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핫뉴스실시간 인기검색어
아핫뉴스 화산 이미지
아하

경제

자산관리

매사에열심히
매사에열심히

월급 외에 따로 비상금을 만들어두시는 분이 계시나요?

성별
여성
나이대
27

안녕하세요!

요즘 경기도 불안하고 갑작스럽게 병원비나 가전 고장 같은 일이 생길까봐 비상금이 필요하겠다라는 생각이 들었어요

적금이나 예끔과 별개로 진짜 쓸일이 생기면 바로 꺼낼 수 잇는 돈같은 비상금을 따로 마련해두시는 분들이 꼐시나요?

어디에 얼마나 비율로 넣어야할지도 모르겠고요

비상금을 만들어도 여유자금이 남는지 궁금해요

답변해주시면 감사할듯해요

감사미리드리고요

좋은 하루되십시오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7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경제전문가입니다.

    본인의 기본 저축금액의 10~20%는 비상금으로 저축하여 급할 때 쓸 수 있도록 확보하는 것이 좋다고 생각합니다.

    저축은 만기가 정해져 있을 수 있으며 즉시현금화가 불가할 수 있으니 비상금을 만들어 놓으시는걸 추천드립니다.

  • 안녕하세요. 박형진 경제전문가입니다.

    월급의 10%는 저는 자동적으로 저축외 비상금 통장으로 이체합니다.

    파킹통장에 넣어두고 언제든 뺄수 있게 관리하고 있습니다.

    언제 어떤 상황이 발생할지 모르기 때문에 비상금을 바로 뺄수 있게 관리하고 있습니다.

    참고 부탁드려요~

  • 안녕하세요. 최현빈 경제전문가입니다.

    • 비상금을 보유하고 있습니다

    • 비상금은 말그대로 언제 어떻게 될지 모르기 때문에 만들어 놓는 자금으로

      언제든지 급할 때 사용할 수 있는 비상금을 관리해야 합니다

    • 이 비상금은 예적금이 아닌 언제든지 뽑아 사용할 수 있는 파킹통장에 보유하는 것이

      합리적입니다.

    감사합니다.

  • 그래서 월급은 크게 4가지 정도로 분류하면 좋습니다. 월세나 통신비, 보험료 같은 고정비용이 나가는 통장, 생활비 통장, 적금/예금 통장 그리고 만일의 사태에 대비한 비상금 통장입니다. 비상금 통장은 파킹 통장 같은 곳에 넣어두시면 활용할만 합니다.

  • 안녕하세요. 인태성 경제전문가입니다.

    질문해주신 월급 외의 비상금에 대한 내용입니다.

    일반적으로 월급의 2-3배 정도의

    비상금을 갖고 있어야지

    위험할 때에 대비를 할 수 있다고 합니다.

  • 안녕하세요. 이명근 경제전문가입니다.

    비상금은 얼마를 책정할지는 사람마다 다 틀리긴 할거 같습니다 예상하지 못한 큰 지출이 생길지도 몰라서 저는 현금 천만원 정도는 파킹통장에 넣어두고 안 쓰고 생활하고 있습니다!

    그리고 월급에서 일정비율 저축을 하는건 항상 그렇게 해왔고 앱테크 같은 부업으로 치킨값이나 벌어보자 마인드로 살고 있네요 직장인이면 다들 비슷하실거라 생각합니다

    그럼 오늘도 좋은 하루 되세요!

  • 안녕하세요. 정현재 경제전문가입니다.

    보통 월급으로 저축 외에 비상금을 만들 이유가 있으면 만들지만(보통 기혼자), 그외에는 특별하게 비상금을 만들 이유는 없다고 생각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