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생물·생명 이미지
생물·생명학문
생물·생명 이미지
생물·생명학문
HEEB
HEEB23.05.13

개미는 후각이 발달한 곤충인지 궁금합니다.

길거리에 과자 부스러기가 떨어져 있는 곳에 개미들이 많이 모여 있습니다.

후각이 발달해서 몰려오는지 궁금합니다. 과자 부스러기 있는 곳을 어떻게 알고 찾아왔는지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5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김경렬 과학전문가입니다.

    개미는 시각도 발달해있지 않고 청각은 더욱 그렇습니다.

    오로지 개미는 후각에만 의존하는 동물입니다.

    안 보이지만 개미는 뒷꼬랑지를 바닥에 붙이며 돌아다니는데, 이떄 페로몬이란 화학물질을 분비합니다.

    이 페로몬은 자신이 갔던 길을 찾는 수단이자, 어떻게 하는지는 모르지만 이걸로 서로 의사소통의 수단도 된다닙다.


  • 안녕하세요. 설재훈 과학전문가입니다. 사람보다 몇배 혹은 몇 십배 능력이 좋아요 특정 종의 개미는 놀라운 생체 감지 능력을 가진 다른 동물에서 볼 수있는 것과 동일한 정확도로 암세포를 검출하도록 훈련가능


  • 안녕하세요. 김경태 과학전문가입니다.

    개미는 후각이 발달한 곤충 중 하나입니다. 개미들은 냄새를 통해 식물, 다른 개미, 먹이, 적과 같은 여러가지 정보를 인식합니다. 개미는 냄새를 감지하기 위해 머리에 있는 미각기와 후각기를 사용합니다. 후각기는 머리 윗부분에 위치한 냄새 감지기로서 개미가 향기를 탐지하고 향기의 강도를 감지할 수 있도록 도와줍니다. 이를 통해 개미는 먹이를 찾거나 다른 개미와 통신하는 등 여러 가지 활동을 수행합니다.


  • 안녕하세요. 이원영 과학전문가입니다.

    개미들은 특정 휘발성유기화합물(VOC)을 맡고 둥지로 돌아가는 것으로 관찰돼 왔다.

    게다가 각각의 암에 고유의 VOC를 분석하고, 종류를 특정할 수 있는 것을 증명한 연구도 있다.

    개미를 훈련시키면 암 탐지견이 아닌 암 탐지 개미로 만들 수 있을지도 모른다.

    개와 맞먹는 검출 능력이 있다고 합니다.



  • 안녕하세요. 정준민 과학전문가입니다.

    다들 더드미라고 할고 있는데 그 더드미에 후각기관이 위치해 있습니다.

    네, 개미는 후각이 발달한 곤충입니다. 개미는 대부분의 곤충과 마찬가지로 미각과 후각을 이용하여 식물과 다른 동물의 냄새를 감지하고, 사회생활을 하는 데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