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의 관세정책과 금리인하에 대해 궁금합니다.
어제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의 인터뷰 기사를 보았는데
관세발표 후 미증시가 크게 하락할줄 알고 있었고
나는 금리인하를 원한다는 기사를 보았는데요.
관세정책을 펼치면 금리인하는 더 멀어지는것 아닌가요?
관세전쟁을 선포하면서 금리인하를 원한다는 말은 무슨 의미일지 궁금합니다.
안녕하세요. 이명근 경제전문가입니다.
트럼프는 미국 재정적자로 인해서 막대한 국채발행량으로 국채이자 지급부담감에 기준금리 인하를 원하고 있습니다
관세정책으로 인해서 경기 침체가 오면 기준금리를 인하하는게 당연한 수순이지만 관세정책으로 인한 물가상승 우려감도 커서 기준금리를 당장 내리기 좀 애매한 상황입니다
일단 그래도 미국 기준금리 인하 횟수가 관세정책 전엔 올해 2회 인하예상이 많았지만 현재 올해 4회 인하 가능성을 예상한 경제 전문가들이 50프로정도 됩니다
그러니 트럼프의 의도대로 미국은 현재 흘러가고 있다고 생각하시면 될거 같습니다
1명 평가안녕하세요. 정현재 경제전문가입니다.
트럼프의 관세 정책이 경기를 위축시킬수록 연준이 금리 인하로 대응해야 한다는 압박이 커진 것이기에 트럼프는 자신이 원하는 방향대로 흘러가고 있다고 생각하는 것 같습니다.
안녕하세요. 배현홍 경제전문가입니다.
트럼프 정부가 모순적인 정책을 지속적으로 주장하고 행동하고 있고 관세로 인해서 물가상승과 금리상승을 막기 위해서 전략을 고수하고 있습니다
우선 에너지비용 확대와 감세와 내부보조금으로 물가생산유발을 줄이고 그리고 관세정책으로 불확실성이 커지다보니 연준도 기준금리에 대해서 지켜보겠다는 입장입니다
그리고 트럼프는 시장금리를 개입하겠다고 하였으며 이에 은행들의 미국 국채매입을 늘리기 위한 규제완화로 금리를 낮추고 스테이블코인 확대도 미국 단기채 매입을 늘리기 위한 금리인하 정책으로서 볼수 있습니다
안녕하세요. 인태성 경제전문가입니다.
질문해주신 미국의 관세 정책과 금리 인하에 대한 내용입니다.
일단 미국에서 여러 목적으로 관세 정책을 펼치고 있는데
그런 상황이라면 분명 미국 내의 물가에 악영향을 줘서
물가가 오르게 됩니다.
물가가 오르게 된다면 금리 인하는 커녕
금리 인상으로 금리 정책이 변화해야 할 것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