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핫뉴스실시간 인기검색어
아핫뉴스 화산 이미지
아하

학문

생물·생명

칠공주파리더
칠공주파리더

동물들의 전염병이 사람에게 옮을 수 있나요?

최근에 코로나가 사람에서 동물에게로 옮길 수도 있다는 주장이 있었어요. 그렇다면 원래 동물의(예를 들어 가축이나 새) 병이 사람에게 반대로 옮길 수도 있나요? 세균이라는 것이 종을 달리함에도 그 해악이 동일하게 적용되는 것인지 궁금해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5개의 답변이 있어요!
  • 동물의 전염병이 사람에게 옮길 수 있습니다. 이러한 전염병을 인수공통감염병이라고 합니다. 예를 들어, 광우병, 조류 인플루엔자, 그리고 최근의 코로나바이러스가 이에 해당합니다. 세균이나 바이러스는 종을 넘어 감염될 수 있으며, 그 해악이 사람과 동물 모두에게 영향을 줄 수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네, 동물의 전염병이 사람에게도 옮을 수 있습니다. 이처럼 동물과 사람 간 전파 가능한 질병을 '인수공통감염병'이라고 합니다. 바이러스, 세균, 진균 또는 기생충이 동물과 사람간의 직접적 접촉이나 매개체(vector) 또는 환경요인에 의해서 전파됩니다. 병원체는 종을 넘어 전파될 수 있는 특성을 가지며, 이는 병원체의 변이와 숙주 범위의 변화로 인해 발생합니다. 인수공통감염병에서 병원체가 서로 다른 종에게 항상 동일한 영향을 미치는 것은 아닙니다. 각 동물 종은 서로 다른 면역 체계를 가지고 있어 병원체에 대한 반응이 다르게 나타납니다. 예를 들어, 특정 바이러스에 대해 어떤 동물은 강한 면역 반응을 보일 수 있지만, 다른 동물은 약한 면역 반응을 보일 수 있습니다. 또한 어떤 동물은 과거에 유사한 병원체에 노출된 경험이 있어 면역 기억을 통해 더 효과적으로 대응할 수 있지만, 다른 동물은 그렇지 않을 수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김경태 전문가입니다.

    동물의 병이 인간에게 전파될 수 있는 사례로는 돼지 독감이나 H5N1형 조류인플루엔자 등이 있습니다. 일부 동물에서 발생하는 병을 사람에게 전파시키는 경우가 있을 수 있으며, 이는 종 간 전파라는 현상으로 인해 발생할 수 있습니다.

    세균의 경우에도 종 간 전파가 가능합니다. 일부 세균은 동물에서 인간으로, 혹은 그 반대로 전파될 수 있습니다. 따라서 동물과 인간 간의 병 전파는 종 간 전파라는 메커니즘에 의해 발생할 수 있습니다.

  • 네, 동물들의 전염병이 사람에게 옮을 수 있습니다. 이러한 질병을 인수공통감염병이라고 합니다.

    인수공통감염병은 동물과 사람 사이에 서로 전파되는 병원체에 의해 발생하는 감염병으로, 세균, 바이러스, 진균, 기생충 등 다양한 병원체가 원인이 될 수 있습니다.

    인구 증가와 도시화로 인해 사람과 동물이 함께 생활하는 환경이 늘어나면서 감염될 기회가 많아지며 이러한 현상이 잦아지고 있습니다. 또 인간 활동으로 인해 야생동물의 서식지가 파괴되면서 동물들이 사람이 사는 지역으로 이동하여 접촉할 가능성이 높아졌으며 동물 및 동물 제품의 국제 교역이 활발해지면서 병원체가 다른 지역으로 빠르게 확산될 수 있습니다. 게다가 기온 상승 등 기후 변화로 인해 병원체의 생존 기간이 길어지거나 새로운 지역으로 확산될 수 있습니다.

    대표적인 인수공통감염병으로는 광견병, 조류 인플루엔자, SARS, MERS, 코로나19, 톡소플라즈마증, 렙토스피라증 긍이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박창민 수의사입니다. 옮을 수 있습니다. 동물과 사람 간 전파가 가능한 질병을 인수공통질병이라고 정의할 수 있습니다.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