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생물·생명 이미지
생물·생명학문
생물·생명 이미지
생물·생명학문
한알쌍7214
한알쌍721423.05.16

개미는 '페로몬'으로 냄새를 따라 먹이를 찾으라 가나요?

길에 보면 개미가 이리 저리가 많은데

죽은 곤충을 페로몬으로 냄새를 따라 먹이를 잘 찾아가는데

개미의 페로몬은 어디에 나는지 궁금합니다.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8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원형석 과학전문가입니다.

    페르몬은 약 적어도 1m이상의 거리는 있습니다.최대치로 실험을 했을 때는 매우 광범위하게 10m정도까지도


    개미들이 알아챌 수 있습니다.그러니까 결코 우연의 일치라 할수는 없죠.물론 의사소통의 역할으로 쓰기도 하지만,


    무엇보다 광범위적이게 영향을 많이 끼칩니다.그러니까 매우 정상적이고 우연의 일치는 아닐겁니다.




  • 안녕하세요. 김태경 과학전문가입니다.

    이 개미는 먹이를 찾아다니는 동안 엉덩이 부분에서 2-메톡시카르보닐-4-메틸피롤이라는 화학물질을 분비하여 일정 간격으로 땅에 묻혀요. 다른 개미들은 이 화학물질을 길표지로 삼아 더듬이로 감지하며 줄을 지어 이동하게 되는 것입니다


  • 안녕하세요. 김학영 과학전문가입니다.개미의 페로몬은 여러 부위에서 분비됩니다. 주로 개미의 발바닥, 특히 발바닥의 끝 부분에 위치한 기관에서 분비됩니다. 이 외에도 개미의 앞쪽과 뒤쪽에서도 페로몬을 분비할 수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김재훈 과학전문가입니다.

    개미는 머리 가슴 배중 배의 끝부분에는 외분비샘이 있는데 이 외분비샘 페로몬을 분비하여 서로 소통합니다


  • 안녕하세요. 설효훈 과학전문가입니다. 개미의 페로몬은 머리와 배, 다리등에 존재하는 10~20개의 외분비샘에서 분비됩니다.


  • 안녕하세요. 백승엽 과학전문가입니다.

    개미들은 페로몬을 통해서 먹이를 찾거나, 길을 알려주거나 위험을 알리는 등 서로 의사소통을 합니다.

    페로몬은 페로몬의 종류, 개미의 종류에 따라 분비되는 기관이 다르며, 보통 개미의 턱이나 배 근처에 있는 특수기관에서 분비됩니다.


  •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23.05.16

    안녕하세요.

    개미의 페로몬은 일반적으로 개미의 발바닥 또는 복부에서 분비됩니다. 개미는 이러한 페로몬을 사용하여 다른 개미와 소통하며 먹이 위치, 둥지 위치, 위험 신호 등을 전달하며 서로의 위치를 파악합니다.

    특히, 개미는 자신의 페로몬을 통해 다른 개미에게 자신의 행동을 알리거나, 다른 개미의 페로몬을 탐지하여 먹이 위치를 파악하며, 이를 통해 단체적인 행동을 조율합니다.

    개미의 페로몬은 냄새로 인식되며, 개미는 냄새를 감지하는 미각기관을 가지고 있습니다. 이러한 미각기관은 개미의 발바닥과 복부에 위치하며, 냄새를 감지하여 뇌로 신호를 전달합니다. 따라서, 개미는 냄새를 통해 자신의 페로몬 뿐만 아니라 다른 개미의 페로몬도 감지할 수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이상현 과학전문가입니다.

    개미는 찾은 음식이있는장소를 동료들에게 알리기위해 집으로되돌아가는길에 페로몬을 방출합니다.

    개미엉덩이쪽에 달린 페로몬 외분비샘으로부터 페로몬이 나오게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