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핫뉴스실시간 인기검색어
아핫뉴스 화산 이미지
아하

경제

경제동향

망고마더77
망고마더77

물가상승과 금리와 어떤 연결고리가 있는건가요?

오늘 아침에 기사를 보니 한국은행 총재의 머릿글 기사만 지나가다 보았는데 물가상승이 금리인하를 앞당길것이라는 제목이었는데 이둘은 어떤 연결고리가 있는지 궁금해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5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김옥연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일반적으로 물가가 상승하게 된다는 것은 화폐의 유동성 공급이 증가하여서 화폐의 상대적 가치가 하락하여 다른 자산들의 가치가 상승하기 때문에 이러한 화폐가치 하락 현상을 막기 위해서 정부는 금리인상을 통해서 시중의 화폐 유동성 공급을 조절하게 되요. 그래서 미국의 물가상승률이 9.1%의 고점인 경우 금리인상을 하여서 이를 억제하였고 이제 미 연준이 목표로 하는 2%대의 물가지수에 근접하게 되면서 금리인하를 하게 될 가능성이 높아지고 있는 상황이에요

    • 안녕하세요. 최현빈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 최근 고금리 기조가 시작된 것도 미국의 물가상승률이 역대 최고를 지속적으로 갱신하면서

        물가 인상을 통하여 이를 막고자 하였습니다.

      • 고금리를 유지하면 일반적으로 투자와 소비가 감소하면서 물가상승률을 줄일 수 있는 효과를 볼 수 있습니다.

      감사합니다.

    • 안녕하세요. 안동주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기본적인 개념을 말씀드리겠습니다.

      물가가 오르는 이유는 시중에 돌아다니는 돈이 많아져서 입니다. 코로나때 치료와 지원 등으로 많은 돈이 풀려서 시중에 돈이 엄청 많아졌습니다. 물건은 그대로인데 돈이 많아지니 상대적으로 돈의 가치가 떨어지게 되는 것입니다.

      단순히 연필100개 : 돈100개 는 돈 1개로 연필 1개 삼

      돈이 많아져서 연필 100개 : 돈 200개 이제는 돈 2개로연필 1개를 사야함

      그러니 이제 시중에 많아 진 돈을 좀 덜 돌아다니게 해야합니다. 그래서 금리를 올리는 것입니다.

      금리는 돈의 가치라고도 할 수 있는데, 금리가 올라가게 되면 사람들이 대출을 받아 소비를 하거나 투자를 하거나 하는데 부담을 느낍니다. 새롭게 생기는 돈이 줄어들게 되는 것입니다. 그리고 내가 원래 이자를 20만원씩 냈는데 이제 금리가 2배가 되니 40만원씩 내야되게 생겼습니다. 물가는 올랐는데 이자는 많아지고, 월급은 거의 그대로니까 어쩔 수 없이 소비를 줄입니다.

      소비를 줄이면 물건을 덜 사게 되고, 물건의 대한 수요도 줄어드니 물가도 서서히 안정입니다. 그리고 금리가 높아지니 사람들이 투자보다는 저축을 많이 하게 되고 돈이 예금통장에 들어가서 안나오면서 시중에 돌아다니는 돈도 줄어들게 됩니다.

      이렇게 물가상승률이 완화하게 되면, 정부는 지금 시민들이 살기 어렵다 하고 어떤 회사는 망하고 경기가 안좋아지니 다시 금리를 내려 시중에 돈이 돌도록 해서 경기를 부양하는 것입니다.

      감사합니다.

    • 안녕하세요. 전중진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물가를 상승시키면

      물가를 잡기 위하여 금리인상을

      하는 것이 일반적인 정책입니다.

      잘못 보신 것 같습니다.

    • 안녕하세요. 황성필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금리인상은 물가 인상 즉, 인플레이션을 완화하기 위해 쓰이는 주요정책 중 하나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