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핫뉴스실시간 인기검색어
아핫뉴스 화산 이미지
아하

경제

경제동향

어쩌라구요
어쩌라구요

북한의 도발이 전쟁으로 이어질 가능성??

안녕하세요. 이세나나오입니다.

지속적으로 미사일실험과 발사 그리고 우리나라를 비난하고 모욕적인 언행도 자주하는데

이러한 도발이 전쟁으로 이어질 가능성이 있을까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10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이종우 경제전문가입니다.

    우선 향 후 정세를 100% 속단하는 것은 힘들다고 생각 합니다.

    또한 아직은 공식적으로 종전이 아니라 휴전 상태라는 것은 다 들 잘 아시는 것일테구요.

    북한의 도발은 실제로 전쟁을 하고 자 하는 의도가 아니라, 북한의 체제를 유지 하기 위한 하나의 수단으로 사용 되고 있습니다. 과거에는 도발을 통해 긴장 관계를 조성하여 내부의 결속을 다지고 경제 제재를 가하고 있는 미국과의 협상을 유리하게 끌고 갈려는 전략의 일부분 이였습니다.

    실제로 북한의 경제규모와 군사력은 객관적으로 한국 자체로 비교해봐도 북한이 승리할 가능성은 높지 않다는 것이 현재의 중론 입니다.

    그러나 중국,러시아를 위시한 주변 정세에 따라 전쟁의 가능성도 1도 없다고 할 수는 없을지도 모릅니다.

    답변이 도움이 되셨다면 좋아요 추천 부탁 드립니다.

  • 안녕하세요. 이대길 경제전문가입니다.

    저희 집안 가족들 모두 서울, 일산 , 파주에 삽니다. 전쟁이 나면 아무리 못해도 경남이나 전남쪽에 가서 사는게 낫겠죠, 전쟁위협에 2천만명이나 서울경기에 몰려살까요, 아무도 그렇게 생각안합니다. 질문자님처럼 불안을 느낄수는 있으나, 일부 해왔던 국지전투 정도지 전쟁은 안납니다, 이미 80년입니다. 났으면 벌써 낫죠 . 대통령실이 용산으로 옮긴 이유중 하나는 주한미군이 있기 때문입니다. 미군하나 죽으면 미국이 가만히 있을까요 한국인 한명 죽는거 보다 .

  • 전쟁은 나라를 걸고 하는 극단적인 사태이기에 현재 상황으로는 도발이 잦다고 해서 전쟁으로 연결될 가능성은 크게 드뭅니다.

    답변이 도움이 되셨다면 좋아요 부탁드립니다!

  • 안녕하세요. 정현재 경제전문가입니다.

    북한은 수십년 전부터 각종 무력도발과 언론플레이, 심지어 피습사건까지 벌인 국가지만 우리나라에 주둔한 주한미군과 옆나라 일본 등의 눈치를 봐야하고 잘못하다가는 기득권 독재자들이 쥐고 있는 권력과 재산까지 잃을 수 있기 때문에 섣불리 전쟁을 일으키지는 못할 것입니다.

  • 안녕하세요. 홍성택 경제전문가입니다.

    전쟁은 최후의 수단이지만 우리나라는 언제든 전쟁이 일어나도 이상하지 않은 나라입니다. 현재는 말 그대로 휴전상태입니다. 전쟁하다가 잠깐 쉬는 것이라고 보시면 됩니다.

  • 안녕하세요. 곽주영 경제전문가입니다.

    과거에는 더 심각한 갈등을 겪은적도 많았지만 결국 전쟁으로 까지는 이어지지 않았습니다. 지금의 갈등도 결국 정치적인 목적이 있는것으로 보이고 실제 전쟁까지는 이어지지 않을 것으로 생각합니다.

  • 안녕하세요. 윤지은 경제전문가입니다.

    북한의 지속적인 도발이 전쟁으로 이어질 가능성은 낮지만 완전히 배제할 수는 없습니다. 이는 여러 요인을 고려해야 합니다. 우선, 한미동맹의 강력한 군사력과 국제사회의 제재가 북한의 전면전 도발을 억제하는 중요한 요소입니다. 또한 북한의 경제 상황을 고려할 때, 전쟁을 감당할 능력이 부족하다는 점도 중요합니다. 북한 정권은 생존을 최우선 목표로 하며, 전면전은 정권 붕괴의 위험을 초래할 수 있어 피하고자 할 것입니다. 또한 중국을 포함한 국제사회는 한반도의 안정을 원하며, 북한의 과도한 도발을 제어하려 할 것입니다. 북한의 도발은 주로 협상력 강화와 국제사회의 관심을 끌기 위한 전략일 가능성이 높습니다.

    그러나 위험 요소도 존재합니다. 상호 간의 오해나 오판으로 인해 의도치 않은 충돌이 발생할 수 있고, 작은 충돌이 예상치 못하게 확대될 가능성도 있습니다. 또한 북한 내부의 정치적 불안정이 극단적인 선택으로 이어질 수도 있습니다.

    결론적으로, 전면전의 가능성은 낮지만 긴장 상태는 계속될 것으로 보입니다. 이에 대비해 한국과 국제사회는 북한과의 대화 채널을 유지하면서도 강력한 억지력을 갖추는 균형 잡힌 접근이 필요합니다. 불필요한 긴장 고조를 피하고 평화적 해결을 위한 노력을 지속해야 합니다.

  • 안녕하세요. 이상열 경제전문가입니다.

    북한의 도발이 전쟁으로 이어질 가능성은 여러 요인에 따라 달라집니다. 북한의 도발이 단기적인 군사적 충돌로 끝나는 경우도 있지만, 상황이 악화되면 큰 갈등으로 번질 위험도 있습니다.

    국제 사회의 반응: 국제 사회의 즉각적인 제재와 외교적 압박이 북한의 행동을 억제할 수 있습니다.

    남북한 간의 대응: 남한과 북한의 군사적, 외교적 대응도 중요합니다. 남한이 신중하게 대응할 경우 상황이 악화되는 것을 막을 수 있습니다.

    중국과 미국의 역할: 중국과 미국 등 주요 강대국들의 개입과 조정도 중요한 변수입니다. 이들 국가가 상황을 조정하려는 노력이 갈등을 완화시킬 수 있습니다.

    내부 요인: 북한 내부의 정치적 상황이나 경제적 어려움도 도발의 정도와 대응 방식에 영향을 미칠 수 있습니다.

  •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

    안녕하세요. 정진우 경제전문가입니다.

    북한의 도발은 긴장을 높이지만 바로 전쟁으로 이어질 가능성은 낮습니다. 또한 여러 나라들이 대화를 통해 문제를 해결하려고 노력하고 있습니다. 우리는 항상 대비하면서도 평화를 유지하기 위해 협력해야 합니다.

  • 안녕하세요. 인태성 경제전문가입니다.

    질문해주신 북한의 도발이 전쟁으로 이어질 가능성에 대한 내용입니다.

    전쟁은 발발되면 돌이킬 수 없기에

    도발을 하여도 전쟁으로 이어질 가능성은 매우 제한적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