1억 정도 되어도 전체 근로자로 봤을 때 상위 10%에 들 것입니다. 올려치기가 많이 되어있는 것 뿐이지, 솔직히 연 5,000만 원 정도도 못 버는 사람들 많습니다. 순자산 기준으로도 10.5억 정도면 상위 10%라고 합니다.

  • 안녕하세요. 정현재 경제전문가입니다.

    작년 국세청 자료에 따르면, 근로소득과 종합소득을 합친 통합소득 상위 10%는 연평균 1억5180만원 이상을 벌어야 한다고 합니다.

  • 안녕하세요. 인태성 경제전문가입니다.

    질문해주신 연소득이 어느 정도 되어야 상위 10퍼센트 정도 되나에 대한 내용입니다.

    2022년 기준으로 보자면 약 1.5억원에서 6,800만원 정도 사이에 버시는 분들이

    상위 10퍼센트를 차지하고 있었습니다.

    지금은 조금 더 올랐다고 봐야 합니다.

  • 안녕하세요. 하성헌 경제전문가입니다.

    연 소득이 상위 10%라고 하는 것은 소득을 전체적으로 분석했을떄 약 1억 2천 정도가 되면 이는 상위 10% 정도가 될 것으로 분석을 하빈다. 이는 직장인 기준으로 월 소득이 약 780만원 정도 선이 되며, 이정도의 급여를 받기라는 것은 상당히 어려운 것이라고 볼 수 있습니다. 이러한 것은 다양한 소득이 있으며, 단순 근로소득만 있는 것이 아닌 금융소득 등도 포함이 되기 떄문이라고 볼 수 있습니다. 만약 이러한 자료를 확인하고 싶다면 국세청 사이트를 통해서 관련 내용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김창현 경제전문가입니다.

    연소득 1억 원 이상이면 충분히 상위 10%에 속할 수 있습니다.

    말씀하신 것처럼 연봉 1억 원이 예전처럼 압도적으로 많게 느껴지지 않는 이유는 소득은 늘었지만, 그만큼 생활비나 집값 등 물가가 더 크게 올라 실질 구매력이 과거만큼 크지 않다고 느껴질 수 있습니다. 소득이 높아지면 세금과 사회보험료 부담도 비례해서 커집니다. 실수령액은 생각보다 적을 수 있습니다. 소득 격차뿐만 아니라 부동산 등 자산 격차가 크게 벌어져 있습니다. 아무리 연봉이 높아도 자산이 없다면 상대적인 박탈감을 느낄 수 있습니다. 혼자 사는 1인 가구의 1억 원과 자녀가 있는 4인 가구의 1억 원은 생활 체감상 크게 다릅니다. 또한, 서울 등 수도권의 높은 주거비와 생활비를 고려하면 지방에서는 1억 원과는 의미가 다를 수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김민준 경제전문가입니다.

    2025년 기준 대한민국에서 연소득 상위 10%에 해당하려면 세전 약 9,500만원 이상(월 790만원 이상)의 소득이 필요합니다. 일부 자료에서는 근로소득자 기준으로 1억원 이상을 들기도 하나, 사업, 금융소득 등 전체 소득 기준으로 9500만~1억원이 상위 10% 진입 기준으로 여겨집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