맥주에 땅콩을 넣으면 위아래로 계속움직인다?
시원한 맥주와 함께 잘 어울리는 안주로 땅통이 있는데요, 맥주에 땅콩을 넣으면 땅콩이 위에 떠있지도 않고 가라앉지도 않고 위아래로 계속 움직인다고 하는데 이유가 무엇인가요?
안녕하세요. 이형민 과학전문가입니다.
땅콩이 맥주보다 밀도가 높아서 처음에는 밑으로 가라앉지만 땅콩 주위에 이산화탄소가 붙으면서 땅콩을 상승 시킵니다. 그 후에 이산화탄소가 다 날라가면 다시 가라앉게 됩니다
안녕하세요. 장준원 과학전문가입니다.
땅콩을 맥주에 넣으면 위 아래로 이동하게 되는데요. 먼저 땅콩은 맥주보다 밀도가 크기 때문에 가라앉게 됩니다. 가라 앉은 땅콩 바닥면에 이산화탄소 기포가 생기고 땅콩 바닥면에 붙어서 땅콩을 맥주 위로 부양시키게 됩니다. 그렇게 올라간 땅콩은 이산화탄소 기포 수명이 다하게 되면 다시 가라앉게 되고 이 과정을 반복하다보니 위 아래로 움직이게 되는 것입니다.
안녕하세요. 류경범 과학전문가입니다.
처음 맥주에 땅콩을 넣으면 땅콩이 바닥으로 가라앉습니다.
그러나 아주 작은 이산화탄소 기포가 땅콩의 표면을 덮으며 부양 장치로 작용하며 땅콩를 위로 끌어 올립니다.
그리고 땅콩 표면의 모든 거품이 터지고 나면 다시 가라앉았다가 새로운 거품이 붙으며 떠오르기를 반복하는 것입니다.
안녕하세요. 김경태 과학전문가입니다.
땅통이 맥주 안에서 위아래로 움직이는 현상은 "맥주의 부력"이라고 알려져 있습니다. 이 현상은 땅통과 맥주 사이의 상호작용과 관련이 있습니다.
맥주에는 이산화탄소가 포함되어 있습니다. 땅통을 맥주에 넣으면 이산화탄소 기포가 땅통의 표면 주위에 형성됩니다. 이 기포들이 땅통의 표면과 상호작용하면서 부력을 만들어내게 됩니다.
땅통은 밀도가 맥주보다 높기 때문에 기포들이 땅통 주위에 모이게 됩니다. 이 기포들이 모여서 땅통을 위로 밀어올리면서 땅통이 위로 움직입니다. 그리고 다시 기포들이 퍼져 내려오면서 땅통이 아래로 내려가는 움직임을 보이게 됩니다. 이러한 과정이 반복되면서 땅통이 위아래로 계속 움직이는 것처럼 보이는 것입니다.
안녕하세요. 김재훈 과학전문가입니다.
땅콩이 맥주에 넣었을 때 위아래로 계속 움직이는 이유는 땅콩의 밀도와 맥주의 밀도가 비슷하기 때문입니다. 땅콩의 밀도는 약 1.3g/cm³이고, 맥주의 밀도는 약 1.0g/cm³입니다. 따라서, 땅콩은 맥주에 넣으면 가라앉지도 않고 떠있지도 않고, 맥주의 밀도와 비슷한 밀도 때문에 위아래로 움직이는 것입니다.
안녕하세요. 박정철 과학전문가입니다.
맥주에 땅콩을 넣으면 위아래로 계속 움직이는 현상은 주로 화학적인 원인으로 설명됩니다. 이러한 현상은 "브라운 운동"이라고도 알려져 있습니다.
땅콩은 비교적 높은 밀도를 가지고 있으며, 맥주는 상대적으로 낮은 밀도를 가지고 있습니다. 따라서 땅콩이 맥주 안에서 아래로 가라앉을 때까지 중력에 의해 아래로 향하게 됩니다.
그러나 맥주 안에는 이산화탄소 (CO2) 가스가 포함되어 있습니다. 이산화탄소는 발효 과정에서 생성되며, 맥주 속에서 작은 기포 형태로 존재합니다. 이 기포들이 땅콩 주변으로 모여들면서 땅콩 주위의 액체 부분의 밀도가 감소합니다.
기포들이 모여든 결과, 땅콩 주위의 액체 부분의 밀도가 낮아지면서 중력과 부력(기포에 의한 영향)의 균형이 깨집니다. 그 결과, 더 낮은 밀도를 가진 액체 부분인 기포가 위로 올라갈 수 있는 힘이 생깁니다.
안녕하세요. 조사를 해본 결과 땅콩이 맥주에 넣으면 위에 떠있지도 않고 가라앉지도 않고 위아래로 계속 움직이는 이유는 땅콩과 맥주의 비중 차이 때문입니다. 땅콩의 비중은 약 1.03g/cm³이고, 맥주의 비중은 약 0.99g/cm³입니다. 즉, 땅콩은 맥주보다 약간 무겁기 때문에 가라앉지만, 맥주의 표면장력이 땅콩을 떠있게 만드는 힘을 발휘하기 때문에 완전히 가라앉지는 않습니다. 또한, 맥주가 움직이면 땅콩은 맥주와 함께 움직이게 되는데, 이때 맥주의 표면장력이 땅콩을 끌어올려 위로 올라가게 하고, 맥주가 가라앉으면 땅콩을 다시 끌어내려 가라앉게 하는 과정이 반복됩니다.
즉, 땅콩이 맥주에 넣으면 위아래로 계속 움직이는 것은 땅콩과 맥주의 비중 차이, 맥주의 표면장력, 맥주의 움직임 세 가지 요인이 복합적으로 작용한 결과입니다.
이러한 현상을 이용하여 땅콩을 맥주에 넣고 흔들어주면 땅콩이 맥주 속에서 춤을 추는 것처럼 보이기도 합니다. 도움이 되셨다면 좋아요 추천 부탁드립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