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음악 이미지
음악학문
음악 이미지
음악학문
굳센때까치29
굳센때까치2923.10.07

우리나라 고유 장르라고 할 수 있는 트로트 음악이 어떻게 탄생하게 되었나요?

우리나라 고유 장르라고 할 수 있는 트로트 음악이 어떻게 탄생하게 되었나요? 트로트의 기원과 발전 과정, 그리고 어떤 요소들이 결합하여 우리나라에서 독특한 음악 장르로 자리매김하게 된 것인지 설명해주세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2개의 답변이 있어요!
  •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23.10.07

    안녕하세요. 이승원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트로트의 역사가 궁금하군요.

    한국 대중가요의 역사는 1920년대까지 거슬러 올라갑니다.

    초창기에 있어서는 《사의 찬미》(1926)의 윤심덕을 비롯해 《낙화유수》(1927, 김서정 작사/작곡)의 이정숙이나 《세동무》(1928)의 채동원, 《암로(暗路)》(1930)의 김연실, 그리고 《봄노래 부르자》(1930, 김서정 작사/작곡)의 채규엽 등이 대표적인 가수였습니다. 한편 일본 엔카의 번역·번안 노래도 유입해서 1930년대 중반에 대중가요의 양식으로 정착된 것이 트로트입니다.


  • 안녕하세요. 최은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트로트는 기존의 국악을 비롯한 한국 전통 음악과 당시 서양 블루스 계통의 음악문화, 일본의 근대 대중가요인 엔카와 같이 발전하며 상호 영향을 주며 만들어졌습니다.

    전통적인 한국 민요의 대중적, 정서적 흐름과 대한제국 시기 근대 개화기 흐름을 바탕으로 서양풍의 대중음악의 결합, 일제강점기 시기 동안 엔카의 영향으로 그 흐름과 맥락을 공유하며 한국 근현대 대중음악으로 자리잡게 됩니다.

    사랑과 이별, 고향을 그리워하는 한과 애수가 담긴 내용이더라도 노래 분위기는 아주 신나며 지역별 특성이 잘 드러나는 가사, 사투리 억양을 연상시키는 음정, 국악에서 많이 사용하는 목소리를 길게 떠는 창법 등 한국적 요소와 허스키 보이스를 이용해 향토적이고 구수한 느낌등의 특성으로 대중들의 마음을 자극해 자리잡게 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