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생물·생명 이미지
생물·생명학문
생물·생명 이미지
생물·생명학문
비범한앵무새123
비범한앵무새12323.09.21

피는 왜 빨간색인 건가요???

안녕하세요. 피에 색깔은 빨강색인데요: 이게 적혈구?가 빨간색이라 피가 빨간색이라고알고있는데요. 적혈구는 어떻게 빨간색을 띄는건가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8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김민규 과학전문가입니다.

    피에 포함된 헤모글로빈이 철 성분으로 이루져있기 때문입니다.

    이 철 성분은 산소와 만나면 산화되어 붉은 색을 띠는 특징이 있지요.


  • 인간의 혈액과 적혈구가 빨간색인 이유는 적혈구 내부에 들어있는 '헤모글로빈'이라는 단백질 때문입니다. 헤모글로빈이란 알파글로빈 2개와 베타글로빈 2개로 이루어진 4차구조의 단백질을 말하는데요, 이 단백질은 철을 포함하고 있는 헴(heme) 그룹을 가지고 있습니다. 철은 산소와 결합하여 산화되면 붉은색을 띤다는 특징이 있으며, 이로 인해 헤모글로빈을 많이 함유하고 있는 적혈구는 빨간색을 나타냅니다. 또한 적혈구는 전체 혈액의 40~45% 정도를 차지하기 때문에 적혈구의 색이 혈액 전체의 색을 결정하여 붉게 보이는 것입니다.


  • 안녕하세요. 이형민 과학전문가입니다.

    혈소판에 있는 헤모글로빈 때문억 그렇습니다. 헤모글로빈과 산소가 만나면 빨간색으로 변합니다


  • 안녕하세요. 이성현 과학전문가입니다.

    사람의 피가 빨간색인 이유는 혈액 속 헤모글로빈이 산소와 반응하기 때문입니다.

    헤모글로빈 철 성분이 산소를 만나면 산화되어 붉은색을 띄기 때문입니다.


  • 안녕하세요. 류경범 과학전문가입니다.

    사람의 피가 붉은색을 띠고 있는 이유는 혈액 내부의 적혈구 때문입니다.

    적혈구는 산소를 운반하는 역할을 하는 단백질이며, 철분이 포함한 헤모들로빈을 포함하고 있어 붉은색을 띠게 됩니다. 혈액이 산소와 결합하면서 적색 산소중합체가 생성되어 더 붉은색을 띠게 됩니다.


  • 안녕하세요. 장준원 과학전문가입니다.

    적혈구에는 헤모글로빈이 있는데 이 헤모글로빈 내의 철(Fe)에 산소가 달라붙어 결합하게 되면 산회되면서 색깔이 빨간색으로 변하는 것입니다. 쉽게 생각하시게 되면 철이 녹으면서 산화가 일어날 때 붉게 변하게 되는데 우리의 혈액 또한 동일하다고 생각하시면 되겠습니다.


  • 안녕하세요. 박준희 과학전문가입니다.


    사람의 피가 붉게 보이는 이유 역시 철 성분 때문인데, 철이 산소와 결합되어 산화되면 붉은 색을 띠기 때문입니다. 여러분들도 주변에서 산소와 결합된 철, 즉 녹이 슬어서 붉게 변한 철을 보신 적이 있을 겁니다. 이처럼 산화된 철의 빛은 붉은색이므로 우리의 피는 붉은색을 띠게 되는 것이죠.


    만약 헤모글로빈이 철이 아닌 구리 성분과 결합되어 있다면, 인간의 피는 붉은색이 아니라 산화구리의 색인 파란색을 띠게 될 것입니다. 실제로 연체동물들은 이런 이유로 인해 파란 피를 가지고 있다고 하네요.


    감사합니다.


  • 안녕하세요. 김재훈 과학전문가입니다.

    적혈구는 헤모글로빈이라는 단백질을 함유하고 있는데 헤모글로빈은 철분을 함유하고 있으며 철분은 빛의 파장 중에서 빨간색을 가장 많이 흡수하고 이때문에 피가 빨갛게 보이는 것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