혈소판 감소증이 있는 경우 백신 접종 후 혈전증 발생확률이 더 높은가요?
https://www.docdocdoc.co.kr/news/articleView.html?idxno=2010172
mrna 백신이 az백신보다 혈전증 발생확률이 낮고 코로나 19감염 시보다 10분의 1로 나오는데
혈소판 감소증이 있는 경우 mrna 백신 접종 후 그렇지 않은 사람보다 혈전증 발생확률이 더 높은가요?
안녕하세요? 아하(Aha) 약료 분야 지식답변자 송정은 약사입니다.
질문하신 내용에 대하여 아래와 같이 답변 드립니다.현재 기저질환이 있는 경우 접종시 이점과 부작용여부를 주치의와의 상의하에 백신 접종여부를 결정하시어야합니다. 아나필락시스나 알러지가 있는 경우는 접종시 특히 주의를 요하기에 반드시 상의하에 접종여부를 정하시길 권장드립니다.
감사합니다.^^안녕하세요? 아하(Aha) 약료 분야 지식답변자 양은중 약사입니다.
질문하신 내용에 대하여 아래와 같이 답변 드립니다.기존에 혈소판 감소증이 있는 분들의 경우에는 다른분들도다 혈전증 발생확률이 더 높습니다.
기존에 혈소판 감소증이 있는 분들은
백신을 맞고나서 증상이 악화되는지 면밀히 확인할 필요가 있고
증상이 보이면 바로 병원진료를 받으시는 것이 좋겠습니다.
안녕하세요? 아하(Aha) 의료 분야 지식답변자 권준구 의사입니다.
질문하신 내용에 대하여 아래와 같이 답변 드립니다.mRNA 백신인 모더나나 화이자 백신의 경우 정맥 혈전증 발생은 보고 되지 않고 있습니다.
또한 혈전부작용이 있을 수 있습니다. 유럽에서는 AZ 백신 부작용으로 10만명당 1명꼴로 혈전 부작용이 보고 되었습니다.
안녕하세요? 아하(Aha) 의료 분야 지식답변자 이경민 약사입니다.
질문하신 내용에 대하여 아래와 같이 답변 드립니다.혈전증이 나타나는 이유는 일종의 자가면역 항체에 의해 혈소판이 활성화되면서 혈전이생성되는 것입니다. 혈전생성이 된 결과로 혈소판의 수치가 낮아집니다
따라서 원래 혈소판 수가 낮은것은 코로나 백신접종으로 인한 혈전생성의 위험요인이 되지 못합니다. 하지만 이전의 혈소판 감소증이 자가면역질환에 의한 것이 었다면 코로나백신으로 인한 혈소판 감소증의 위험이 있을 수 있습니다.
아래링크는 면역반응으로인한 저혈소판증 환자가 코로나백신 접종시 혈소판감소증이 재발할 가능성도 있다는 내용입니다.
이전의 면역유발혈소판감소증 환자가 화이자백신접종후 다시 혈소판감소증이 나타난 예시도 있습니다.
https://academic.oup.com/ofid/article/8/7/ofab343/6308965
아직은 이 부분에 대해서는 관찰과 연구가 필요해보입니다.
안녕하세요? 아하(Aha) 의료 분야 지식답변자 조동주 한의사입니다.
질문하신 내용에 대하여 아래와 같이 답변 드립니다.말씀하신 증상 예서는 백신접종이 금기는 아닙니다 그래서 대부분은 접종을 하실 수 있습니다 그래도 가장 정확한 것은 정기적으로 치료 받는 의사 선생님과 상의 하시길 권해 드립니다
안녕하세요? 아하(Aha) 약료 분야 지식답변자 송용호 약사입니다.
질문하신 내용에 대하여 아래와 같이 답변 드립니다.아스트라제네카, 얀센 백신은 DNA를 주입한 바이러스 벡터 백신입니다.
아스트라제네카, 얀센 백신은 면역세포를 활발하게 해주는 장점, 유통과 보관이 용이하다는 장점이 있습니다.
