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역사 이미지
역사학문
역사 이미지
역사학문
기쁜향고래의 노래
기쁜향고래의 노래23.11.19

불교가 고려의 국교가 된 이유는 무엇인가요?

고려는 궁내에 절을 짓고 국사를 두며 절에 많은 재산을 하사하는 등 불교를 장려하고 국교로 삼았는데요, 불교가 고려의 국교가 된 이유는 무엇인가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1개의 답변이 있어요!
  •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23.11.19

    안녕하세요. 임지애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고려 국교로 불교라고 말하는 이유는 그만큼 다른 사상들보다는 높은 위치에 있었기때문입니다. 이를 뒷받침하듯이 불교와 승려들을위한 제도 및 기구가 존재했고 과거시험에서 조차 승과라는 승려들을 위한 시험도 있었습니다. 이 시험을 합격해야 대덕이라는 법계를 받고 이후에도 승진을 할 수 있었다고합니다. 이 승과를 통과해야지 불교계 고위직으로도 올라갈 수 있었습니다.그리고 국왕과 왕실 주요행사들도 불교 사원에서 진행됐습니다. 국왕 생일, 선왕 기일 등의 행사도 모두 불교에서 이루어졌습니다. 이로 미루어보아 불교가 고려시대에는 다른 종교보다 우위에 있었다고 볼 수 있습니다. 고려 초기에는 선종과 화엄종, 법상종 등 3대 종단이 중심이 되었고 중기때에는 천태종이 추가되어져 4대 종단을 중심으로 불교사상이 전개되었습니다. 선종의 경우 후삼국 통일 전쟁을 치를 때 고려 태조가 선종 승려와 관계를 맺기 시작하면서 발달하기 시작했고 화엄종은 광종 시대 때 왕권 강화와 더불어 같이 부상하게 되었습니다. 광종은 귀법사를 만들고 분리되어 있던 화엄종의 여러 종파들을 통합시켰습니다. 그리고 법상종도 융화시킬 수 있는 성상융회 사상을 표방했고 선종의 법안종 역시 후원해주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