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배당성향'이라는 용어에 대해 설명해 주세요.
안녕하세요. 오늘도배웁니다.
연말이 되면서 배당에 대한 이야기가 자주 나옵니다.
'배당성향'이 몇 %다는 이야기를 자주 하던데, 여기서 '배당성향'이란 어떤 것을 나타내는지, 어떻게 계산하는지 궁금합니다.
설명 부탁드립니다.
안녕하세요. 박경영 경제전문가입니다.
안녕하세요! 오늘도 배우려는 자세가 정말 멋지네요. 😊
1. 배당성향이란?
'배당성향'에 대해 간단하고 쉽게 설명드릴게요.배당성향은 기업이 순이익 중에서 주주들에게 배당으로 얼마나 돌려줬는지를 나타내는 비율입니다.
즉, 회사가 벌어들인 이익 중 몇 %를 배당으로 지급했는지를 보여주는 지표입니다.예를 들어, 한 회사가 1억 원의 순이익을 냈고, 그중 3천만 원을 배당으로 지급했다면, 배당성향은 30%입니다.
2. 배당성향 계산 방법배당성향은 아래와 같은 공식으로 계산합니다:
배당성향 (%)=(배당금 총액순이익)×100\text{배당성향 (\%)} = \left( \frac{\text{배당금 총액}}{\text{순이익}} \right) \times 100
배당금 총액: 주주들에게 실제로 지급한 배당금의 합계.
순이익: 회사가 한 해 동안 벌어들인 순이익 (세후 이익).
높은 배당성향
회사가 이익의 큰 부분을 주주들에게 돌려주고 있음을 의미합니다.
안정적인 회사이거나 성장이 제한적인 경우 배당성향이 높을 수 있습니다.
너무 높은 배당성향(예: 100% 초과)은 회사가 이익 이상으로 배당금을 지급해 장기적 성장을 희생할 가능성도 있습니다.
낮은 배당성향
회사가 이익을 배당보다는 재투자에 활용하려는 의도를 의미합니다.
성장 가능성이 높은 회사(예: 기술 기업)들은 배당성향이 낮거나 아예 배당금을 지급하지 않는 경우가 많습니다.
A 회사: 순이익 10억 원, 배당금 총액 2억 원
배당성향 = 2억10억×100=20%\frac{2억}{10억} \times 100 = 20\%
A 회사는 이익의 20%를 주주들에게 배당금으로 지급했네요.
B 회사: 순이익 5억 원, 배당금 총액 5억 원
배당성향 = 5억5억×100=100%\frac{5억}{5억} \times 100 = 100\%
B 회사는 이익 전부를 배당금으로 지급했습니다.
배당성향은 주주에게는 매력적인 지표이지만, 너무 높은 배당성향은 회사의 재투자 여력 부족을 나타낼 수 있으니 주의 깊게 봐야 합니다.
업종이나 기업의 성장 단계에 따라 배당성향이 크게 다를 수 있습니다.
배당성향에 대해 이해하는 데 도움이 되었길 바랍니다! 추가로 궁금한 점 있으면 언제든지 질문해주세요. 😊
1명 평가안녕하세요. 최현빈 경제전문가입니다.
배당성향이라는 것은 기업이 돈을 벌고 나서 해당 수익중에 몇퍼센트를 배당으로 지급할지에
대한 내용이 배당성향이라고 합니다
100만원 벌고 10만원을 배당으로 지급하면 배당성향 10%라고 보시면 됩니다.
감사합니다.
안녕하세요. 박형진 경제전문가입니다.
기업이 벌어들인 수익중 얼마나 많이 이익을 주주에게 배당하는지를 계산한 지표입니다.
배당금/당기순이익 X 100% 는 배당성향을 계산할 수 있는 식입니다.
배당 성향은 해당 기업에 재무정보나 경영 성과를 판단하는 주요한 지표로 활용되기도 합니다.
참고 부탁드려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