반면, 드물게 혈전증 부작용이 있어, 심한 두통이나 신체 곳곳에 멍이 생기는 경우에는 병원에 내원하셔야 합니다.
안녕하세요? 아하(Aha) 의료 분야 지식답변자 정진석 의사입니다.
질문하신 내용에 대하여 아래와 같이 답변 드립니다.현재 가장 걱정이 되는 부분이 혈소판감소성 혈전증입니다.
하지만 일반 혈전증과 달리 발생 확률이 희박하고 혈소판 감소를 동반한 뇌정맥동혈전증, 내정맥혈전증 등과 같은 희귀한 혈전증입니다. 매우 희박하지만 예방 접종 후 4~28일 내 발생할 수 있습니다. 현재 우리나라에서는 2건이 발생하였습니다.
아무쪼록 저의 답변이 문제 해결에 작게 나마 도움이 될 수 있기를 기원드립니다. 항상 건강하고, 행복하세요^^
안녕하세요? 아하(Aha) 의료 분야 지식답변자 김경태 의사입니다.
질문하신 내용에 대하여 아래와 같이 답변 드립니다.화이자/모더나는 mRNA 백신이고, 얀센/아스트라제네카는 바이러스벡터 백신입니다. 얀센/아스트라제네카는 혈전이슈가 있습니다.
화이자/모더나는 90%대, 얀센/아스트라제네카는 60%대 항체형성을 보이고 있습니다.
화이자모더나는 비교적 혈전에는 안전합니다.
안녕하세요? 아하(Aha) 약료 분야 지식답변자 조영지 약사입니다.
질문하신 내용에 대하여 아래와 같이 답변 드립니다.현재 가장 걱정이 되는 부분이 혈소판감소성 혈전증입니다.
하지만 일반 혈전증과 달리 발생 확률이 희박하고 혈소판 감소를 동반한 뇌정맥동혈전증, 내정맥혈전증 등과 같은 희귀한 혈전증입니다. 매우 희박하지만 예방 접종 후 4~28일 내 발생할 수 있습니다. 현재 우리나라에서는 2건이 발생하였습니다.
아무쪼록 저의 답변이 문제 해결에 작게 나마 도움이 될 수 있기를 기원드립니다. 항상 건강하고, 행복하세요^^
안녕하세요? 아하(Aha) 약료 분야 지식답변자 김수재 약사입니다.
질문하신 내용에 대하여 아래와 같이 답변 드립니다.1. 혈소판 감소증과 백신과 관련된 혈전증은 크게 관련이 없습니다.
-혈소판의 경우 혈액의 응고에 관여하여 혈소판이 과다하면 혈전증이 생기는 것은 사실입니다. 다만 백신의 성분이 직접적으로 혈소판을 건드리는 것은 아닌 것으로 알려져 있기 때문에 혈소판 관련 증상과 혈전 발생은 크게 관련 없습니다.
-백신 맞고 혈소판 감소증 생기면 백신 접종하면 안되지만 / 기저질환으로 혈소판감소증이 있었으면 주의해서 접종 가능합니다.
안녕하세요? 아하(Aha) 의료 분야 지식답변자 김선익 의사 / 약사입니다.
질문하신 내용에 대하여 아래와 같이 답변 드립니다.
현재 우리나라 기준 코로나19 예방접종의 금기사항은 다음과 같습니다.
1. 백신의 특정 성분에 과거 중증 알러지 반응 이력이 있거나, 1차 접종 후 심한 중증 알러지 반응이 있었던 경우
2. 코로나19 감염 의심되거나 격리 중인 코로나19 확진자 및 접촉자인 경우
3. 발열 등 급성 병증이 있는 경우
4. 14일 이내 다른 백신을 맞았거나, 90일 이내 코로나19 항체치료를 받은 적이 있는 경우
5. 임신부와 청소년인 경우
아직 데이터가 부족하긴 하지만, 혈소판 감소증이 있다고 하여, 혈전 부작용이 더 높진 않습니다.
답변에 도움이 되었길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