생활

건폐율과용적률을 이해하기 쉽게 알려주세요?

건축용어중에 건폐율에 대해서 이해하기 쉽고 빠른 계산방법을 알려주세요?

그리고 용적률은 어떻게 다르고 건폐율과 어떻게 적용해야하나요?

건폐율과 용적률을 보다보면 대지면적,건축면적,연면적같은 건축용어들이 나오는데 알기쉽게 알려주세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2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부동산을 보다보면 용적률과 건폐율이 자주 등장하는데 간단히 설명하면 아래와 같습니다.

    일단 건폐율부터 보자면, 건폐율은 대지면적 대비 건축면적의 비율입니다. 즉, 100평의 땅에 50평을 차지하는 건물이 하나 세워져있다면 건폐율은 50/100 x 100 = 50%이 됩니다.

    용적률도 건폐율과 비슷하지만 결정적으로 다른 것은 건물의 각 층 면적까지 모두 더해서 대지면적으로 나눈다는 것입니다. 즉, 100평짜리 땅에 20평을 차지하는 건물이 있는데, 이 건물이 3층짜리 건물이라면, 20평만큼 1, 2, 3층이 존재하기 때문에 (50+50+50)/100 x 100 = 150%가 됩니다.

    답변 도움이 되었으면 좋겠습니다. 감사합니다.

    • 답변이 마음에 들었다면?
  • 건폐율은 총 대지면적 대비 아파트가 차지하는 면적의 비율을 말하고

    용적률은 총 대지면적 대비 세대수를 고려한 아파트가 차지하는 면적의 비율입니다.

    건폐율이 10퍼센트인데 동일 평수로 세대수가 20세대이면 용적률은 200퍼센트가 되는 것입니다.

    건폐율 대비해서 용적률이 높다는 것은 그만큼 세대수가 많은 고층아파트라는 말이 되는 것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