트럼프가 관세 정책으로 최종 원하는 목표가 무엇인가요?
트럼프 일인으로 전세계 증시가 급등락 난리도 아닌데요. 트럼프는 전략가로 알고있는데 관세정책으로 진짜 자국민 보호 무역장벽을 만들려고 하는건지 아니면 다른 협상의 카드로 사용하려는건지 최종목표가 무엇인지 궁금합니다.
안녕하세요. 홍재상 관세사입니다.
트럼프의 관세정책의 목적은 일반적으로 무역수지 적자 개선, 세수 확보, 미국내 투자 유치 등으로 정리될 수 있습니다. 또한 이를 통해 국가간 협상을 이끌어내 미국에 유리한 정책을 상대국에서 제시할 수 있도록 관세정책을 펼치고 있기도 합니다.
감사합니다.
안녕하세요. 최진솔 관세사입니다.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은 최근 중국을 포함한 여러 국가에 대한 고율의 관세를 부과하며 보호무역주의 정책을 강화하고 있습니다. 이러한 조치는 미국 내 제조업을 보호하고 무역 불균형을 시정하려는 의도로 보입니다. 트럼프 대통령은 이를 통해 미국 경제의 경쟁력을 높이고자 합니다.
그러나 이러한 관세 정책은 단순한 보호무역 조치뿐만 아니라, 국제 무역 협상에서 유리한 조건을 이끌어내기 위한 전략적 수단으로도 해석됩니다. 트럼프 행정부의 무역 대표인 제이미슨 그리어는 관세가 다른 국가들과의 무역 협상을 촉진하는 도구로 사용되고 있음을 시사했습니다.
결국, 트럼프 대통령의 최종 목표는 미국의 경제적 이익을 극대화하고, 국제 무역에서 보다 유리한 조건을 확보하는 데 있습니다. 이를 위해 관세를 지렛대로 활용하여 다른 국가들과의 협상에서 우위를 점하려는 전략을 구사하고 있습니다.
감사합니다
안녕하세요. 박현민 관세사입니다.
트럼프 관세 정책의 최종 목표는 미국 제조업 경쟁력 회복과 달러 약세 유도를 통한 경제 패권 강화입니다. 중국의 기술굴기 봉쇄와 무역수지 개선을 위해 고율 관세를 활용하며, 이는 단순 보호무역을 넘어 글로벌 무역규칙 재편을 위한 전략적 도구로 작용합니다. 특히 국제경제비상권한법(IEEPA)을 근거로 동맹국에도 관세 압박을 가하며 협상 테이블로 끌어내는 양상이 두드러집니다.
궁극적 목적은 역사적 업적을 통해 2026년 미국 독립 250주년을 기념하는 리더십 확보입니다. 관세를 협상 카드로 사용해 타국으로부터 양보를 이끌어내는 동시에, 달러 가치 조정을 통해 수출 경쟁력을 높이려는 복합적 전략입니다. 다만 과도한 관세 부과로 인한 물가 상승과 주가 폭락은 정책 지속성에 걸림돌로 작용할 전망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