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역사 이미지
역사학문
역사 이미지
역사학문
요리조리마수리346
요리조리마수리34623.08.26

조선시대 발행된 '삼강행실도'에는 어떤 내용들이 담겨있나요?

세종14년에 간행되었으며 여러가지 주제들을 담고 있었다고 들었는데요.

이렇듯 책이 그리고 인쇄물이 귀했던 당시 조선시대에

삼감행실도가 담고 있었던 내용들은 무엇이었는지 궁금합니다.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6개의 답변이 있어요!
  •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23.08.26

    안녕하세요. 임지애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삼강행실도가 무엇인지 궁금하군요.

    1428년 진주(에 사는 김화가 아버를 살해한 사건에 대하여 강상죄(사람이 지켜야 할 도리에 어긋난 죄)로 엄벌하자는 주장이 논의되었을 때, 세종이 엄벌에 앞서 세상에 효행의 풍습을 널리 알릴 수 있는 서적을 간포(刊布)해서 백성들에게 항상 읽게 하는 것이 좋겠다는 취지에서 만들었습니다. 또한, 권부의 『효행록』에 우리나라의 옛 사실들을 첨가하여 국민교화서적으로 삼고자 하였다고 합니다.


  • 안녕하세요. 윤지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삼강행실도는 조선시대 윤리,도덕 교과서 중에 제일 먼저 발간 되고 제일 많이 읽혀진 책으로 그 내용으로는 우리나라와 중국의 서적에서 모범이 될만한 충신, 효자, 열녀의 행실들의 내용을 담고 있다고 합니다.


  • 안녕하세요. 최은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삼강행실효자도, 삼강행실충신도, 삼강행실열녀도 3부작으로 이루어져있습니다.

    효자도에는 순임금의 큰 효성을 비롯해 역대 효자 110명을 , 충신도에는 용봉이 간하다 죽다 외 112명의 충신을, 열녀도에는 아황, 여영이 상강에서 죽다 외 94명의 열녀를 소개 합니다.


  • 안녕하세요. 손용준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삼강 행실도는 우리 민족의 영웅이신 세종대왕의 지시로 편찬된 책으로, 삼강오륜(三綱五倫)의 실천을 중요한 윤리도덕으로 삼는 조선에서 국민윤리교과서적 성격을 갖는 교본인데 『삼강행실효자도』는 우리나라와 중국의 효자 110명에 관한 이야기를 그림으로 그린 것으로, 효자가 곤경에 처한 부모를 위해 효성으로 난관을 극복하는 것이 주된 내용이라고 합니다.


  • 안녕하세요. 정준영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삼강행실도〉는 1428년(세종 10년)에 진주에서 김화라는 사람이 아버지를 살해하는 사건이 발생하자 이를 엄벌에 처하면서, 이와 더불어 효행을 널리 알릴 수 있는 책을 펴내 이와 같은 사건이 되풀이 되지 않도록 하자는 의도에서 간행되었다. 1431년(세종 13년) 집현전의 부제학이었던 설순 등에게 왕명을 내려 권부(權溥)의 〈효행록(孝行錄)〉에 우리 나라의 옛 사실들을 첨가하여 조선과 중국의 서적에서 충신, 효자, 열녀 등의 사례를 뽑아 그 행적을 그림과 글로서 칭송하도록 하였다. 이 책의 제목인 삼강(三綱)은 임금과 신하, 부모와 자식, 남편과 아내 사이에 마땅히 지켜야 할 유교적인 도리로써 군위신강(君爲臣綱), 부위자강(父爲子綱), 부위부강(夫爲婦綱)을 말하는 것이다.


    이 책은 조선보다는 중국의 사례를 중심으로 하여 기초했다는 점이 특징이다. 또한 각각의 사실에 그림을 붙이고 이를 설명한 영가(詠歌)나 찬(贊)을 달았다. 내용은 삼강행실효자도, 삼강행실충신도, 삼강행실열녀도의 3부작으로 구성되어 있는데, 삼강행실효자도에는 「순임금의 큰 효성(虞舜大孝)」을 비롯하여 역대 효자 110명을, 충신도에는 「용봉이 간하다 죽다(龍逢諫死)」 외에 112명의 충신을, 열녀도에는 「아황·여영이 상강에서 죽다(皇英死湘)」외 94명의 열녀를 소개하고 있다. 한국 사람으로는 효자 4명, 충신 6명, 열녀 6명이 실려 있다. 한편 이 책은 1481년(성종 12년)에 3권 1책의 목판본으로 하여 한글로 언해한 것이 있으며 이것은 각 편당 인원을 줄이고 있으며, 조선 전기 한글 연구로 중요한 자료이다.


    〈삼강행실도〉는 백성들의 교육을 위해서 만들어졌기 때문에 그림을 통해 글자를 모르는 백성들에게까지 내용을 알 수 있도록 하고 있다. 또한 조선 시재 판화의 주류를 형성하는 삼강오륜 계통의 판화들에 큰 영향을 끼쳤으며 지속적으로 중간되어 도덕서로서 널리 읽혔다.

    출처 : 통합논술 개념어 사전


  • 안녕하세요. 김희주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삼강행실도』는 1434년(세종 16)에 집현전에서 발간한 책입니다. 백성들에게 유교적인 윤리를 교육하기 위해 만들었습니다. 조선 초기였기 때문에 고려 말기 새롭게 부상한 성리학을 바탕으로 한 유교 이념을 백성들에게 보급하여 나라의 통치 기반을 굳건히 할 필요가 있었던 것이지요. 책 속에는 유교 윤리 중 삼강에 해당하는 군위신강(君爲臣綱), 부위자강(父爲子綱), 부위부강(夫爲婦綱) 세 가지의 윤리 및 도덕 강령을 아주 잘 실천해서 타의 모범이 되는 사람들의 사례들이 실려 있습니다. 군위신강에 해당하는 사례는 충신, 부위자강은 효자, 부위부강은 열녀의 사례를 담고 있습니다. 각각 110인씩 총 330명의 행실이 기록되어 있고, 관련된 일화들이 글 뿐만아니라 그림으로도 실려있어 글을 모르는 백성들도 쉽게 보고 이해할 수 있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