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핫뉴스실시간 인기검색어
아핫뉴스 화산 이미지
아하

경제

주식·가상화폐

우람한슴새216
우람한슴새216

토큰화증권 즉 STO의 기술적 발행방식은 어떻게 나뉘나요?

현재 토큰화증권도 글로벌로 큰 화두가 되고 있습니다. 그렇다면 이 토큰화증권 즉 STO의 기술적 발행방식은 어떤게 나뉘는지 구체적으로 궁금합니다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6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경제전문가입니다.

    STO는 크게 두가지로 나뉩니다.

    온체인 방식: 증권을 직접 블록체인 토큰으로 발행

    오프체인 방식: 기존 증권을 예탁 후 이를 토큰으로 1:1 발행

  • 안녕하세요. 윤지은 경제전문가입니다.

    토큰화증권 얘기 나오면 어렵게 느껴지지만 기술적으로 보면 단순하게 갈라집니다. 하나는 기존 증권을 블록체인 위에 그대로 옮겨놓는 방식이라고 합니다. 예를 들어 주식이나 채권을 디지털 토큰으로 바꿔 발행하는 거죠. 또 하나는 아예 블록체인 네이티브 형태로 처음부터 새로 찍어내는 방식이 있습니다. 이 경우는 스마트컨트랙트를 활용해 발행과 거래를 자동화하는 구조로 보입니다. 나라나 제도에 따라 허용되는 범위가 달라서 실제 적용에는 제약이 따른다고 합니다.

  • 안녕하세요. 하성헌 경제전문가입니다.

    토큰화 증권의 경우 기술적 발행방식이 몇가지 구조가 있습니다. 가령 온체인 방식과 오프체인 방식으로 구성이 되기도 하며, 그것이 아닌 경우 공적인 방식인 퍼블릭체인 또는 특정한 단체에서만 확인이 되는 프라이빗체인 등으로 구성이 되는 경우도 있습니다. 다만 보편적인 경우는 오프체인과 온체인을 섞은 하이브리드 형태를 보다 많이 활용하는 경우가 있다고 볼 수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인태성 경제전문가입니다.

    질문해주신 토큰화증권 (STO) 의 기술적 발행 방식에 대한 내용입니다.

    STO의 기술적 발행 방식에는 크게 두 가지가 있는데

    첫 번째는 바로 블록체인 기술을 활용하여서 부동산, 미술품 등 실물 자산을 토크노하하는 것이며

    이를 자산유동화형이라고 하고

    두 번째로는 지분 증권, 채무 증권, 투자계약 증권 등의 금융 투자 상품을 디지털 토큰으로 발행하는 것으로

    이를 증권 발행형이라고 칭합니다.

  • 안녕하세요. 정현재 경제전문가입니다.

    STO의 주요 기술적 발행 방식은 크게 두 가지로 구분되는데요. 어떤 블록체인 플랫폼(이더리움, 솔라나 등)을 사용하여 어떤 토큰 표준(ERC-1404, ERC-1155 등) 위에서 스마트 계약을 통해 해당 증권의 조건을 코드로 구현하느냐에 따라 달라집니다.

  • 안녕하세요. 배현홍 경제전문가입니다.

    토큰화 증권 STO발행방식은 기술적으로 크게 3가지 방식입니다. 첫번째는 직접발행방식으로 증권형 토큰이 처음부터 블록체인 상에서 디지털 형태로 생성되고 발행되는 것을 의미합니다. 전통적인 증권 발행 절차를 거치지 않고, 설계 단계부터 토큰의 형태로 존재하도록 기획됩니다.예를들면 새로운 부동산 개발 프로젝트의 지분을 토큰으로 직접 발행하는 경우가 대표적인 경우라고 할 수 있습니다.

    두번째인 기존 자산의 토큰화는 이미 존재하는 전통적인 형태의 자산을 블록체인 상의 증권형 토큰으로 전환하여 발행하는 방식입니다. 보통 특별목적법인(SPV)을 통해 실물 자산을 보유하고, 토큰은 이 SPV의 지분을 나타내는 형태로 발행되는 경우가 일반적입니다.

    마지막으로 권리/수익 흐름의 토큰화는 특정 자산의 전체 소유권이 아닌, 해당 자산에서 파생되는 특정 권리나 미래 수익 흐름만을 토큰화하여 발행하는 방식입니다. 특정 프로젝트의 미래 수익, 지적 재산권의 로열티, 특정 사업의 매출 지분, 또는 특정 자산의 사용권 등 다양한 종류의 권리나 현금 흐름을 토큰으로 표현합니다.

PC용 아하 앱 설치 권유 팝업 이미지장도연이 추천하는 아하! 앱으로 편리하게 사용해 보세요.
starbucks
앱 설치하고 미션 완료하면 커피 기프티콘을 드려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