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병자 실비보험을 유지하는게 괜찮을까요?
안녕하세요
저희 부모님께서는 70대 중반으로 기저질환이 있으셔서
일반 실비보험을 가입할 수 없으셔서
아는 보험 설계사분을 통해 약 4년 전 유병자 실비 보험을 가입하셨습니다
(부: 협심증, 모: 고혈압, 고지혈, 갑상선기능저하)
현재도 다른 특약 없이 두분이서 유병자 실비보험만으로 한달에 합 약20만원의 유병자 실비보험료를 내고 계십니다.
그런데 이 유병사실비보험이 막상 갑자기 발생한 질병으로 병원에 방문하였을때 그다지 보상을 받지 못하고 있어 효용성이 의심되어 글 올리게 됐습니다.
이 보험이 보장율이 너무 낮은 것 같은데 나중에 80대, 90대에 혹시나 발생할지도 모를 질병을 위해 계속 가져가는게 맞을지, 당장이라고 해약하는게 나을지 모르겠어서 글 올려봅니다..
안녕하세요. 박경태 보험전문가입니다.
현재로 가장 좋은 방법은 일단 유지하시는 것입니다. 해지할 경우에는 해지환급금을 다 못받거나 적기 때문에 손해가 클 수 있습니다.
유병자실비보험은 큰 병이 나서 병원에 갔을 때 나오는 보험금에서는 일반 건강체 실비보험보다는 낫습니다. 현재 유병자 실비보험은 하나의 상해, 하나의 질병당 급여, 비급여 합산해서 연간 5천만원 한도내에서 보장해주고 현재 4세대 실비보험은 모든 상해 또는 질병에 대해서 각각 급여, 비급여 5천만원 한도내에서 보장하고 본인부담금 상한액에서 유병자실비보험은 하나의 상해, 하나의 질병당 연간 200만원 초과하는 금액을 보상하고 4세대는 급여에서 상해 질병 합산 연간 200만원 초과하는 금액은 보상하고 비급여는 상한액 없이 30% 본인부담금이죠. 그래서 4세대 실비보험이 본인부담금이 2500만원이 나온다면 유병자 실비보험은 400만원을 자기 부담으로 가져가면 됩니다. 그래서 큰 병에 걸렸을 때는 유병자 실비보험이 4세대 실비보험보다는 낫다고 하는 것입니다. 그래서 보장성이 현재는 낫더라도 일단 해지를 하는 것보다는 혹시나 모를 큰 질병에 대비해서 가지고 계시는 것이 좋겠습니다.
1명 평가안녕하세요. 이태영 보험전문가입니다.
유병자 실비 보상 안되는 부분이 많아 불편하실줄로 압니다.
3대 비급여 특약에 해당하는 도수치료, 체외충격파, 증식치료, 비급여주사, MRI, MRA는 보상에게 제외 됩니다.
처방제조비는 보상되지 않아 약약을 보상해 주지 않습니다. (일반 실비보험에서는 약값도 보상을 해줍니다. 그러나 유병자 실비 보상에 포함되지 않습니다.)
1년 병원 방문 180회 한도로 보상이 되고 급여 비급여 모두 30% 공제입니다.
부모님 건강상태와 기저질환에 맞는 건강보험의 가입도 적극 검토해 보시는 게 좋겠습니다.
1명 평가안녕하세요. 장재영 보험전문가입니다.
사실 유병자 실비의 실효성은 없는 편인데
중대질환을 발병 등을 고려 했을 때는 나름 유효합니다.
그리고 유병자 실비든 일반 실비든
병원 자체를 많이 안가는 연령에 보험료는 5만원 이상씩 내면
유지를 고민하는 고객분들이 많습니다.
비갱신형 보험이 어느정도 되어 있으면 과감하게 해지하시지만
아니라면 최대한 유지 의견 정도만 드립니다.
안녕하세요. 이원태 보험전문가입니다.
유병자실비는 소소한 진료나 치료등 약제비보자은 어렵지만 정작 큰병의 수술이나 입원에는 도움이 됩니다 연세가 많으신분들은 유병자실비외에 그래도 진단비와 간병인보험은 준비를 하는것이 좋습니다
안녕하세요. 보험전문가입니다.
유병력자실손의료비는 입원 등의 큰 의료비용이 발생하는 상황이 아니라면 큰 의미가 없긴 합니다.
게다가 일반 실비보다 보장율이 적은 단점이 있습니다. 기저질환으로 입원 위험성이 낮다면 진단금이나 다른 보험으로 가입하는 것을 추천합니다.
안녕하세요. 이선희 보험전문가입니다.
유병자(간편)실손보험은 대부분 만성질환이 있거나 고령으로 가입하는데 만성질환으로 합병증이 생길 경우 고액의 치료비부담으로 인한 경제적손실에 대비해야 합니다.
70대 중반이면 병원이용 확률이 높은 연령대로 유지하는것이 좋다고 생각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