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금·세무
국민연금 수령자 사망하여 승계 시, 배우자는 몇%를 받을 수 있나요?
회사를 다니다보니 법에 따라서 국민연금을 강제로 징수 당하고 있는데요.
우리나라에서 계속 근로를 하게되면 국민연금은 지속적으로 내야되는데 여기서 드는 궁금점은
국민연금 수령 나이가 계속 늘어나는 추세인데요. 나중에 제가 사망하게 될 경우, 매달 받는 국민연금은 배우자가 몇퍼센트를 받을 수 있는 것인지 궁금합니다.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2개의 답변이 있어요!
전문가 답변 평가답변의 별점을 선택하여 평가를 해주세요. 전문가들에게 도움이 됩니다.
안녕하세요. 광교세무법인 삼성지점 이용연 세무사입니다.
국민연금은 배우자가 사망한 경우, 국민연금은 유족연금이라는 이름으로
지급이 되는 것이며, 가입년수에 따라 일정 퍼센트(40~60%)를 공제하고
사망한 배우자의 연금을 수령하는 것이 가능합니다.
- 20년 이상 가입자 : 60%
- 10년 ~ 20년 미만 가입자 : 50%
- 10년 미만 가입자 : 40%
안녕하세요. 자성세무회계 김성은 세무사입니다.
국민연금 가입자 사망 시 배우자가 상속받기 위해서는 생전에 다음의 기준 중 하나를 충족해야 합니다.
노령연금을 수령한 경우 국민연금에 가입을 유지한 기간이 10년이 된 사람 또는 가입한 사람, 연금보험료를 납입한 기간이 가입대상 기간의 3분의 1 이상인 경우, 체납기간 3년 이상을 제외하고 사망일 5년 전부터 사망한 날까지를 기준으로 4년 이상 연금보험료를 납부한 사람 등 입니다.
여기서 유족연금은 사망자의 가입기간이 10년 미만에 해당한다면 기본연금액의 40%를 받게 되고, 가입기간이 10년 이상 20년 미만인 경우 50%, 가입기간이 20년 이상인 경우 60%가 지급됩니다.
제 답변이 도움이 되셨으면 좋겠습니다.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