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로등이나 불빛 주변에는 왜 벌레들이 많이 모이나요?
야간에 가로등이나 밝은 불빛이 있는 곳에는 벌레들이 유난히 많이 모이고 꼬이는데 빛이 벌레들에게 어떠한 영향을 주길래 그 주변에 맴도는건가요?
안녕하세요.
밤에 벌레들이 불빛 주변에 모이는 현상은 주로 그들의 항해 방식과 관련이 있습니다. 많은 날아다니는 곤충들은 자연에서의 항해 방식으로 태양, 달, 별빛 같은 빛의 원천을 이용합니다. 이를 '광항법(phototaxis)'이라고 하며, 곤충들이 빛을 향해 직선으로 비행하도록 유도합니다. 밤하늘에서 태양이나 달의 빛은 멀리 떨어져 있기 때문에 빛의 광선들이 거의 평행하게 도달합니다. 이 때문에 곤충들은 빛을 향해 일정한 각도로 비행을 유지하면서 원하는 방향으로 안정적으로 이동할 수 있습니다.
그러나 가로등이나 차량의 전조등과 같은 인공 조명들의 강한 빛은 이러한 자연적 항법을 방해합니다. 인공 빛은 곤충에게 평행 광선이 아닌 한 지점에서 발산하는 형태로 다가오기 때문에, 곤충들은 빛을 기준으로 일정한 각을 유지하려고 시도하다가 실제로는 빙글빙글 돌거나 빛 주변을 맴돌게 됩니다. 이러한 현상은 '광주독'으로 알려져 있으며, 불빛 주변을 계속해서 비행하면서 에너지를 소모하고 때로는 포식자에게 쉬운 먹이가 되기도 합니다.1명 평가안녕하세요. 김채원 전문가입니다.
벌레들은 기본적으로 호광성을 가지고있습니다.
태양이 있는곳에는 열기가 존재하여 열에너지를 얻기쉽고
이런 특성을 쫒아오는 다른 벌레들을 사냥하거나
같은동족을 만나 짝짓기하기 쉽기떄문입니다.
1명 평가안녕하세요. 정준민 전문가입니다.
이는 벌레의 습성인데요
빛이 있는 곳에 몰리는거죠
특히나 장작불에 모여서 벌레들이 죽는것도 동일하답니다.
1명 평가안녕하세요. 박창민 수의사입니다. 빛 근처에 벌레들이 모이는 이유는 주광성 때문입니다. 벌레들은 밝은 빛을 향해 날아가는 본능이 있습니다. 감사합니다.
벌레들이 불빛 주변에 모이는 이유는 광주성(빛을 따라가는 성질) 때문입니다. 많은 곤충은 달이나 별빛을 이용해 방향을 잡는데, 인공 조명이 강하게 빛나면 이를 착각하고 계속 빛을 향해 움직이게 됩니다. 또한, 일부 벌레는 빛에 유인되는 생리적 특성을 가지며, 불빛 주변의 온기나 포식자로부터 숨기 위한 행동이 영향을 줄 수도 있습니다.
무엇보다 벌레들이 빛을 중심으로 움직이는 습성 때문입니다.
많은 종류의 벌레들은 빛에 이끌리는 주광성이라는 성질을 가지고 있습니다. 특히, 밤에 활동하는 벌레들은 달빛이나 별빛을 이용하여 방향을 잡고 이동하는데, 인공적인 밝은 빛은 이들에게 마치 더 밝은 달빛이나 별빛처럼 느껴져서 이끌리게 되는 것입니다.
특히 벌레들은 빛을 따라 이동하려고 하지만, 인공 빛은 자연적인 빛과 달라서 방향 감각에 혼란을 줄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가로등 주변을 빙빙 도는 벌레들은 빛을 중심으로 일정한 각도를 유지하려 하지만, 실제로는 빛에 갇혀서 맴돌게 되는 현상이 많이 발생하게 됩니다.