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지구과학·천문우주 이미지
지구과학·천문우주학문
지구과학·천문우주 이미지
지구과학·천문우주학문
고귀한거북이194
고귀한거북이19423.01.26

열기구가 하늘에 뜨는 원리는 무엇인가요?

열기구를 타는 체험을 하는것을 유투브에서 봤는데

어떻게 저렇게 큰게 하늘로 뜰수있을지 신기했습니다.

열기구는 무슨 원리로 하늘로 뜰수 있는건가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11개의 답변이 있어요!
  •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23.01.26

    안녕하세요. 과학전문가입니다.

    간단한 원리입니다.

    공기에 열을 가하면 공기 분자가 빠르게 움직이며 퍼집니다..

    그러면 뜨거운 공기는 차가운 공기보다 밀도가 낮아서 위로 올라갑니다.

    열기구도 이와 똑같은 방식으로 움직입니다.

    풍선 안에 가둔 공기를 뜨겁게 만들어서, 기구가 땅 위로 떠오르게 됩니다.


  • 열기구가 하늘로 뜨는 원리는 기체 열팽창과 밀도차이에 기반합니다. 열기구 내부에 가열된 공기는 더 높은 온도와 낮은 밀도를 가지기 때문에 주변 대기보다 가벼워지게 됩니다. 이 때문에 열기구는 주변 대기보다 더 높은 위치로 상승하게 됩니다. 열기구를 상승시키기 위해서는 공기를 가열해야 하며, 대기 상태에 따라서 필요한 공기의 양과 가열하는 방법이 달라질 수 있습니다. 열기구가 내부에 가열된 공기를 주입하면, 공기는 열팽창하면서 열기구를 들어올립니다. 이러한 원리로 인해 열기구는 하늘로 뜰 수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박경훈 과학전문가입니다.

    부력은 공기나 물보다 가벼운 물체가 물이나 공기 위에 뜨려는 힘을 말하며, 공기주머니의 뜨거워진 공기가 주변의 공기보다 가벼워져 열기구가 하늘로 올라가 날아갑니다


  • 안녕하세요. 김경태 과학전문가입니다.

    뜨거운 공기는 위로 상승하려 합니다.

    열기구 버너가 공기를 데우면 공기가 위로 올라가려 하면서 열기구를 들어올리죠.


  • 더운 공기는 차가운 공기보다 비중이 가볍습니다.

    따라서 대기 중 올라가려고 하는 성질이 있습니다.

    이 원리를 이용해서 열기구 안의 공기를 불로 데우면 비중이 가벼워지므로 하늘로 떠오르게 됩니다.


  • 안녕하세요. 강상우 과학전문가입니다.

    열기구가 공기중으로 올라가는 이유는, 지속적으로 가열하여 큰 풍선이 수축되지않고 상승기류를 타게 만드는 원리입니다.

    큰 부피의 풍선으로 지속적인 가열을 통해 공기 분자활동을 활발하게 만들어 밀도를 줄임으로, 주변 공기보다 가볍게 만들어 부양하는 것이지요.


  • 안녕하세요. 정철 과학전문가입니다.

    뜨거워진 공기는 위로 올라가고자 합니다. 열기구는 이러한 특성을 사용한 탈것으로 풍선안에 뜨거운 공기를 채워 상승하게 되는것입니다. 일반적인 열기구는 아래위로만 움직일수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이상현 과학전문가입니다.

    열기구 풍선 바로아래에는 공기의 온도를 데워줄 버너가 존재합니다.

    풍선안쪽의 공기가 뜨거워지면, 운동에너지가 증가하여 밀도가 낮아지는데, 풍선 바깥의 공기보다 밀도가 낮아 위쪽으로 떠오르는 힘이 만들어집니다.

    즉, 물속에서 밀도가 낮은 얼음이 뜨듯이 열기구 풍선안의 따듯하고 밀도가 낮은 공기도 위로 떠오르는 것입니다.

    감사합니다.


  • 안녕하세요. 김학영 과학전문가입니다. 뜨거운 공기는 대기상층으로 상승하고 차가운 공기는 내려오는 성질이 있습니다. 열기구는 커다란 기낭에 이런 뜨거운 공기를 가둬둬서 상승하는 힘을 얻는겁니다.


  • 안녕하세요. 류경범 과학전문가입니다.


    뜨거워진 공기는 밀도가 낮아 위로 상승하게 됩니다.

    이 원리를 이용하여 열기구를 띄우게 됩니다.

    그래서 열기구의 풍선에 지속적으로 열을 가해 따뜻한 공기를 채워주는 것이죠.


  • 안녕하세요. 이원영 과학전문가입니다.

    공기가 열을 받으면 가벼워져서 하늘로 올라가는 힘이 생기기 때문입니다.

    물체가 열을 받으면 부피가 늘어나고 가벼워지는 현상 때문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