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문
불교가 고려의 국교가 된 이유는 무엇인가요?
고려는 궁내에 절을 짓고 국사를 두며 절에 많은 재산을 하사하는 등 불교를 장려하고 국교로 삼았는데요, 불교가 고려의 국교가 된 이유는 무엇인가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1개의 답변이 있어요!
전문가 답변 평가답변의 별점을 선택하여 평가를 해주세요. 전문가들에게 도움이 됩니다.
안녕하세요. 임지애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고려 국교로 불교라고 말하는 이유는 그만큼 다른 사상들보다는 높은 위치에 있었기때문입니다. 이를 뒷받침하듯이 불교와 승려들을위한 제도 및 기구가 존재했고 과거시험에서 조차 승과라는 승려들을 위한 시험도 있었습니다. 이 시험을 합격해야 대덕이라는 법계를 받고 이후에도 승진을 할 수 있었다고합니다. 이 승과를 통과해야지 불교계 고위직으로도 올라갈 수 있었습니다.그리고 국왕과 왕실 주요행사들도 불교 사원에서 진행됐습니다. 국왕 생일, 선왕 기일 등의 행사도 모두 불교에서 이루어졌습니다. 이로 미루어보아 불교가 고려시대에는 다른 종교보다 우위에 있었다고 볼 수 있습니다. 고려 초기에는 선종과 화엄종, 법상종 등 3대 종단이 중심이 되었고 중기때에는 천태종이 추가되어져 4대 종단을 중심으로 불교사상이 전개되었습니다. 선종의 경우 후삼국 통일 전쟁을 치를 때 고려 태조가 선종 승려와 관계를 맺기 시작하면서 발달하기 시작했고 화엄종은 광종 시대 때 왕권 강화와 더불어 같이 부상하게 되었습니다. 광종은 귀법사를 만들고 분리되어 있던 화엄종의 여러 종파들을 통합시켰습니다. 그리고 법상종도 융화시킬 수 있는 성상융회 사상을 표방했고 선종의 법안종 역시 후원해주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